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자연도를 이용한 야생 동·식물 서식지 관리방안 연구
GIS-based Wildlife Habitat Management Strategies in Kore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노백호
참여연구자 정홍락 , 배수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대한민국
발행년월2005-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800044123
DB 구축일자 2019-06-01

초록

연구의 개요
높은 인구밀도와 공급위주의 국토개발정책으로 야생 동·식물의 서식공간인 산림이나 갯벌이 감소, 악화, 상호 단절됨에 따라 서식공간의 질이 저하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 산업화 및 도시화 과정에서 자연을 이용과 개발의 대상으로만 인식함에 따라 귀중한 자연자원의 상실을 초래하였다. 즉 백두대간 등 주요 생태축이 단절되었으며, 갯벌·습지 등 야생 동·식물의 주요 서식지가 훼손됨에 따라 생물다양성을 지탱하는 공간이 감소되어 국가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야생 동·

Abstract

Korea supports a diverse range of habitats, including coastal wetlands, estuaries, paddy fields and woodlands, which act as nesting and feeding grounds for migratory birds and carnivorous predators. However, many wildlife species are facing extinction as a consequence of habitat loss and fragmentati

목차 Contents

  • COVER ... 1
  • Foreword ... 4
  • Abstract ... 6
  • Table of Contents ... 8
  • List of Tables ... 10
  • List of Figures ... 11
  • Chapter 1. Introduction ... 13
  • 1. Background and Objective ... 13
  • 2. Materials and Methods ... 15
  • Chapter 2. Habita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 17
  • 1. Current status of wildlife and habitat in Korea ... 17
  • 2. Wildlife habita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 19
  • 3. Nationwide survey programs related to species and habitats ... 21
  • Chapter 3.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Wildlife Protection Areas ... 25
  • 1. Overview ... 25
  • 2. Selection of target species: Leopard cat ... 26
  • 3. Habitat model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leopard cat ... 29
  • 4. Suitable habitats and existing protected areas ... 33
  • 5. Management implications for wildlife protection area ... 36
  • Chapter 4. Wildlife Overpasses to Connect Fragmented Habitats ... 39
  • 1. Overview ... 39
  • 2. Selection of target species: Wild boar ... 41
  • 3. Habitat model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wild boar ... 44
  • 4. Use of habitat suitability map to locate wildlife overpasses ... 51
  • 5. Management implications for wildlife overpasses ... 54
  • Chapter 5. Riparian Habitat Management from a Watershed Perspective ... 58
  • 1. Overview ... 58
  • 2. Selection of target species: Eurasian otter ... 59
  • 3. Watershed-based habitat suitability model for Eurasian otter ... 62
  • 4. Delineation of habitat suitability map for Eurasian otter ... 65
  • 5. Management implications of riparian habitat for otters ... 68
  • Chapter 6. Conclusions ... 71
  • References ... 73
  • Abstract In Korean ... 80
  • End of Page ... 85

표/그림 (2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