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 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행정연구원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연구책임자 윤수재
참여연구자 이동은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12
과제시작연도 2017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800022552
과제고유번호 1105012631
사업명 한국행정연구원
DB 구축일자 2018-06-23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22552

초록

4. 결론 및 정책대안
□ 성과관리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법 제도적 차원의 정책방안 제언
○ 「정부업무평가 기본법」 전면 개정안 또는 세부조항 개정안 제시
- 전면개정안 :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을 「정부성과관리 기본법(가칭)」으로 전환
∙ 기본법의 구성을 ① 총칙, ② 성과관리계획 및 점검(이하 모니터링을 의미), ③ 정부업무평가, ④ 점검 및 평가결과의 활용, ⑤ 성과관리 구축기반의 지원으로 전환

∙ 제2장 성과관리계획 및 점검에서는 현행법 제5・6조를 중심으로 조문을 구성(환경분석 및 우선순위

Abstract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ramework Act on Public Service Evaluation was enacted; However, an effective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has not been built as of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o build an effective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It means that an effective performanc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3
  • 목차 ... 4
  • 표목차 ... 8
  • 그림목차 ... 11
  • 국문요약 ... 13
  • 영문요약 ... 35
  • 제1장 서 론 ... 39
  •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 40
  • 제2절 연구목적 및 방법 ... 42
  • 1. 연구의 목적 ... 42
  • 2. 연구의 세부목표 및 방법 ... 44
  • 제3절 연구범위 및 기대효과, 차별성 ... 47
  • 1. 연구의 범위 ... 47
  • 2. 연구의 차별화된 특성 ... 49
  • 3. 연구의 기대효과 ... 51
  • 제2장 성과관리 프로세스: 이론과 쟁점 ... 55
  • 제1절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이론적 논의 ... 56
  • 1. 성과 및 성과관리 ... 56
  • 2. 성과관리 프로세스(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 60
  •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 66
  • 제2절 국내 성과관리 프로세스 현황분석: 한계와 주요 쟁점 ... 73
  • 1. 국내 성과관리 프로세스의 법적 근거와 한계 ... 73
  • 2. 국내 성과관리 프로세스의 제도적 한계 ... 76
  • 3. 국내 성과관리 프로세스의 주요 쟁점 ... 80
  • 제3장 주요국 성과관리 프로세스 분석 ... 83
  • 제1절 분석목표와 기준, 주요국 선정 근거 ... 84
  • 1. 분석의 목표 ... 84
  • 2. 주요국 선정근거 ... 85
  • 3. 분석기준 및 방법 ... 86
  • 제2절 주요국 비교분석 ... 89
  • 1. 환경분석 및 우선순위 설정 단계 ... 89
  • 2. 계획수립 단계 ... 96
  • 3. 집행 및 모니터링 단계 ... 105
  • 4. 평가 및 환류 단계 ... 112
  • 제3절 성과관리 프로세스 진단기준 개발 ... 118
  • 1. 주요국 성과관리 프로세스의 주요 특징 ... 118
  • 2. 국내 실태진단 기준 개발안 ... 120
  • 제4장 성과관리 프로세스 인식분석 ... 123
  • 제1절 조사설계 ... 124
  • 1. 설문조사방법 ... 124
  • 2. 응답자의 인구구성학적 특성 ... 126
  • 제2절 현행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 ... 127
  • 1. 성과관리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의견 ... 127
  • 2. 단계별 프로세스에 대한 평가의견 ... 131
  • 제3절 제도도입 초기와의 인식비교분석 ... 143
  • 제4절 성과관리 만족도・필요성 인식의 영향요인: 회귀분석결과 ... 147
  • 1. 성과관리 프로세스의 만족도 인식 영향요인 ... 147
  • 2.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필요성 인식 영향요인 ... 151
  • 제5절 현행 성과관리 프로세스 운영의 문제점 심층 분석: 설문분석 및 인터뷰 결과 종합 ... 153
  • 제5장 성과관리 프로세스 실태진단 ... 159
  • 제1절 성과관리 프로세스 진단기준 및 방법 ... 160
  • 1. 성과관리 프로세스 진단기준의 측정지표 개발 ... 160
  • 2. 대상기관 선정 및 진단결과 도출방법 ... 164
  • 제2절 성과관리 프로세스 진단결과 ... 166
  • 1. 환경분석 및 우선순위 설정 단계 ... 166
  • 2. 계획수립 단계 ... 173
  • 3. 집행 및 모니터링 단계 ... 184
  • 4. 평가 및 환류 단계 ... 192
  • 제3절 성과관리 프로세스 진단결과 종합 ... 205
  • 제6장 제언: 성과관리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정책방안 ... 209
  • 제1절 법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방안 ... 212
  • 1. [정책방안 1]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전면 개정안 : 「정부성과관리 기본법(가칭)」으로 전환 ... 212
  • 2. [정책방안 2]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세부조항 개정안 ... 215
  • 제2절 제도운영 및 인식 개선을 위한 정책방안 ... 222
  • 1. [정책방안 3] 성과관리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중장기・단기 로드맵 ... 222
  • 2. [정책방안 4] 성과관리 프로세스 진단 매뉴얼 개발 ... 226
  • 3. [정책방안 5] 모니터링 제도 개선방안 및 진단 매뉴얼 개발 ... 237
  • 4. [정책방안 6] 성과관리 프로세스 단계별 성과관리 협의회(가칭) 운영방안 ... 244
  • 5. [정책방안 7] 국무조정실-각 부처 성과관리 부서 간 협력방안 ... 246
  • 6. [정책방안 8] 성과관리 활동에 대한 정보공개 및 성과관리 업무지원 시스템 활용 방안 ... 248
  • 7. [정책방안 9] 자체평가위원회의 컨설팅 기능 강화 방안 ... 249
  • 8. [정책방안 10] 정책 환경분석 기능 강화 방안 ... 251
  • 9. [정책방안 11] 실무자의 성과관리 프로세스 및 진단 매뉴얼 내재화 방안 ... 254
  • 10. [정책방안 12] 장기적인 성과관리 프로세스 관련 인식조사 및 연구 필요 ... 255
  • 제7장 결론 및 학술적・정책적 함의 ... 259
  • 1. 성과관리 프로세스 진단 및 개선방안 ... 260
  • 2. 학술적 함의 ... 264
  • 3. 정책적 함의 ... 265
  • 참고문헌 ... 267
  • 국내문헌 ... 268
  • 해외문헌 ... 273
  • 웹사이트 ... 283
  • 법령 ... 284
  • 인터뷰 ... 284
  • 부록 ... 285
  • 끝페이지 ... 295

표/그림 (97)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