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주관연구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
연구책임자 | 이인호 |
참여연구자 | 이상일 , 김승현 , 이정우 , 서민철 , 조윤동 , 이광상 , 김현경 , 동효관 , 배주경 , 김성혜 , 권경필 , 이규호 , 정기문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5-12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1800023012 |
DB 구축일자 | 2018-06-30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23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서답형 문항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개선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2014년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업성취도 평가 서답형 문항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답안 내용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특징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와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답안 유형별 빈도 및 성취도 점수에 따른 비율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분석함으로써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서답형 문항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개선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2014년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업성취도 평가 서답형 문항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답안 내용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특징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와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답안 유형별 빈도 및 성취도 점수에 따른 비율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분석함으로써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얻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성취도 평가 서답형 문항의 개선 방향,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국어과
국어과에서는 2010~2014년에 출제된 학업성취도 평가 서답형 문항 중 중학교 쓰기 영역 2문항(2013년 서답형 4번 문항, 2014년 서답형 5번 문항), 고등학교 문학 영역과 문법 영역에서 각 1문항(2013년 서답형 3번 문항, 2014년 서답형 2번 문항)을 선정하여 이에 대한 심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항 분석은 표집 학교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답안을 검토하여, 답지 반응 양상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빈도를 조사하였으며 성취도 점수에 따른 답안 유형별 분포 곡선과 비율 분포 곡선을 성취수준과 연계하여 유형별 특성을 보다 상세히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어과 서답형 문항은 교과의 특성상 다른 언어 능력의 간섭을 배제하기가 어려워 성취기준과 관련한 학생들의 역량을 온전히 평가하지 못하고 있으며, 제시되는 텍스트의 성격이나 난이도가 문제 해결 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통학력 학생들의 경우에도 기본적인 국어지식에 대한 이해 능력 및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이 미흡하며, 기초학력 이하 학생들에게서는 무응답 비율이 상당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출제되는 영역의 성취기준에 관한 학생들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 설계, 성취기준 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적합한 자료의 선정 및 제시 등 문항 출제상의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기본적인 국어지식의 함양 및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단위학교의 서답형 문항 확대 실시를 통한 서답형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제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사회과
사회과에서는 2010~2014년에 출제된 서답형 문항 중, 비교적 최근에 출제되어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성과를 확인하기에 좋으면서도 학생들의 응답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 서술형 문항을 지리 영역, 역사 영역, 일반사회 영역에서 각각 1문항씩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지리 영역에서는 보통학력 중위권 학생들 중 다수가 ‘빙하’를 인출하지 못하고 ‘눈’, ‘얼음’, ‘빙산’ 등을 인출하거나, ‘하천’이나 ‘바다’를 인출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빙하’만 인출하고 ‘침식’을 인출하지 못하여 ‘퇴적’이나 ‘화산’ 등을 인출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위 능력 구간에서는 무의미한 응답이나 무응답을 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보다 다소 높은 수준에서는 문항에 나오는 자료를 그대로 활용하여 응답을 만들어 낸 경우도 있었다. 역사 영역에서는 보통 및 우수학력 구간에서 다수의 학생이 ‘명이 강해지고 후금이 약해진다’는 서술을 하여 정답과 반대로 적은 경우가 많았고, ‘명과 후금이 서로 전쟁 흑은 대립했다’는 방향성이 없는 서술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 하위 능력 구간에서는 임진왜란 시기와 전혀 맞지 않은 고려 시대나 삼국 시대를 기재한 경우도 많이 나타났고, 문항에 주어진 ‘이순신’, ‘곽재우’ 등을 그대로 활용하여 답안을 작성한 ‘블러핑’ 유형도 많았다. 일반사회 영역에서도 지리나 역사 영역과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정답에 해당하는 유형의 비율은 우수학력 상 수준에서 가파르게 증가하였고, ‘헌법재판소’에 비해 ‘헌법소원’을 인출하는 것이 학생 수준에서는 더 어려운 것임이 확인되었다. 하위능력 구간에서는 출제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문항의 정보를 그대로 반복하는 ‘블러핑’ 유형이나 무의미한 응답을 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과 서답형 문항 분석 결과는 지식이나 개념의 단편적 암기나 이해를 강조하는 교수·학습을 지양하고 과정이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논리적 사고력을 강조하는 교수·학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를 감축해야 하며, 교과서 개발 시에도 내용이 과도하게 많아지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기초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경우 사회과 학습 결손이 심각하므로, 이들이 사회과에 대해 흥미를 갖고 주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교수·학습 지원도 필요하다.
