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SungKyunKwan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정해관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6-12 |
과제시작연도 |
2016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연구관리전문기관 |
질병관리본부 Korea Center for Diease Control and Prevention |
등록번호 |
TRKO201800038026 |
과제고유번호 |
1465022069 |
사업명 |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 |
DB 구축일자 |
2018-09-15
|
키워드 |
대기오염.건강영향.한국.Air pollution.Health impacts.Korea.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38026 |
초록
▼
대기오염은 공중보건의 주요 위험요인 중의 하나로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은 단지 호흡기질환을 악화시킬 뿐 아니라 뇌심혈관질환의 악화, 출산영향, 대사질환, 정신질환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건강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미세먼지 오염은 대도시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문제이다. 취약계층인 노인연령층의 분포가 농촌지역에 더 집중되어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대기오염의 건강영향을 각 지역수준에서 평가하고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기의 질과 건강의 상관관계 및 건강영향 연계성과 관련된 과학적 근거를 개발하여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예방하
대기오염은 공중보건의 주요 위험요인 중의 하나로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은 단지 호흡기질환을 악화시킬 뿐 아니라 뇌심혈관질환의 악화, 출산영향, 대사질환, 정신질환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건강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미세먼지 오염은 대도시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문제이다. 취약계층인 노인연령층의 분포가 농촌지역에 더 집중되어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대기오염의 건강영향을 각 지역수준에서 평가하고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기의 질과 건강의 상관관계 및 건강영향 연계성과 관련된 과학적 근거를 개발하여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대기오염과 관련된 주요한 건강영향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 대기오염 노출수준과 관련된 질병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지역단위로 산출하며 대기오염에 의한 건강관리방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 대기오염으로 인한 다양한 건강영향을 국내외 자료를 근거로 근거수준별로 요약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건강피해에 대한 연구와 건강증진대책 수립을 위한 한국형 factsheet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분야별 체계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2. 지역수준의 대기오염도 노출평가: 화학수송모형을 이용하여 대기오염도를 산출하였다. 화학수송모형에는 CMAQ 모형을 이용하고 배출량은 MEIC, REAS, CAPSS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를 실제 측정치와 동기화과정을 거쳐 전국적으로는 9 km 격자, 수도권은 3 km 격자 수준으로 일별 대기오염도를 산출하였고 이를 시군구 행정구역 경계에 따라 산출하였다. 2006, 2009, 2012, 2013 4개년간에 걸쳐 일별로 산출하였다.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오염수준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중부지역에 걸쳐 있으며 남부지역은 광역시와 공업지역을 중심으로 고농도지역이 분포되어 있었다. 미세먼지는 최근으로 오면서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지역만 호전되는 경향을 보였다.
3. 대기오염물질 노출농도를 이용한 건강지도 작성: 지역별 대기오염지도를 기반으로 지역별 대기오염에 의한 초과사망률을 산출하였다. 건강영향은 총사망과 심혈관질환 사망으로 산출하였다.
이를 시간 및 공간상관성을 고려하여 분석할 수 있는 베이지안 계층적 시공간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일별 기상 및 대기오염자료 이외에 지역박탈지수를 이용하여 지역간의 건강불평등 요소를 고려하였다. 미세먼지(PM10)에 의한 우리나라의 기대초과사망자수는 2012-2013년 기준 총사망 66,426명(최대 88,083명), 심뇌혈관질환 20,694명(최대 37,647명), 초미세먼지(PM2.5)에 의한 총사망은 51,297명(최대 80,324명), 심뇌혈관질환 사망 21,766명(최대 37,604명)이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지역, 충청 및 전북 내륙지역, 경북 남부내륙지역과 동해 남부해안지역, 남해 공단지역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기대사망자수는 광역시지역이 도지역보다 높았으나 심뇌혈관사망수는 도지역과 광역시지역은 비슷한 수준의 기대사망수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시군구를 포함한 전국적 수준의 대기오염도 산출을 토대로 건강지도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는 지역불균형 해소와 대기오염에 대한 지역수준의 관리 및 대응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출처 : 최종보고서 요약문 9p)
Abstract
▼
Air pollution is one of the major risk factors for public health. Air pollution not only exacerbates respiratory illnesses, but also affects a wide range of health effects, ranging from aggravation of cerebrovascular disease, birth effects, metabolic diseases and mental illnesses. Recently, fine dus
Air pollution is one of the major risk factors for public health. Air pollution not only exacerbates respiratory illnesses, but also affects a wide range of health effects, ranging from aggravation of cerebrovascular disease, birth effects, metabolic diseases and mental illnesses. Recently, fine dust pollution is not confined to metropolises, but became a national problem. Considering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elderly age group is more concentrated in the rural areas, the health impact of air pollution needs to be evaluated and approached at each loca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mmarize the scientific evidence related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the air and health and the linkage of health effects, and to prevent health damage caused by air pollution.
