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융합신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위한 기획연구
A Planning and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he New Environmental Fusion Technology Progra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
연구책임자 조현대
참여연구자 윤문섭 , 홍사균 , 이우성 , 장용석 , 고제헌 , 정윤성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01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환경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록번호 TRKO201200010554
과제고유번호 1485008686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 고령화, 에너지 이슈, 물 부족 심화, 생물다양성 감소 등 지구촌의 도전과제 극복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하는 환경기술의 수요 증대
- 인구구조 변화 : 선진국은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인구가 감소하는 반면, 개도국 인구는 계속 증가하여 2020년 80억 세계 인구 예상
- 에너지 및 자원 고갈 진전: 세계 에너지 수요는 지속 증가: 향후 20년 50-100% 증가
- 물 부족 심화 : 세계 인구의 40%가 사는 80개국이 물 부족 상황
- 생물종 감소 : 현존 생물종 24만2천종의 14%, 조류 9,600종의

목차 Contents

  • 표지 ... 3
  • 제출문 ... 5
  • 보고서 초록 ... 7
  • 목차 ... 13
  • 표 목차 ... 17
  • 그림 목차 ... 20
  • 제1장 사업개요 ... 23
  • 제1절 사업추진 필요성 및 접근 ... 23
  • 1. 사업추진의 필요성 및 시급성 ... 23
  • 2. (기존)환경융합기술개발사업 보완 필요 ... 29
  • 3. SWOT분석을 통한 전략적 접근 ... 31
  • 제2절 사업의 성격 및 주요 내용 ... 33
  • 1. 사업의 성격 및 의의 ... 33
  • 2. 사업의 주요내용 ... 37
  • 제3절 사업계획의 수립체계, 과정 및 추진전략 ... 40
  • 1. 사업계획 수립체계 ... 40
  • 2. 사업계획 수립 기본방향 ... 41
  • 3. 기술기획 추진체계 및 과정 ... 42
  • 4. 추진전략 ... 46
  • 제4절 사업계획의 주요구성 ... 50
  • 제2장 메가트랜드/환경기술예측 및 환경융합 기술로의 대응 ... 51
  • 제1절 메가트랜드와 환경기술예측 ... 51
  • 1. 환경변화와 환경난제들의 심화 ... 51
  • 2. 메가트랜드 및 환경기술예측 분석 및 주요 이슈 ... 56
  • 제2절 (환경)융합기술의 개념과 적용 ... 61
  • 1.융합의 개념 ... 61
  • 2. 융합기술의 범위 및 적용 ... 62
  • 3. 환경융합기술의 개념 ... 66
  • 제3절 시사점: 기존 환경기술의 한계 및 환경융합기술개발을 통한 돌파 ... 68
  • 제3장 국내외 주요 현황 및 전망 ... 71
  • 제1절 해외 주요국 ... 71
  • 1. 관련 정책 실태 ... 71
  • 2. 환경 및 환경융합 연구개발ㆍ기술개발 실태 ... 90
  • 3. 관련 산업 시장 실태 및 전망 ... 100
  • 제2절 국내 ... 112
  • 1. 관련 정책 실태 ... 112
  • 2. 연구개발 실태 ... 124
  • 3. 국내 환경산업/시장 실태 및 문제점 ... 144
  • 제3절 논문 및 특허 동향 ... 160
  • 1. 환경 분야 논문 동향 분석 ... 160
  • 2. 환경 분야 특허 분석 동향 ... 162
  • 제4절 특징 및 시사점 ... 168
  • 제4장 기획 추진 방향 및 사업의 기본틀·추진방향 ... 171
  • 제1절 기획의 기본방향: 약점 요소의 극복과 효율적 강점 육성 ... 171
  • 1. 국내 환경 기술 및 환경산업의 고도화 추구 ... 171
  • 2. 내부역량/자원이 효율적 활용: 기초원천 연구 성과들과의 연계, 활용 추진 ... 175