수학과
수학과 서답형 문항에 대한 학생 답안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학교의 경우 첫째, 문항에서 요구하는 것이 다항식인지 등식(특히 함수)인지를 바르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장을 주의하여 읽도록 해야 한다 둘째, 일차함수에서 일차항의 계수는 기준이 되는 요소의 변화량에 대한 비교 요소의 변화량의 비(변화율)임을 정확히 이해시키과 이때 사용되는 단위를 바르게 적용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이차방정식에서 풀이는 바르게 하고 있으나, 처음에 이차방정식을 바르게 세우지 못한 경우는 문항을 제대로 읽고 파악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해야 한다. 넷째, 미지수의 조건을 기술하는 것은 정확한 논리 전달의 전제이므로 반드시 밝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이차방정식은 세웠으나 그것을 잘못 푼 경우는 동류항의 계산, 이항이나 실수배와 같은 등식의 성질, 인수분해나 근의 공식 등과 같은 풀이법을 다시 익혀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문제를 어떤 방법으로 해결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도 중요한 수학적 과정의 하나이므로 특정한 방법에 얽매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동치인 등식끼리는 등호로 연결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고등학교의 경우 첫째, 보통학력 수준 이하의 학생들에게는 조건, 조건의 부정, 진리집합, 명제와 같은 수학적 용어에 대한 의미를 분명하게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즉, 용어의 의미를 다룰 때 수학적인 다양한 예시의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조건과 명제를 다룰 때 집합과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와 더불어 일차함수 그래프에서 기울기의 의미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기 위한 교수·학습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좌표평면 위의 두 점의 좌표가 주어졌을 때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 더불어 원의 접선의 방정식을 효과적으로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교수·학습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특히, 기하 영역에 관련된 학습 내용을 다룰 때에는 함수 영역의 내용과 연계를 지어 효과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들이 문항을 해결할 때, 문항에서 제시하는 조건이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을 꼼꼼하게 점검하는 메타인지적인 학습 습관을 길러 줄 필요가 있다.
과학과
과학과는 문항 내용과 구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응답 유형이 나타날 수 있는 문항을 내용 영역별로 1문항씩 총 4문항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운동과 에너지 영역에서 2014년 서답형 1번 문항을 분석한 결과 성취수준에 부합하는 문항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정답률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교육 현장에서 정전기 현상에 대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특정 설명 방법이 선호되거나 대전이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추리보다는 현상 위주의 탐구 실험이 진행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물질 영역에서 2014년 서답형 3번 문항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성취수준에 따라 오개념의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기초학력 수준의 학생들은 주로 열에너지에 대한 오개념과 열에너지의 양에 관련된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보통학력 수준 이상의 학생들은 주로 끓는점에 대한 오개념과 열평형과 관련된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생명 영역에서는 2014년 서답형 6번 문항의 하위 문항별로 답안 유형을 구분하였다. 문항 분석 결과 성취수준에 따라 답안 유형의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오개념의 유형도 다르게 나타났다.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는 2014년 서답형 8번 문항을 분석한 결과 우리 은하의 모습을 묘사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였는데, 학업성취도 점수와 사용 빈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답안의 형태는 은하 관련 용어를 사용한 유형 이었다. 이로부터 단원에 특화된 용어들을 우수한 학생들은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학력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어려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학과 서답형 문항 분석 결과는 성취수준별 맞춤형 교수·학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수업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학생들의 수준에 따른 오개념을 파악하고 수업을 계획할 필요가 있지만 매 수업마다 교사가 이를 수행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서답형 문항 분석을 통해 드러나는 학생들의 오개념 유형을 자료집으로 정리하여 학교 현장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
영어과
영어과에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각 2개의 서답형 문항(말하기 영역 1개 문항과 쓰기 영역 1개 문항)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답안을 내용별로 유형화한 다음, 성취수준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취수준별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성취수준별로 보다 효과적으로 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중학교의 경우, 보통학력과 우수학력 하 수준의 학생들은 수 일치, 격 등과 같은 어법을 잘 이해하고 보다 정확하게 말하거나 쓸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기초학력 상 수준과 보통 학력의 학생들은 단어나 표현을 직접 써 보도록 하여 철자께 맞게 정확하게 쓸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며,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와 구동사의 의미도 이해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기초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경우 무응답이나 답과 상관없는 단어나 표현을 쓰는 경우가 많아, 듣거나 읽고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먼저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또한 단어 수준의 답안과 말하기 영역의 간접 평가 방식으로 인해 학업성취 특성 파악에 한계가 있으므로, 말하기와 쓰기 영역에 대한 평가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고등학교의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이 의사소통기능을 지닌 두 단어 이상으로 된 관용적인 표현(formulaic expression)의 의미를 파악하여 문법과 맥락에 맞게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명시적인 방법으로 다양한 관용적 표현을 지도하고 코퍼스 (corpus)나 다양한 듣기 자료를 활용하여 이러한 관용적 표현이 맥락상 어떤 상황에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훈련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와 함께 나오는 연어(oollocation) 사용법도 함께 익힐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우수학력 하 수준과 보통학력 수준의 학생들의 경우 담화를 듣거나 글을 읽고 그 내용은 이해하지만, 어법에 맞게 정확하게 말하거나 쓰는 능력은 부족하므로, 어법을 잘 이해하고 보다 정확하게 말하거나 쓸 수 있도록 하는 지도가 필요하다. 