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우리나라 대학생의 음주행태 심층조사 |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8-01 |
과제시작년도 | 2017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등록번호 | TRKO201800037969 |
과제고유번호 | 1465025076 |
사업명 |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 |
DB 구축일자 | 2018-09-15 |
키워드 | 음주.대학생 음주.대학생 음주행태.대학생 고위험 음주.Alcohol.college drinking behavior.high-risk drinking.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37969 |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음주실태를 심층조사하고 국가단위 음주 통계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대학생 음주행태 심층조사를 위한 설문자료 검토 및 보완을 위해 선행연구과제에서 개발된 설문자료와 선행연구들...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음주실태를 심층조사하고 국가단위 음주 통계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대학생 음주행태 심층조사를 위한 설문자료 검토 및 보완을 위해 선행연구과제에서 개발된 설문자료와 선행연구들을 면밀히 검토하였으며 대학생 음주의 특수한 환경과 문화를 반영하여 설문지를 보완하였다.
- 전국의 대표성을 갖는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통계서비스 DB와 교육청의 통계알리미를 이용하여 전국대학생의 모집단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단계층화확률추출을 통하여 전국 대학생 500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한국갤럽에서 심층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통계분석을 통해 음주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외국대학생의 기본적인 음주행태를 살펴보고 이를 한국대학생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진 자체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외국인 대학생 500명을 온라인설문 방식을 이용하여 음주행태를 조사하였고 한국대학생과 비교하였다.
- 통계분석을 통해 국내 대학생들의 음주행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도록 음주통계집을 제시하였다. 또한 외국 대학생들의 기본적은 음주행태를 제시하였고 한국대학생과의 음주행태를 비교하였다.
- 연구결과, 국내대학생의 평생음주율은 95.8%, 연간음주율은 91.9%, 월간음주율은 75.4% 였다. 문제음주라고 할 수 있는 고위험 음주율은 20.3% 였으며, 연간 만취음주 경험은 55.3% 였다. 연간 음주빈도는 ‘월 2-4회’ 음주가 전체의 40.0%로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연간음주자의 1회 음주량은 ‘10잔 이상’이 38.4%로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음주시작연령은 평균 17.8세였다. 음주운전과 관련하여 연간 음주운전을 경험한 분율은 4.2% 였다.
- 고위험 음주와 관계있는 요인 파악을 위한 분석에서, 학점이 낮을수록, 자취/하숙으로 거주할수록, 고등학생때 만취경험이 많을수록, 소속된 동아리 개수가 많을수록, 식사할 때 음주를 곁들이고 음주 전/후 고카페인음료를 섭취하고 숙취해소음료를 섭취할수록, 현재 흡연을 할수록 고위험 음주와 유의하게 관련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문제음주와 학업관련문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고위험 음주 경험여부와 만취음주 경험 여부가 수업을 빠진 경험과 술로 인해 수업진도를 못 따라간 경험과 유의하게 관련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 한국 대학생과 외국대학생의 음주율을 비교하였을 때, 한국 대학생의 평생음주율은 외국 대학생 (뉴질랜드, 미국, 영국, 태국, 그 외 국가) 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연간, 월간 음주율은 영국을 제외한 외국 대학생 보다 높은수준 이었으며, 고위험 음주율은 모든 외국대학생 조사대상자에 비해 높았다.
(출처 : 요약문 12p)
-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drinking behaviors and drinking-related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
-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drinking behaviors and drinking-related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o produce national alcohol statistics.
- In order to review and supplement the existing alcohol questionnaire developed in a previous investigation, previous research projects directed at measuring college students’ drinking behaviors were analyzed in depth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ollege drinking behavior and culture.
- In order to stratify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college students, the distribution of students around the country were found through the educational statistics database of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Based on this information, we conducted an in-depth survey in collaboration with Gallup (Korea) to survey and analyze the drinking behaviors of 5000 Korean student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drinking behaviors of 500 foreign college students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at of Korean college students.
-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e drinking behaviors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relative statistic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In addition, basic drinking behaviors of overseas college students were presented and compared with the behaviors of Korean students.
- The results showed that 95.8% of Korean students had consumed alcohol in their lifetime and 91.9% had done so in the last year. 75.4% were monthly drinkers and 20.3% were analyzed as problematic drinkers. 55.3% had had episodes of complete intoxication and the majority (40.0%) of students consumed alcohol 2-4 times per month. 38.4% of students said they consume more than 10 drinks per drinking session. The average age of drinking onset was 17.8 years and around 4.2% of students had experiences with drink-driving.
- Some of the risk factors of high-risk drinking were as follows: low GPA, early age of drinking onset, participation in multiple school clubs, experience drinking alcohol with meals and/or caffeinated drinks, and smoking status.
(출처 : Summary 13p)
참여 연구원 |
---|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우리나라 대학생의 음주행태 심층조사 |
---|---|
연구책임자(Manager) : | 박은철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17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대학생, 음주, 근거중심정책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연세대학교산학협력단 |
연구목표(Goal) : | ○ 선행연구과제에서 개발된 설문을 활용하여 대학생의 음주실태를 심층조사하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국가단위 음주 통계를 생산 대학생 음주행태 심층조사를 위한 설문자료 보완- 선행연구과제에서 개발된 성인 청소년 대상 음주관련 설문자료를 바탕으 로 대학생 음주의 특수 환경 문화를 반영하여 실태조사에 적합한 설문지로 보 완(발주부서와 협의)○ 음주행태... |
연구내용(Abstract) : | ○ 음주행태 심층조사를 위한 설문자료 - 선행연구과제에 개발된 설문자료활용(발주부서 제공) - 대학생 음주의 실태조사에 적합한 설문자료추가(발주부서와 협의)○ 음주행태 심층조사 - 조사대상 : 19세 이상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약 4,000명 ※대상자는 일반인구 집단을 반영하도록 지역, 성, 연령 등을 고려해야하며, 변경 시 발주부서와 협의 - ... |
기대효과(Effect) : | ○ 정확한 음주 현황, 폐해, 환경, 정책, 개인(심리) 등 국가단위 음주통계를 통한 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 마련○ 국가 음주정채 수립에 활용 - 대학생 음주 가이드라인 작성에 활용 - 대학생의 주기적 음주 현황 모니터링 구축하는데 기본 틀로 활용 - 대학생 고위험 음주 폐해 예방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