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적정 하천공간 확보방안 연구
Sustainable Spatial River Planning for Climate Chang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정주철
참여연구자 김익재 , 이진희 , 홍현정 , 지용근 , 조성윤 , 김호정 , 박정일 , 김태형 , 주기재 , 정인철 , 정광석 , 신해수 , 최종윤 , 라긍환 , 황인성 , 오정은 , 안준영 , 이인석 , 고석오 , 신원식 , 임업 , 이제선 , 김동현 , 조성철 , 이현수 , 박창근 , 김정수 , 김좌관 , 오수길 , 이인화 , 최승일 , 이재우 , 김진민 , 이관형 , 양승헌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9-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900000070
DB 구축일자 2019-05-18

초록

국내 강수량은 지역·계절별 편차가 커 이수와 치수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같은 많은 하천정비 사업이 진행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홍수의 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피해규모 또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더구나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농경지, 시가지의 확대로 하천공간이 대부분 농경지나 시가지로 전환되면서 저지대 지역이 발생, 이에 따라 침수구역이 증대되고 인명 및 재산피해를 가중시키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 기존 제방위주의 하천개수사업에 중점을

Abstract

There have been difficulties to use and control water resource in Korea because of its regional and seasonal deviation of precipitation.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river restoration plans, such as 4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have been conducted. In spite of these efforts, the damage of d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 언 ... 3
  • 국문요약 ... 5
  • 목차 ... 9
  • 표목차 ... 13
  • 그림목차 ... 15
  • 제1장 서 론 ... 19
  • 1. 연구의 목적 ... 20
  • 2.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20
  •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1
  • 가. 공간적 범위 ... 22
  • 나. 내용적 범위 ... 22
  • 제2장 기후변화 대응 홍수위 분석 ... 23
  • 1. 4대강 살리기 사업의 고찰 ... 24
  • 2. 기후변화 대응 홍수위 분석 ... 27
  • 가. 낙동강유역 주요관측소의 강우량과 태풍 모라꼿 ... 28
  • 나. 낙동강유역 500년 빈도 홍수위 분석 ... 30
  • 3. 제방의 치수경제성 분석 ... 38
  • 가. 시나리오 수립 ... 39
  • 나. 편익산정 ... 40
  • 다. 비용산정 ... 42
  • 라. 경제성 분석 ... 48
  • 4. 시사점 ... 49
  • 제3장 하천공간 확보방안 사례 연구 ... 51
  • 1. 하천구역 및 하천공간의 개념 고찰 ... 52
  • 2. 유럽 사례 ... 54
  • 가. 네덜란드 ... 54
  • 나. 독일 ... 57
  • 다. 스위스 ... 58
  • 라. 기타 ... 60
  • 3. 미국 사례 ... 60
  • 가. UMRCP 개요 ... 60
  • 나. 대안 계획의 설계 원칙 ... 61
  • 다. 대안 계획의 구성 ... 62
  • 라. 대안 계획에 대한 평가 ... 66
  • 마. 평가 결과 ... 67
  • 바. 공청회 개최 및 의견조정 ... 68
  • 4. 일본 사례 ... 71
  • 5. 사례 종합 및 시사점 ... 75
  • 제4장 하천공간 확보 방안 및 공간계획 ... 77
  • 1. 이론적 기반 : 생태계획(Ecological Planning) ... 78
  • 2. 종적 하천공간 확보방안 ... 85
  • 가. 준설 지점의 선별 ... 86
  • 나. 준설환경 기준 설정 및 적정관리 ... 89
  • 다. 준설된 하천 퇴적물관리 ... 91
  • 3. 횡적 하천공간 확보방안 ... 94
  • 가. 저지대 ... 95
  • 나. 강변저류지 ... 104
  • 다. 습지 및 구하도 복원 ... 113
  • 라. 역사․문화 ... 122
  • 4. 하천공간 확보 공간계획 ... 127
  • 제5장 하천공간 통합관리 방안 ... 133
  • 1. 재해완화정책 ... 134
  • 2. 거버넌스(Governance) 구축 ... 137
  • 가. 4대강 살리기 사업에 관한 주민의식 조사 ... 137
  • 나. 거버넌스의 개념 ... 138
  • 다. 하천공간 확보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 139
  • 3. 유역 차원의 중장기 계획 ... 143
  • 제6장 결론 및 제언 ... 145
  • 참고 문헌 ... 149
  • 부 록 ... 155
  • Abstract ... 159
  • 끝페이지 ... 168

표/그림 (10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