기초학력 및 기초학력 미달의 학생들의 경우 무응답 비율이 매우 높으므로 대화와 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문장 구조와 단어의 학습에 중점을 두어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책 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두 가지 정책을 제안하였다.
첫째, 서답형 문항 분석 관련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와 그 활용도 제고 방안을 마련하여 실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답형 문항에 대한 학생 반응 분석을 통해 학교 현장의 교수·학습 개선과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 유용한 정보들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답형 문항에 대한 답안과 분석 자료는 문항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예상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로서, 향후 특정한 개념이나 사고 과정에 초점을 맞춘 문항을 개발할 때 그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기존의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대를 발전시켜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분석 연구 결과 대를 구축하과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의 분석에 관한 연구 결과가 도출되면 이 자료들을 신속하게 탑재하여 교사나 연구자들이 이 자료에 쉽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서답형 문항 분석 관련 자료의 예화 및 그 활용도 제고를 통하여 학교 현장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학업성취도 평가의 피드백 기능이 강화될 수 있으며 서답형 문항과 관련된 학술 연구의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학교 서술형 평가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개선해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학교 평가에서 서술형·논술형·수행평가의 비중을 확대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과정의 기조가 학교 현장으로 전이되기 위해서는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문항 개발 및 분석, 평가 결과의 활용 방법 등에 대한 교사의 평가 능력 향상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서술형 평가가 학교 현장에 정착되어 그 결과가 교수·학습에 활발히 활용되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들이 서술형 평가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평가 설계 및 평가 결과 활용 능력을 겸비해야 한다. 우리 교육이 추구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해 내기 위해서는 그에 부합하는 교수·학습, 교육·평가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한 핵심적인 선결 과제 중 하나가 서술형 평가에 대한 교사의 평가 전문성 향상일 것이다.
(출처 : 연구요약 7p)
The present study aims at analyzing students’ responses to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order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o draw suggestions for enhanc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data is compiled of students’ responses to constructed response items on the Nat
The present study aims at analyzing students’ responses to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order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o draw suggestions for enhanc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data is compiled of students’ responses to constructed response items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from 2010 to 2014. Students, respons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ype an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NAEA scores. Results based on the NAEA achievement level are presented and the nature of academic achievement is discussed. In general’ the study results revealed learning difficulties and achievement characteristics based on achievement levels in Korean,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Implications related to how to enhance the curriculum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re presented.
Korean
For Korean, an in-depth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selected constructed response items of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dministered from 2010 to 2014. For the convenience of analysis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the results, two items from middle school Writing (constructed response item number 4 in the 2013 test, constructed response item number 5 in the 2014 test) and one item each from high school Literature and Grammar (constructed response item number 3 in the 2013 test, constructed response item number 2 in the 2014 test) were selected The responses to the constructed items made by students fram sanple-based testing schools reviewed to classify the responses by type, examine the frequenc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level using the distribution curve of frequency and rate per achievement score.
