$\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완화의료 및 완화케어팀 제도 도입방안 연구
Development of the system for hom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ea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연구책임자 김시영
참여연구자 고수진 , 김대균 , 권소희 , 김데레사 , 김도연 , 김범석 , 김열 , 김정회 , 김철민 , 남은정 , 박명희 , 박선주 , 서상연 , 송미옥 , 오범조 , 윤현옥 , 이명아 , 이찬우 , 이창걸 , 장윤정 , 정다은 , 정연 , 조현정 , 최성은 , 최영심 , 허윤정 , 홍진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07
과제시작연도 2011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등록번호 TRKO201700009023
과제고유번호 1465010976
사업명 국립암연구소운영
DB 구축일자 2017-11-04
키워드 가정완화의료.완화케어팀.서비스 모형.시범사업.Home hospice.Palliative care team.Service model.pilot project.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9023

초록

연구목적 :
∘ 국내의 현실에 적합한 가정완화의료 및 완화케어팀의 모형 개발
∘ 시범사업 실시를 통해 모형의 적용 가능성 확인 및 서비스 표준안 개발

연구방법 :
∘ 우리나라와 임종과 관련된 문화 및 의료보험 제도가 비슷하지만 앞서서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실시하고 있는 일본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해 가정완화의료 및 완화케어팀 서비스의 제공 현황을 파악하고, 제도와 수가 운영의 제한점 및 개선방향을 탐색함.

∘ 43개 완화의료 전문기관과 144개 완화의료 비전문 기관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Abstract

Study Purpose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o develop a model of hom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eam which will be appropriate for Korean situation
-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service model and to develop the service standard through the implementa

목차 Contents

  • 표지 ... 1제 출 문 ... 2목차 ... 3표목차 ... 8그림목차 ... 12요약문 ... 13Project Summary ... 16가정완화의료 연구개발과제 연구 결과 ... 19 1. 연구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19 가. 연구의 배경 ... 19 나. 연구의 목적 ... 24 다. 연구 내용 ... 25 2. 연구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27 가. 연구개발 추진체계 ... 27 나. 연구방법 ... 27 3. 연구과제의 연구개발결과 ... 35 가. 외국의 가정완화의료 제도 ... 35 나. 국내 가정완화의료 현황 파악 ... 39 다. 가정완화의료 서비스 표준 개발 ... 51 라. 가정완화의료 시범사업 ... 84 4. 연구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116 가. 주요 연구결과 ... 116 나. 제언 ... 119 5. 참고문헌 ... 131완화케어팀 연구개발과제 연구 결과 ... 135 1.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135 가. 연구의 배경 ... 135 나. 연구의 목적 ... 144 다. 완화케어팀 제도 개발 시 고려사항 ... 144 라. 연구내용 ... 145 2. 연구개발과제의 연구 대상 및 방법 ... 147 가. 연구 체계 ... 147 나. 연구방법 ... 147 3.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개발결과 ... 154 가. 완화케어팀 실태조사 ... 154 나. 외국의 완화케어팀 제도 고찰 ... 161 다. 완화케어팀 활동 현황 심층조사 및 모형개발 ... 176 라. 시범사업 실시 ... 189 마. 완화케어팀 제도 도입에 대한 완화의료전문의료기관 종사자 의견조회 ... 213 4.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17 가. 주요 연구결과 ... 217 나. 고찰 및 제언 ... 218 5. 참고문헌 ... 222부록 ... 225 부록 1. 일본의 가정완화 의료제도 ... 225 부록 2. 일본의 가정완화의료 소개 책자 ... 295 부록 3. 일본 가정완화의료의 문제점 ... 318 부록 4. 일본의 가정완화의료의 간호사 인력기준 ... 321 부록 5. 가정완화의료 실태조사 설문지 ... 326 부록 6. 가정완화의료 요구도 조사 설문지 ... 341 부록 7. 포커스그룹 인터뷰 서식지 ... 361 부록 8. 가정완화의료 서비스 표준 지침 ... 368 부록 9. 가정완화의료 의료기관 운영 현황 조사표 ... 377 부록 10. 가정완화의료 서비스 흐름도 ... 390 부록 11. 가정완화의료 시범사업 매뉴얼 ... 393 부록 12. 가정완화의료 시범사업 작성지침서 ... 394 부록 13. 가정완화의료 시범사업 서식지 ... 409 부록 14. 가정완화의료 시범사업 진료내역조사표 ... 451 부록 15. 가정완화의료 서비스 성과평과 설문양식 ... 461 부록 16. 가정완화의료 효율성평가 설문양식 ... 471 부록 17. 마약성 진통제의 공급 및 조달을 평가하기 위한 지침서(WHO) ... 474 부록 18. 완화케어팀 실태조사지 ... 479 부록 19. 심층면접조사 인터뷰 녹취록 ... 487 부록 20. 완화케어팀 시범사업 서식 ... 507 부록 21. 시범사업기관 실문자 인터뷰 녹취록 ... 553 부록 22. 완화케어팀 전문가 의견 조회 질문지 ... 562 부록 23. Getting started ... 566 부록 24. 일본국 완화케어팀의 서비스 표준 ... 573 부록 25. 일본국 완화케어팀 매뉴얼 ... 576 부록 26. 워크숍 ... 593 부록 27. 시범사업 공청회 ... 605끝페이지 ... 617

표/그림 (7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