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수호기 리스크 종합 평가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Risk Assessment Technology for Multiple Unit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원자력연구원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임호곤
참여연구자 강대일 , 김길유 , 김동산 , 김성엽 , 김요찬 , 김재환 , 박수용 , 박진균 , 박진희 , 양준언 , 윤재영 , 이윤환 , 장승철 , 조재현 , 정용훈 , 진영호 , 최선영 , 하재주 , 한상훈 , 한석중 , 황미정 , 백원필 , 금동권 , 정효준 , 서경석 , 한문희
보고서유형2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03
과제시작연도 2016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800005362
과제고유번호 1711035771
사업명 원자력기술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8-05-05
키워드 리스크.안전성.리스크 프로파일.확률론적안전성평가.소외결말분석.다수호기 리스크.부지 리스크.Risk.Safety.Risk profile.PSA (or PRA).Off-site consequence.Multi-unit risk.Site risk.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05362

초록

본 과제의 최종 목표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교훈을 반영하여 극한 다중복합 재난에 대비한 최상의 원전안전 관리 체계를 확보하기 위한 국내 고유의 다수호기 원전 부지 리스크에 대한 최적 평가 기술 개발에 있다. 총 5년의 연구기간 동안 수행된 주요 연구 내용 및 결과들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부지 다수호기 리스크 평가 방법론 및 원전 적용연구
- 부지내 다수호기 리스크 평가 방법론 개발
- 참조원전에 대한 지진을 포함한 총 5종의 다수호기 리스크 평가 방법론 적용 평가

◯ 전출력/정지저출력 운

Abstract

Ⅳ. Result of Project
The main contents and results of the research project conducted during the total period of 5 years are summarized as follows.

○ Site-wid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and its application for reference nuclear power plant
- Development of multi-unit risk assessment m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보고서 요약서 ... 5
  • 요약문 ... 7
  • SUMMARY ... 10
  • CONTENTS ... 13
  • 목차 ... 14
  • 표목차 ... 18
  • 그림목차 ... 21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25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31
  • 제1절 다수호기 리스크 평가 기술개발 현황 ... 33
  • 제2절 부지 리스크 프로파일용 PSA 기술개발 현황 ... 34
  • 제3절 다수호기 리스크 분석용 전산체계 현황 ... 39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41
  • 제1절 다수호기 리스크 평가 방법론 개발 ... 43
  • 1. 개요 ... 43
  • 2. 다수호기 리스크 평가 방법론 개발 ... 48
  • 3. 결론 ... 62
  • 제2절 다수호기 리스크 평가용 단위 호기 PSA 모델 개발 ... 63
  • 1. 1단계 내부사건 PSA 모델 개발 ... 63
  • 2. 1단계 내부침수 PSA 모델 개발 ... 93
  • 3. 1단계 내부화재 PSA 모델 개발 ... 103
  • 4. 1단계 지진 PSA 모델 개발 ... 113
  • 5. 1단계 쓰나미 PSA 모델 개발 ... 129
  • 6. 2단계 내․외부사건 PSA 모델 개발 ... 140
  • 7. 3단계 PSA 기술현안 해결 및 모델 개발 ... 156
  • 제3절 다수호기 리스크 모델 개발 및 평가 ... 185
  • 1. 개요 ... 185
  • 2. 독립사건 연속발생에 따른 다수호기 리스크 평가 ... 186
  • 3. 다중 소외전원상실사고 리스크 평가 ... 196
  • 4. 다중 최종열제거원 상실사고 리스크 평가 ... 210
  • 5. 지진 유발 다수호기 리스크 평가 ... 215
  • 6. 쓰나미 유발 다수호기 리스크 평가 ... 223
  • 7. 다수호기 2단계 리스크 평가 ... 229
  • 8. 다수호기 결말 분석 ... 235
  • 제4절 비원자력 리스크 프로파일 개발 ... 246
  • 1. 개요 ... 246
  • 2. 자연재해 리스크 프로파일 개발 ... 248
  • 3. 인적재난 리스크 프로파일 개발 ... 257
  • 4. 결론 ... 261
  • 제5절 다수호기 리스크 평가용 전산체계 개발 ... 264
  • 1. 다수호기 PSA 정량화 방법론 ... 264
  • 2. 다수호기 PSA 전산체계 개발 ... 269
  • 3. 국내 고유 3단계 PSA 수행용 전산체계(KOSCA-MACCS2) 개발 ... 278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295
  • 제1절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 297
  • 제2절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 302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305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 정보 ... 309
  • 제7장 참고문헌 ... 315
  • 끝페이지 ... 323

표/그림 (22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