The results show that it is hard to separately evaluate students’ capability related to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domain being tested as the interference of other linguistic skills is unavoidable. It is also indic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fficulty level of texts have a great influence on how students solve problems. Even Proficient level students lack a basic understanding of grammar and have hard time expressing their thoughts; Basic and Below-Basic students showed high non-response rate.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are made for writing questions for the assessment of students7 capability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domain being tested and for selecting and introducing apprcpriate materials to hdp students attain the achievement level. In addition, it is also suggested to reinforce teaching and learning to cuMvate students’ basic grammatical knowledge an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as well as the need to raise students’ awareness regarding constructed response items by increasing their encounters with constructed response items.
Social Studies
An analysis was made on constructed response items, which can draw various responses from students, administered from 2010 to 2014, so that the attainment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could be confirmed Selected items measured concepts such as the erosion of glaciers in Geography, the power changes in the Northeast Asia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Histoiy, and filing constitutional petitions with the constitutional court in General Social Studies.
In Geography, a number of students at Md-Profident level failed to produce the term glaaer and instead answered "snow", "ice", "iceberg", "river", or "sea". Among students who answered “glacier", many failed to respond “erosion” and instead produced “sedimentation” or “volcano activity.” Many students at the low proficiency level gave insignificant answers or no answer at all, while a number of students above the low proficiency level provided answers using the exact wording from the question.
In history, a number of Proficient and Advanced level students answered that the Mng Dynasty gained power, wtule Later Jin became weaker一"which is the opposite of the correct answer一and many students sinply answered that the Mng Dynasty and Later Jin had battles or conflicts. Many students at low proficiency level wrote about Koryo Dynasty or Three Kingdoms of Korea from periods not related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they gave answers involving 'bluffing5 by using names such as "Yi Sun-sin” or “Gwak Jae-u” that were already given in the question.
General Social Studies showed similar tendency with Geography and history. The ratio of correct answers sharply increased in Advanced level, and students had a harder time producing the term “constitutional petition” than “Constitutional Court.” The ratio of insignificant answers or ‘bluffing’ type answers where students rewrote the information given in the question without clearly corrprehending what the question was asking was high in the low proficiency level.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rote memorization or understanding of superficial knowledge and concepts should be avoided, and logical thinking that focuses on process and cause and effect is needed. In order to boost logical thinking in classes, the curriculum should be reduced by, for exanple, limiting the amount of content in textbooks. As it was found that learning deficits of the students at Basic and Below-Basic level were serious,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is needed to motivate them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learning Social Studies and understanding essential content.
Mathematics
The analysis results of students’ responses to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Mathematic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able to read ques仕ons carefully in order to recognize whether the ques仕on is asking for a polynomial or equation (especially a function). Second, student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coefficient of the linear term in linear function is the variation ratio (rate of change) of the comparing factor in relation to the variation of the basic element; they should also be able to use appropriate units. Third, if students understand how to solve quadratic equations but fail to form proper quadratic equations, they should focus on reading and corrpnehending the question properly. Fourth, students should be able to describe the conditions of an unknown number in order to take a logical approach to the question. Fifth, if students get the wrong answer even with the correct formation of the quadratic equation, they should study the properties of equation such as calculation of similar terms, transposition or real number multiple as well as the algorithm including factorization or the quadratic formula again. Sixth, students should not have a restricted view when solving math problems as deciding how to solve problems is an inportant rmthematical process, and they should learn not to connect equivalent equations with an equality sign.
For high school Mathematics, first of all, students at below Proficient level need to clearly understand the meanings of mathematical terms including condition, negation of conditicai, truth set, and proposition. Therefore, various imthematical exanples should be provided when introducing the meanings of the terms. Seccnd,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linking the condition and proposition with the set should be sough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iirprov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slopes in graphs of linear function should be supplemented Thir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need to be enhanced for students to understand how to form the equation for the linear line when given two coordinates on a coordinate plane and how to effectively form equations of a tangent line on a circle. In particular, when teaching Geometry, teachers need to effectively teach students by linking it with function. Fourth, when students solve problems, they should be taught to take the meta-cognitive approach by carefully checking the conditions suggested in the question.
