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평가를 활용한 토지이용계획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도시 및 택지개발을 중심으로
Environmental Land Use Planning and Design through Environmental Assess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정주철
참여연구자 조공장 , 문난경 , 신경희 , 이상범 , 이영준 , 전인수 , 최준규 , 최희선 , 박정일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9-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900000077
DB 구축일자 2019-05-18

초록

현대 토지이용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토목공사 위주의 전통적인 방식을 비판하고 건축학과 환경심리학을 바탕으로 친환경 도시설계와 생태계획을 추구하는 환경토지이용 계획에 근간을 두고 있다. 최근 선진국에서 논의되는 스마트성장, 뉴어바니즘, 지속 가능한 개발 등의 개념들은 기후변화 문제, 지속 가능한 발전, 생태계 보전 등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더불어 녹색도시 실현의 주요한 실천방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평가제도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녹색도시라는 이상의 실현을 가능케 하는 매우 실질적이고 강력한 제도적 장치로 그 중요

Abstract

One of the major historical planning issues in Korea is the disparity between spatial planning and environmental plan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c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egration betw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 언 ... 3
  • 국문 요약 ... 5
  • 목차 ... 8
  • 표목차 ... 11
  • 그림목차 ... 13
  • 제1장․서 론 ... 17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7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18
  • 가. 연구범위 ... 18
  • 나. 연구방법 ... 18
  • 3. 관련 선행연구 ... 19
  • 가.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 ... 19
  • 나. 환경평가와 토지이용계획 ... 23
  • 제2장․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 관련 문헌고찰 ... 25
  • 1. 토지이용계획의 이론적 접근 ... 25
  • 가. 토지이용계획의 개념 ... 25
  • 나. 타 계획과의 관계 및 역할 ... 27
  • 다. 현대 토지이용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 ... 29
  • 2. 토지이용계획의 환경성 제고를 위한 접근 ... 40
  • 가. 환경평가와 토지이용계획의 이론적 접근 ... 40
  • 나. 계획수단으로써 환경평가의 적용 ... 46
  • 제3장․환경친화적 개발을 위한 제도의 발전 ... 51
  • 1. 개발사업 관련 환경친화적 개발기준 및 지침 ... 51
  • 2. 환경평가제도의 성과 ... 61
  • 가. 우리나라 환경평가제도의 특성 ... 61
  • 나. 환경평가의 성과 ... 65
  • 3. 검토의견분석을 통한 환경평가의 개발계획에의 성과와 한계 ... 74
  • 가. 분석의 개요 ... 74
  • 나. 분야별 특성 ... 85
  • 다. 항목별 특성 ... 89
  • 라. 검토의견 분석의 종합 ... 107
  • 4. 환경친화적 개발을 위한 제도발전의 종합 ... 109
  • 제4장․환경평가항목을 활용한 토지이용계획 수립의 실제 ... 111
  • 1. 환경평가항목별 개요 및 토지이용계획 수립시 고려사항 ... 111
  • 가. 지형지질 ... 111
  • 나. 동식물 ... 119
  • 다. 수리 ․ 수문 ... 127
  • 라. 토지이용 ... 130
  • 라. 대기질 ... 134
  • 마. 소음 ... 138
  • 바. 전파장애 ... 146
  • 사. 수질 ... 152
  • 아. 토양 ... 155
  • 자. 일조장애 ... 159
  • 차. 경관 ... 160
  • 2. 환경평가항목을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사례 ... 162
  • 가. 입지 타당성 검토단계와 관련한 사례 ... 162
  • 나. 토지이용계획 및 설계단계와 관련한 사례 ... 167
  • 제5장․정책적 제언 ... 196
  • 1.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위한 체크리스트 ... 196
  • 2. 제도개선 및 정책수립을 위한 제언 ... 202
  • 제6장․결 론 ... 207
  • 참고 문헌 ... 210
  • Abstract ... 213
  • 끝페이지 ... 214

표/그림 (11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