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 유류유출사고의 중장기적 영향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
Policy Measures in Response to Marine Oil Spills based on Long‐term Impac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신용승
참여연구자 한상운 , 정진희 , 정종관 , 정옥식 , 오혜정 , 장창석 , 양은영 , 김종렬 , 이상희 , 이승배 , 주정덕 , 서우성 , 강원석 , 이성재 , 목진용 , 최충익 , 정원옥 , 이성태 , 김명수 , 최병학 , 차진열 , 권헌교 , 김유훈 , 장래익 , 신옥주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9-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900000073
DB 구축일자 2019-05-18

초록

본 연구는 지난 2007년 12월 7일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Hebei Spirit)호 유류유출사고’에 따른 환경 · 생태적 변화, 사회 · 경제적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중장기적 영향을 분석 · 예측하는 모델을 수립하고 종합적인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내용을 ‘유류유출사고의 환경 · 생태적 영향 및 복원 방안’, ‘유류유출사고의 사회 · 경제적 영향 및 피해배상 방안’, ‘사고대응 및 예방을 위한 법 · 제도적 개선 방안’의 세 분야로 나누고 각각의 세부 주제

Abstract

This study details the results of the first of three years of joint research, and is intended to prepare policy measures in response to marine oil spills based on the case study of the ʺHebei Spirit Oil Spill.ʺ The study includes (1) monitoring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ecological and socio‐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 언 ... 8
  • 국문 요약 ... 10
  • 목차 ... 20
  • 표목차 ... 24
  • 그림목차 ... 28
  • 제1부 서 론 ... 33
  • 제1장․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5
  • 1. 연구배경 ... 35
  • 2. 연구의 목적 ... 36
  • 3. 선행 연구 현황 ... 39
  • 제2장․연구 범위 및 방법 ... 40
  • 1. 연구 내용 및 범위 ... 40
  • 2. 연구 방법 및 추진체계 ... 41
  • 제2부 유류유출사고의 환경 · 생태적영향 및 복원방안 ... 45
  • 제1장․해양오염 실태 및 복원방안 ... 47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47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48
  • 3. 유류오염 실태조사 ... 58
  • 4. 유류오염지역 방제관리 ... 70
  • 5. 해양생태계 복원 ... 87
  • 6. 요약 및 소결 ... 109
  • 제2장․육상 훼손지 실태 및 복원방안 ... 113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13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113
  • 3. 훼손지 현황 ... 115
  • 4. 훼손지 복원방안 ... 122
  • 5. 요약 및 소결 ... 143
  • 제3장․주민건강 영향 ... 145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45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146
  • 3. 국외 연구 동향 ... 149
  • 4. 유류오염의 독성 및 노출 영향 ... 151
  • 5. 설문조사 ... 153
  • 6. 생체지표 분석 결과 ... 155
  • 7. 요약 및 소결 ... 173
  • 제3부 유류유출사고의 사회 · 경제적 영향 및 피해배상 방안 ... 175
  • 제1장․피해보상률 제고를 위한 대응방안 ... 177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77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180
  • 3. 국내의 유류오염 손해배상 사례분석 ... 180
  • 4. 외국 유류오염 보상사례 ... 208
  • 5. 요약 및 소결 ... 247
  • 제2장․관광피해 추정 및 배상방안 ... 25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5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254
  • 3. 관광업 피해신고 및 배상액 산정 현황 ... 256
  • 4. 관광수요 현황 ... 270
  • 5. 설문조사 ... 280
  • 6. 요약 및 소결 ... 291
  • 제3장․지역사회 갈등구조 분석 및 극복방안 ... 295
  • 1. 연구 배경 및 목적 ... 295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297
  • 3. 환경갈등 관리에 대한 이론적 검토 ... 299
  • 4. 갈등구조 분석 ... 310
  • 5. 갈등해소와 지역발전 및 공동체회복 전략 ... 326
  • 6. 요약 및 소결 ... 332
  • 제4부 사고대응 및 예방을 위한 법 · 제도적 개선방안 ... 337
  • 제1장․방제 지휘체계 개선방안 ... 339
  • 1. 방제 지휘체계의 개념 ... 339
  • 2. 해양오염사고 방제 지휘체계 현황 ... 340
  • 3. 허베이 스피리트호 사고 대응에서 방제 지휘체계의 문제점 ... 346
  • 4. 방제 지휘체계 개선방안 ... 356
  • 5. 요약 및 소결 ... 363
  • 제2장․해양유류오염 예방 및 방제능력 제고를 위한 법제정비 ... 369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69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371
  • 3. 우리나라 현행 유류오염예방 및 방제법제 ... 373
  • 4. 제도 개선방안 ... 405
  • 5. 요약 및 소결 ... 436
  • 제5부 결론 및 2차 연도 연구계획 ... 439
  • 제1장․요약 및 결론 ... 441
  • 1. 유류유출사고의 환경 · 생태적영향 및 복원방안 ... 441
  • 2. 유류유출사고의 사회 · 경제적 영향 및 피해배상 방안 ... 443
  • 3. 사고대응 및 예방을 위한 법 · 제도적 개선방안 ... 447
  • 4. 종합결론 ... 449
  • 제2장․2차 연도 연구계획 ... 451
  • 1. 연구 목적 ... 451
  • 2.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 451
  • 부 록 ... 455
  • 참고 문헌 ... 548
  • Abstract ... 556
  • 끝페이지 ... 557

표/그림 (18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