Science
An analysis was made on four questions, each one from four different content domains that are likely to draw various responses.
In Motion and Energy secti여 the analysis of the constructed response item number 1 in the 2014 NAEA shows that the rate of correct answers was very low despite the fact that the question corresponds well to the achievement level. It can be assumed that it is because a certain way of instruction is preferred in teaching and learning about static electricity or because students are asked to experiment the phenomenon instead of making inferences about how electrification occur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curve of students' responses to the constructed response item number 3 of Matter section in the 2014 NAEA, students have different misconceptions depending on their achievement level. Students at Basic level tended to have misconceptions about the quantity of thermal energy, while students above Proficient level had misconceptions about the boiling point and thermal equilibrium According to the analysis, students at Basic level are not conpetent about the concepts of thermal energy, while students above Proficient level are conpetent about thermal energy yet are confused by similar concepts.
In life section, the constructed response item number 6 was analyzed and students' responses were cat^orized.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at different achievement levels seem to have different misconceptions.
The analysis of the constructed response item number 8 of Earth and Space section in the 2014 NAEA shows that students used various terms in their description of the galaxy, and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al achievement score and the frequency of words was shown in the responses where students used terms related to the galaxy. In ccnparison, students responded using general words did not show a congelation with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score at the level above Proficient This shows that Advanced level students make use of specialized terms acquired in each unit, while low proficiency students have difficulty using such terms.
Therefore, according to the results, both understanding and nisconception of students differed according to achievement levels, so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achievement levels should be develcped At the lesson planning stage, students' misconceptions should be considered and content should be organized to elimmate misconceptions. It was also suggested that troubleshooting based on students’ misconceptions could be provided and accessed online to assist teachers in diagnosing students’ misconceptions.
English
The responses of around 7,000 to 8,000 students from sanple-based testing schools regarding two constructed response items (one item from Speaking section and one item from Writing section) each from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ere analyzed The respons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ir content and then analyzed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level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each achievement level was obtained.
Mddle school students at Proficient level and low Advanced level need to understand the correct use of number agreement, and speak and write accurately. high Basic and Proficient level students need to be taught how to use words and letters, so that they learn to use and spell them correctly. Diverse meanings of words and phrasal verbs should be taught to expand vocabulary. The percentage of no responses and irrelevant answers at Basic and Below-Basic level was high, which inplies that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understand basic content when listening and reading in English. Since requesting one word answers in constructed response items and indirect method of assessing speaking do not evaluate speaking and writing prcperly, speaking and writing evaluation should be improved.
For high school students, corpus and collocation based teaching could be useful in enabling students to use formulaic expressions considering grammar, meaning, and context. For low Advanced and Proficient level students who understand the content but are unable to speak and write correctly, language usage and grammar should be taught to increase accuracy. Basic and Below-Basic level students should be taught basic vocabulary and sentence structures to understand the main ideas of a text or dialog.
Suggestions for Policy Making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two policies are suggested.
First, the construetion of a database for constructed response items and its utilization should be initiated. This study showed that useful information for iir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as well as revising the curriculum can be obtained from ongoing analysis of students7 responses to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addition, answers to constructed response items and the analyzed data are expected to be of practical use in developing items for particular concepts or thinking processes as such errpirical data is helpful for predicting students’ responses to questions. Therefore, the existing database of the NAEA items should be e제ided to include research findings on the analysis of the NAEA. The research findings of the item analysis of the NAEA and data should be made available online in a timely manner for teachers and researchers to access and utilize. Through such a database of constructed response items and the iirprovement of its utilization, feedback for achievement assessment regarding classes and cuniculum revisions can be better obtained and academic research on constructed response items can be facilitated.
Seccnd, teacher-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deped for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constructed respons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 greater enphasis is placed on constructed response assessment, essay-type assessment, and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e cultivation of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students. To conplement this orientation, teachers’ assessment abilities including knowledge about the development and analysis of constructed response and essay-type items as well as the utilization of assessment results should be enhanced Therefore, teachers should acquire knowledge about constructed response assessment, be able to design evaluation criteria, and utilize assessment results. To cultivate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students, teaching and learning as well as assessment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ly as fostering teachers’ expertise in constructed response assessment is a crucial prerequisite.
(출처 : Abstract 271p)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Copyright KISTI. All Rights Reserv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