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투수면 유출특성 조사 및 관리목표 설정연구
A research on control targets and strategies for impervious surface manage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최지용
참여연구자 강미아 , 정세웅 , 박승우 , 김성필 , 배승종 , 김학관 , 서일환 , 배연정 , 전지혜 , 김수진 , 이동학 , 최병우 , 오수환 , 이승범 , 공현우 , 노찬규 , 윤성완 , 박형석 , 박관영 , 김대화 , 지상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11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800001706
DB 구축일자 2018-12-15

초록

Ⅳ. 연구 결과

1. 불투수면적률 산정방법
본 연구에서는 불투수면적률 관리를 위한 불투수면을 정의하였다. 일반적으로 불투수면은 도로, 주차장, 보도, 지붕 및 기타 도시경관에서 물이 잘 침투하지 않는 공간 면 (Schueler, 1994), 또는 토양으로 물의 침투를 방해하는 면 (Chester 등, 1996)을 의미한다. 지표면 포장형태를 투수면 또는 불투수면으로 구분하는 것은 불투수면에 대한 정의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명확히 특정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자연상태에서도 과학적 의미의 불투수면인 토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요 약 문 ... 4
  • 목차 ... 18
  • 표목차 ... 21
  • 그림목차 ... 24
  • Ⅰ. 서론 ... 28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28
  • 제2절 연구 목적 ... 29
  • Ⅱ. 연구의 범위 및 내용 ... 30
  • 제1절 연구의 범위 ... 30
  • 제2절 연구내용 ... 30
  • 1. 불투수면 유출특성 및 관리지표 등 국내·외 문헌조사 ... 30
  • 2. 불투수면 유출량 및 거동특성 조사 및 분석 ... 31
  • 3. 불투수면 지역의 적정 관리목표 및 지표 제시 ... 32
  • 4. 불투수면 관리제도와 수질총량제 연계방안 제언 ... 32
  • Ⅲ. 연구결과 및 고찰 ... 34
  • 제1절 불투수면적률 산정방법 ... 34
  • 1. 불투수면의 정의 ... 34
  • 가. 투수면 및 불투수면 구분의 어려움 ... 34
  • 나. 수문모형 적용과의 괴리 ... 37
  • 2. 불투수면 면적산정 방법 ... 39
  • 가. 총불투수면 ... 40
  • 나. 유효불투수면 ... 46
  • 3. 불투수면적률 산정방법 제안 ... 47
  • 제2절 불투수면과 수환경 영향 ... 50
  • 1. 유출 ... 51
  • 2. 수질 ... 54
  • 가. 해외 사례 ... 54
  • 나. 국내 사례 ... 63
  • 3. 어류 ... 68
  • 가. 해외 사례 ... 68
  • 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 73
  • 가. 해외 사례 ... 73
  • 나. 국내 사례 ... 75
  • 5. 열섬효과 및 대기순환 ... 76
  • 가. 해외 사례 ... 76
  • 나. 국내 사례 ... 78
  • 제3절 불투수면 지역 적정 관리 목표 및 지표 ... 81
  • 1. 불투수면적률에 따른 수질 및 수생태계 영향 분석 ... 81
  • 가. 전국 불투수면 조사자료 분석 ... 81
  • 나. 불투수면 영향 분석을 위한 대상지역 선정 ... 84
  • 다. 수질영향 분석 ... 85
  • 라. 수생태계영향 분석 ... 88
  • 2. 불투수면적률 관리기준 설정 ... 89
  • 가. 불투수면적률에 대한 ROC 분석 ... 90
  • 나. 불투수면 적절 수준 분석 ... 91
  • 다. 불투수면적률 관리 목표 ... 93
  • 라. 불투수면적률 관리 방향 ... 93
  • 3. 불투수면 유출특성 모니터링 ... 96
  • 가. 대전천 유역 ... 96
  • 나. 유등천 유역 ... 110
  • 다. 남천 유역 ... 124
  • 라. 청통천 유역 ... 140
  • 4. 비점오염유출 모델 구축 ... 155
  • 가. 모형의 검토 ... 155
  • 나. 비점오염유출 모델 구축 ... 160
  • 다. 저감시나리오 모의 ... 173
  • 제4절 물순환 건전화와 불투수면 관리제도 연계방안 ... 194
  • 1. 물순환 건전화 개념 및 방향 ... 194
  • 2. 국내·외 물순환 및 빗물관리 관련 제도 ... 195
  • 가. 미국 ... 195
  • 나. 일본 ... 202
  • 다. 영국 ... 208
  • 라. 독일 ... 210
  • 마. 국내 제도 현황 ... 217
  • 3. 불투수면적률 관리제도 ... 224
  • 가. 미국 ... 224
  • 나. 독일 ... 228
  • 다. 영국 ... 232
  • 라. 유럽연합 ... 233
  • 마. 국내 제도 현황 ... 233
  • 4. 불투수면 총량제 ... 238
  • 가. 코네티컷주 ... 238
  • 나. 메인주 ... 241
  • 5. 불투수면 관리를 통한 물순환 건전화 방안 ... 244
  • 가. 수질오염총량제와의 연계 ... 245
  • 나. 토지이용계획과의 연계 ... 247
  • Ⅳ. 결론 ... 258
  • Ⅴ. 향후계획 ... 260
  • Ⅵ. 참고문헌 ... 262
  • 끝페이지 ... 267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