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색경제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정책 뉴 패러다임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w Paradigm on the Environmental Policy for Green Econom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추장민
참여연구자 주현수 , 강형식 , 황상일 , 이현우 , 조지혜 , 한진석 , 신동원 , 윤경준 , 홍종호 , 윤순진 , 최선미 , 임혜숙 , 홍현정 , 서은주 , 정아영 , 박종문 , 김지혜 , 최종민 , 손민지 , 예민지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06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800014400
DB 구축일자 2018-06-02
키워드 환경거버넌스.환경재정.미세먼지 대응체계.물관리 일원화.자연보전 주류화.자원순환.환경정책 패러다임.Environmental governance.Environmental finance.A system to respond fine dust.Unification of water management.Main streaming nature conservation.Resource recycling.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14400

초록

본 연구는 환경정책을 둘러싼 국내외 여건 변화와 현재와 미래의 환경 이슈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녹색경제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새로운 환경정책의 패러다임 및 분야별 주요 정책과제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고령화 및 저출산 복지수요 증대 등의 인구구조 변화, 개인권한 증대 및 지방자치 확대 등의 개인화·지역화, 도시화 및 자원고갈, 국제권력 이동 및 저성장(New Normal) 시대의 장기화 등은 국가 전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녹색경제 등 발전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4차 산업혁명에 따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environmental policy paradigm for green econom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 develop major policy tasks in each field based on the analysis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and current and future environmental issues.

Changes i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언 ... 3
  • 국문요약 ... 5
  • 목차 ... 7
  • 표목차 ... 9
  • 그림목차 ... 14
  • 제1장 서 론 ... 17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7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18
  • 3. 연구 내용 ... 18
  • 제2장 국내외 여건 변화 분석 및 환경분야 주요 현안 ... 19
  • 1. 국내외 여건 변화 분석 ... 19
  • 2. 환경분야 주요 현안 ... 34
  • 3. 환경분야 주요 정책 어젠다 ... 41
  • 제3장 주요 환경매체별 정책과제 개발 ... 44
  • 1. 대기분야 주요 정책과제 ... 44
  • 2. 물환경 분야 주요 정책과제 ... 57
  • 3. 국토환경 분야 주요 정책과제 ... 71
  • 4. 자원순환분야 주요 정책과제 ... 81
  • 5. 요약 ... 92
  • 제4장 환경 행정 및 거버넌스 주요 정책과제 및 개편 방향 ... 94
  • 1. 환경정책 효과성 제고를 위한 중앙 정부조직 개편 방향 ... 94
  • 2. 중앙-지방 간 환경사무 배분의 합리화 ... 139
  • 3. 요약 ... 183
  • 제5장 환경 재정 및 세제 주요 정책과제 및 개편 방향 ... 185
  • 1. 환경 관련 조세·재정 운용 원칙과 환경 예산 현황 ... 185
  • 2. 교통‧에너지·환경세 현황과 문제점 ... 189
  • 3. 환경부 소관 부담금 현황과 문제점 ... 214
  • 4. 주요 해외 사례 ... 240
  • 5. 환경 관련 세제 및 재정 주요 정책과제 및 대안 ... 272
  • 6. 요약 ... 288
  • 제6장 녹색경제 및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정책 뉴 패러다임 개발 ... 290
  • 1. 국민의 환경권 실현 ... 290
  • 2. 환경거버넌스 통합 조정 및 지방분권 ... 291
  • 3. 환경부문 재정체계 개편 및 안정적인 확충 ... 292
  • 4. 지속가능한 스마트 시티 환경관리 ... 294
  • 5. 글로벌 미세먼지 대응체계 구축 ... 295
  • 6. 유해화학물질의 전 과정 관리 ... 296
  • 7. 4대강 환경개선 및 물관리 일원화 ... 297
  • 8. 기후변화 통합대응-환경재난 대응체계 구축 ... 298
  • 참고문헌 ... 301
  • 부록 ... 319
  • 부록Ⅰ. 기관 간 이양 환경사무 목록(2002~2012) ... 321
  • 부록Ⅱ. 에너지별 세제 현황(’17.1월 기준) ... 338
  • Abstract ... 339
  • 끝페이지 ... 344

표/그림 (17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