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채류 수확후 관리기술 개발 및 고부가 산업 소재화 연구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안동대학교
AnDong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김태완
참여연구자 박윤문 , 김현석 , 김태훈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09
과제시작연도 2015
주관부처 산림청
Korea Forest Service
등록번호 TRKO201800000105
과제고유번호 1405002701
사업명 임업기술연구개발
DB 구축일자 2018-02-17
키워드 산채.수확후 관리.건강증진 및 피부미용 효능.초고압분쇄.발효 및 효소처리.Wild herbs and vegetables.Postharvest technology.Health promoting effect.Ultra high pressure homogenization.Fermentation and enzyme hydrolysis.

초록

1. 식·의약 소재 개발을 위한 산채류 기능성 구명
가. 산채자원의 건강증진 및 피부미용 효능평가를 통한 우수 산채 자원의 선발
나. 우수 산채자원의 효능에 대한 작용기전 구명 및 지표물질의 선정과 유효활성 농도 설정
다. 산채자원의 효능 및 수율 개선을 위한 공정기술 개발 및 제품화 기술 지원

2. 수확후 관리기술 개발
가. 수확후 생리 특성 구명: 호흡속도, 에틸렌 발생량, 증산계수
나. 수확후 관리 기술 체계화 및 표준 매뉴얼 작성
- 주요 산채류의 수확후 관리기술 매뉴얼 제작: 주

Abstract

1. Search for the functional activities of wild vegetables for the development of neutraceutical and cosmeceutical ingredients
a. Evaluation of neutraceutical and cosmeceutical activities for wild vegetabl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cess to make functional ingredient
- Selection of the w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국문 요약문 ... 5
  • SUMMARY ... 8
  • Contents ... 12
  • 목차 ... 15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8
  • 1. 연구개발 목적 ... 18
  • 2. 연구개발의 필요성 ... 18
  • 3. 연구개발 범위 ... 19
  • 제2장.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 20
  • 1절. 식·의약 소재 개발을 위한 산채류 기능성 구명 ... 20
  • 2절 산채류 수확후 관리기술 개발 ... 22
  • 3절.산채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화 연구 ... 24
  • 4절.산채류 생산·유통체계 및 품질특성 연구 ... 25
  • 제3장. 연구 수행 내용 및 성과 ... 26
  • 제 1 절 식 · 의약 소재 개발을 위한 산채류 기능성 구명: 제 1세부 과제 ... 26
  • 1. 산채류의 식·의약 소재화를 위한 핵심 기술 도출 ... 26
  • 2. 연구재료 ... 26
  • 3. 산채자원의 성분 분석 및 건강증진효능 평가 ... 33
  • 4. 연구결과 ... 45
  • 제 2절 산채류 수확후 관리기술 개발(제 2 세부과제) ... 323
  • 1. 서언: 산채류 수확후 관리의 핵심 기술 도출 ... 323
  • 2. 연구방법 ... 324
  • 3. 신선 산채류의 수확후 생리활성 ... 326
  • 4. 참취의 CA 저장 효과 분석 ... 329
  • 5. 단풍취 저장 기간 평가 ... 333
  • 6. 곰취의 저장 방식에 따른 저장한계기간 평가 ... 338
  • 7. 고려엉겅퀴(곤드레)의 저장한계기간 평가 ... 348
  • 8. 울릉산마늘의 CA 저장 효과 ... 353
  • 9. 두릅 저장 기간 평가 ... 358
  • 10. 신선 고사리의 저장기술 ... 363
  • 11. 어수리 저장 한계기간 평가 ... 370
  • 12. 도라지의 수확후 관리 기술 체계화: 2013~2014년도 도라지 수확후 처리 및 저온저장 ... 376
  • 13. 더덕의 수확후 관리 기술 체계화 ... 382
  • 14. 산채류의 수확후 관리 기술 통합 매뉴얼 ... 396
  • 제3절. 산채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화 연구(제3세부과제) ... 418
  • 1. 뿌리산채류(도라지와 더덕)의 갈변과 항산화 활성에 대한 전처리 및 건조의 영향 ... 418
  • 2. 뿌리산채류(도라지와 더덕)의 동결에 대한 trehalose 침지처리의 영향 ... 437
  • 3. 건조 엽산채류(곤드레와 곰취)의 품질에 대한 전처리 조건의 영향 탐색 ... 444
  • 4. 산채추출물의 고미 및 풍미 제어를 위한 나노에멀젼 개발 ... 453
  • 5. 산채추출물의 풍미 제어 및 가공적성 개선을 위한 난소화성 미세캡슐 개발 ... 458
  • 6. 초고압-효소 병행처리를 통한 식초와 당 침출숙성액 가속제조 기법 개발 ... 473
  • 7. 산채류를 활용한 가공식품 개발 ... 485
  • 제 4절 산채류 생산·유통체계 및 품질특성 연구(제 4 세부과제) ... 507
  • 1. 산채류 생산 및 유통 체계 현황 ... 507
  • 2. 연구개발 목표 및 연구내용 ... 511
  • 3. 단풍취의 영양성분분석 및 기능성 성분 분리 ... 516
  • 4. 지표물질 선정평가 ... 550
  • 5. 참취의 영양성분 분석 및 기능성 성분 분리 ... 555
  • 6. 참취의 지표물질 선정 평가 ... 573
  • 7. 참취의 수확기에 따른 활성성분 분석 ... 576
  • 8. 삼나물의 영양성분 분석 및 활성성분 분리 ... 602
  • 9. 삼나물의 지표물질 선정 평가 ... 616
  • 10. 삼나물의 수확기에 따른 활성성분 분석 ... 619
  • 11. 곤드레의 영양성분 분석 및 활성성분 분리 ... 621
  • 12. 곤드레 수확기에 따른 활성성분 분석 ... 646
  •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 기여도 ... 650
  • 1. 목표 달성도 ... 650
  • 2. 관련 분야 기여도 ... 652
  • 제5장.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 654
  • 1. 식·의약 소재 개발을 위한 산채류 기능성 구명 ... 654
  • 2. 산채류 수확후 관리기술 개발 ... 654
  • 3. 산채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화 연구 ... 654
  • 4. 산채류 생산·유통체계 및 품질특성 연구 ... 654
  • 5. 개발 기술 및 제품의 사업화 계획 ... 655
  • 제6장. 연구 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 정보 ... 656
  • 1. 식·의약 소재 개발을 위한 산채류 기능성 구명 ... 656
  • 2. 산채류 수확후 관리기술 개발 ... 656
  • 3. 산채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화 연구 ... 657
  • 4. 산채류 생산·유통체계 및 품질특성 연구 ... 657
  • 제7장.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 659
  • 제8장.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 660
  • 제9장.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 조치 이행 실적 ... 661
  • 제10장.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 실적 ... 664
  • 1. 논문 ... 664
  • 2. 학술회의 발표 ... 665
  • 3. 교육 및 지도에 활용 ... 667
  • 4. 기타: 간행물 ... 667
  • 제11장. 기타 사항 ... 668
  • 제12장. 참고 문헌 ... 669
  • 끝페이지 ... 681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