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학생 수 감소에 따른 농촌 교육 실태 및 대응 방안 |
---|---|
주관연구기관 |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
연구책임자 | 양희준 |
참여연구자 | 최원석, 김진희, 박근영, 박상옥, 허준, 이재준, 이안나, 김다솜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8-12 |
과제시작년도 | 2018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
등록번호 | TRKO201900001892 |
과제고유번호 | 1105013727 |
사업명 | 한국교육개발원(R&D) |
DB 구축일자 | 2019-06-08 |
키워드 | 농촌.농촌 교육.학생 수 감소.rural education.the decrease of student population in rural areas.small school.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01892 |
■ 결론
학생 수 감소 문제는 정책당국이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할 농촌 교육의 고정 변수가 아닌 변화시켜야 할 사회 문제로 인식되어야 하며, 적극적인 해결방안이 모색・실천되어야 한다.
본 보고서는 농촌 지역의 학생 수 감소를...
■ 결론
학생 수 감소 문제는 정책당국이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할 농촌 교육의 고정 변수가 아닌 변화시켜야 할 사회 문제로 인식되어야 하며, 적극적인 해결방안이 모색・실천되어야 한다.
본 보고서는 농촌 지역의 학생 수 감소를 농촌 교육의 핵심적인 문제로 설정하고, 학생수의 유지를 궁극적인 목표로 상정한 정책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향후 다양한 정책적 논의를 촉발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던 문제 분석과 목표 분석, PDM의 작성은 향후 더 광범위한 관계자의 참여 속에서 더 정교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농촌 지역 학생 수 감소의 세부적인 양상이나 그에 따른 농촌 교육의 기회, 과정, 결과 측면에서의 다양한 실태 분석 역시 심화될 필요가 있다.
(출처 : 연구요약 15p)
■ Conclusion:
The problem of decreasing student popul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so that the policy authorit...
■ Conclusion:
The problem of decreasing student popul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so that the policy authorities should actively seek better solutions to change the actual situation. It should not be perceived as fixed variables of rural education. This report considered the declining student population in rural areas as a key issue of rural education and explored policy responses to achieve the maintenance of the number of students. This effort will stimulate various policy discussions about the issue in the future. ‘Problem Trees,’‘Objective Trees,’ and PDM, which have been conducted as the part of this research, need to be more sophisticated in the future with the involvement of a wider range of stakeholders. Moreover, the details of the decreasing student population in rural areas and the analysis of various actual situations in terms of the opportunity, process, and result of rural education need to be deepened.
(출처 : Abstract 403p)
학생 수 감소에 따른 농촌 교육 실태 및 대응 방안
주관연구기관 :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책임연구자 :
양희준
발행년월 : 2018-1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