Specifically, it aimed to secure scientific basis for major health effects related to air pollution, to calculate the health effects of diseases related to air pollution exposure level, and to develop health care measures by air pollution.
1. We have summarized the various health effects of air pollu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evidence based on domestic and overseas data. Based on this, we have developed a Korean factsheet for studying domestic health damage and establishing health promotion measures. To accomplish this, a systematic review was carried out by sector.
2. Exposure assessment of nationwide air pollution by locality: Air pollution was calculated using chemical transport model. The CMAQ model was used for the chemical transport model, and the emission data were used for the MEIC, REAS, and CAPSS data. The average daily pollution level was calculated at 9 km grid at national level and 3 km grid at capital area and it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boundary of administrative district of city and district in 2006, 2009, 2012 and 2013, respectively. The level of fine dust pollution in Korea was centered on the metropolitan area, and in the southern region, high concentration areas are distributed mainly in metropolitan cities and industrial areas. Fine dust recently showed a tendency to improve only in the metropolitan area centering on the Seoul area.
3. Preparing a health map based on the air pollutant concentration: Based on the regional air pollution map, we estimated the excess mortality due to air pollution in each region.
Health effects were calculated as all cause mortality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The Bayesian hierarchical spatiotemporal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time and spatial correlation. The health inequality factor was considered by using the regional deprivation index in addition to daily weather and air pollution data. The expected number of excess all cause deaths and cardiovascular deaths by the PM10 in Korea was estimated to be 66,426 (maximum 88,083) and 20,694 (maximum 37,647), respectively. Expected number of all cauuse deaths and cardiovascular deaths from PM2.5 were 51,297 (maximum 80,324) and 21,766 (maximum 37,604), respectively. By region, it was distributed in 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and Jeonbuk inland areas, Gyeongbuk southern inland area, southeastern coastal area, and industrial complex in the southern coast. The number of expected deaths was higher in the metropolitan area than in the metropolitan area, but the number of cardiovascular deaths was similar to that in the metropolitan area.
Through this study, the health guidanc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calculation of the nationwide level of air pollution including the city / county of Korea.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regional imbalance resolution and establishment of local level management and countermeasures against air pollution, one of the main health risk factors.
(출처 : Summary 10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학술연구개발용역과제 최종결과보고서 ... 2
- 목차 ... 3
- 표목차 ... 4
- 그림목차 ... 5
- 연구결과최종보고서 요약문 ... 9
- Summary ... 10
- 학술연구개발용역과제 연구결과 ... 11
- 제1장 연구의 필요성 ... 11
- 제2장 최종 연구목표와 당해연도 연구목표 ... 33
- 제3장 최종 연구 내용 및 방법 ... 37
- 제 1절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 Factsheet ... 37
- 제 2절. Health mapping을 위한 exposure mapping ... 78
- 제 3절 대기오염물질 노출농도를 이용한 Health mapping ... 187
- 제4장 최종 연구 결과 ... 230
-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34
-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236
- 제7장 연구용역과제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238
- 제10장 참고문헌 ... 239
- 제11장 첨부서류 ... 239
- 부록. 특별/광역시/도 별 초과사망자 ... 240
- 끝페이지 ... 26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