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인이동체 원천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기획연구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인터젠컨설팅
연구책임자 유종학
참여연구자 김승혁 , 정진우 , 한지희 , 장재강 , 정재아 , 한영광 , 한주희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8-07
주관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등록번호 TRKO202000006913
DB 구축일자 2020-09-12

초록

Ⅰ. 사업 개요
□ 사업유형
•사업유형
-기초연구
순위(1∼3) : 1
-기초연구
순위(1∼3)
-중장기산업
순위(1∼3)
-기술개발
순위(1∼3)
-공공기술 개발
순위(1∼3) : 2
-지역연구개발
순위(1∼3)
-인력양성
순위(1∼3)
-성과확산
순위(1∼3)
-해외협력
순위(1∼3)
-연구기반구축
순위(1∼3) : 3
□ 사업기간, 총 사업비 및 수행기관
ㅇ (총사업비) 5,500억원(국고 5,195

Abstract

Background and needs for this business promotion
ㅇ The usage of dronea pilotless planes has been enrlarged into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from the military sector
ㅇ Government oriented investment for acquiring original technologies in advace is needed for leading global markets of the dro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요 약 문 ... 5
  • 목차 ... 36
  • 표목차 ... 39
  • 그림목차 ... 44
  • 제1장 사업 기획 개요 ... 46
  • 1.1 추진 배경 및 목적 ... 48
  • 1.2. 추진 과정 및 사업 논리모형 도출 ... 56
  • 1.3. 무인이동체 정의 및 분류 ... 66
  • 제2장 무인이동체 대내·외 환경 분석 ... 69
  • 2.1 메가트렌드 ... 71
  • 2.2. 무인이동체 활용 분야 ... 76
  • 2.3. 무인이동체 시장 동향 분석 ... 90
  • 2.4. 무인이동체 산업 동향 분석 ... 125
  • 2.5. 무인이동체 기술개발 및 투자 동향 분석 ... 150
  • 2.6. 국내 기술개발사업 및 투자동향 분석 ... 170
  • 2.7. 무인이동체 활용 기반조성 동향 분석 ... 196
  • 제3장 발전 잠재력 및 정부지원 필요성 ... 215
  • 3.1. 사회적·산업적 발전 잠재력과 정부지원 필요성 ... 217
  • 3.2. 과학기술적 발전 잠재력 및 사업추진 필요성 ... 219
  • 3.3. SWOT 분석 및 대응전략 도출 ... 223
  • 제4장 비전 및 목표 ... 229
  • 4.1. 사업의 비전 ... 232
  • 4.2. 사업 목표 ... 234
  • 4.3. 사업 전략 및 세부과제 ... 238
  • 4.4. 추진과제 및 연계성 강화방안 ... 241
  • 4.5 과기정통부의 역할 및 부처 협력 방안 ... 246
  • 제5장 6대 공통핵심 기능기술개발 추진전략 ... 247
  • 5.1 사업 배경 및 필요성 ... 249
  • 5.2 공통기술의 정의 ... 254
  • 5.3 사업의 성과지표 및 성과목표 ... 255
  • 5.4 사업의 세부 추진내용 ... 257
  • 5.5 사업의 체계성 및 사업·목표 간 유기성 ... 352
  • 5.6 사업의 기대효과 ... 352
  • 5.7 개발대상 공통기술 선정과정 ... 353
  • 제6장 5대 용도별 플랫폼 개발사업 추진전략 ... 368
  • 6.1 사업 배경 및 필요성 ... 370
  • 6.2. 차세대 플랫폼 정의 ... 373
  • 6.3. 사업의 추진전략 ... 375
  • 6.4. 사업의 성과지표 및 성과목표 ... 376
  • 6.5. 사업의 세부 추진내용 ... 378
  • 6.6. 사업의 체계성 및 사업·목표 간 유기성 ... 404
  • 6.7. 사업의 기대효과 ... 404
  • 6.8. 개발 대상 무인이동체 용도별 플랫폼 선정과정 ... 405
  • 제7장 가상-실물 연동형 테스트베드 구축 ... 411
  • 7.1. 사업 추진 배경 및 필요성 ... 413
  • 7.2. 기술개발과의 연계성 ... 418
  • 7.3. 추진목표 및 전략 ... 420
  • 7.4. 사업내용 ... 424
  • 7.5. 구축계획 ... 449
  • 7.6. 건물/시설의 활용계획 및 자립화 방안 ... 454
  • 7.7. 활용 수요 분석 ... 457
  • 7.8. 선정 지역의 요구사항 ... 460
  • 7.9. 타사업과의 중복성 ... 461
  • 7.10. 기대효과 ... 464
  • 제8장 사업 운영계획 ... 465
  • 8.1. 사업 운영방안 ... 467
  • 8.2. 사업 관리방안 ... 473
  • 8.3. 사업의 투자계획 및 재원조달 방향 ... 484
  • 제9장 타당성 분석 및 기대효과 ... 517
  • 9.1. 기술적 타당성 분석 ... 523
  • 9.2. 정책적 타당성 ... 530
  • 9.3. 경제적 타당성 분석 ... 534
  • 9.4. 기대효과 ... 563
  • [붙임1] 공통기술 우선순위 설문조사 결과 ... 566
  • [붙임2] 공통핵심기능기술개발 우선순위 선정위원회 결과 ... 570
  • [붙임3] 차세대 플랫폼 우선순위 도출 지표별 채점 기준 ... 578
  • [붙임4] 차세대 플랫폼 우선순위 도출결과(1차 전문가위윈회) ... 582
  • [붙임5] 무인이동체 분야별 시장규모(’13-’16) 종합표 ... 586
  • [붙임6] 무인이동체 특허 동향 분석 ... 590
  • [붙임7] 무인이동체 6대 기술분야별 국내외 논문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 738
  • [붙임8] 주요국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요건 비교 (‘16년 5월 기준) ... 742
  • [붙임9] 5대 용도별 플랫폼 기술개발 사업참여/기술이전 수요 설문조사 결과 ... 746
  • [붙임10] 공통핵심기능기술개발 참여/기술이전 수요 설문조사 결과 ... 770
  • [붙임11] 과거 기술성 평가 결과 및 보완사항 ... 802
  • [붙임12] 공통기술과 플랫폼 기술 선정기준 ... 812
  • [붙임13] 세부과제 차별성 및 연관성 ... 928
  • 끝페이지 ... 961

표/그림 (145)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