  • 3. 철저한 중복성 회피와 차별성 강화 ... 177
  • 4. R and D사업 기획의 기술테마 중심적 접근의 한계 극복 : 수요 지향적 기획 ... 181
  • 5. 국민 실생활의 환경난제 해결에 기여: 선택과 집중(지역 환경난제 해결) ... 182
  • 제2절 사업 추진 방향 ... 188
  • 1. 사업 기획의 핵심 고려요인 ... 188
  • 2. 사업 기본 구상 배경 ... 190
  • 3. 사업 추진 기본 원칙과 추진 방향 ... 198
  • 제3절 사업 비전, 목표 및 사업구조 ... 199
  • 1. 사업 비전과 설정 원칙 ... 199
  • 2. 총괄 목표, 단계별 목표, 분야별 목표 및 성과목표체계 ... 200
  • 3. 사업추진전략 ... 204
  • 제5장 기술적 테마(item) 및 과제 도출 ... 211
  • 제1절 기술기획 체계 및 기술 기획 추진 과정 ... 211
  • 1. 기술기획 체계 ... 211
  • 2. 기술기획 주요 일정 ... 212
  • 제2절 1단계 기술기획 ... 215
  • 1. 기술위원회 ... 215
  • 2. 기술수요조사 및 심사 ... 217
  • 3. 정책위원회 활동 ... 220
  • 4. 환경기술포럼 ... 222
  • 5. 자문위원회 활동 ... 224
  • 6. 1단계 중점 추진과제 및 분야 선정 및 기술기획 ... 224
  • 제3절 2단계 기술기획 ... 226
  • 1. 기획 개요 ... 226
  • 2. 기술연구회 구성 및 운영 ... 228
  • 3. 핵심 아이템 도출 ... 229
  • 4. 추가 수요조사 (1차 및 2차) ... 230
  • 5. 2단계 중점 추진과제 및 분야 선정 및 기술기획 ... 236
  • 제4절 중점 추진과제 최종 결정 ... 241
  • 1. 추가 기술 기획 추진 필요성 ... 241
  • 2. 추가 기술연구회 구성 및 운영 ... 241
  • 3. 공청회 ... 244
  • 4. 최종 중점 추진과제 및 사업 분야 도출 ... 246
  • 제6장 사업 구조 및 사업 추진체계 ... 251
  • 제1절 사업 구조 및 환경 융합 R and D 기술로드맵 ... 251
  • 제2절 사업 추진 체계 및 추진 방식 ... 256
  • 1. 사업 추진 체계 ... 256
  • 2. 사업 추진 방식 ... 257
  • 제7장 세부사업별 추진전략 ... 259
  • 제1절 환경공정개선융합소재 ... 259
  • 1. 배경 및 필요성 ... 259
  • 2. 사업의 개념/정의 및 개념도 ... 261
  • 3. 사업의 비전/목표 및 구성 ... 262
  • 4. 사업을 구성하는 기술그룹(중분류)간 연계도 및 연계개념도 ... 264
  • 5. 사업구성(기술그룹/세부기술 등) 및 그들의 주요내용 ... 265
  • 6. 사업의 (성과관리를 위한) 성과목표/지표 ... 266
  • 7. 기술현황, 기술수준, 연구개발 및 관련정책동향 ... 267
  • 8. 특허 분석 현황 ... 272
  • 9. 관련 산업 및 시장의 전망 ... 274
  • 10. 기술로드맵 ... 276
  • 11. 소요예산/재원조달 및 세부사업관리 방안 ... 278
  • 제2절 환경오염통합관리 ... 280
  • 1. 배경 및 필요성 ... 280
  • 2. 사업의 개념/정의 및 개념도 ... 282
  • 3. 사업의 비전/목표 및 구성 ... 285
  • 4. 사업을 구성하는 기술그룹(중분류)간 연계도 및 연계개념도 ... 287
  • 5. 사업구성(기술그룹/세부기술 등) 및 그들의 주요내용 ... 288
  • 6. 사업의 (성과관리를 위한) 성과목표/지표 ... 292
  • 7. 기술현황, 기술수준, 연구개발 및 관련정책동향 ... 295
  • 8. 특허 분석 현황 ... 298
  • 9. 관련 산업 및 시장의 전망 ... 301
  • 10. 기술로드맵 ... 303
  • 11. 소요예산/재원조달 및 세부사업관리 방안 ... 304
  • 제3절 생태계감시 및 보전을 위한 통합 생태계 정보관리 시스템 ... 305
  • 1. 배경 및 필요성 ... 305
  • 2. 사업의 개념/정의 및 개념도 ... 307
  • 3. 사업의 비전/목표 및 구성 ... 308
  • 4. 사업을 구성하는 기술그룹(중분류)간 연계도 및 연계개념도 ... 310
  • 5. 사업구성(기술그룹/세부기술 등) 및 그들의 주요내용 ... 312
  • 6. 사업의 (성과관리를 위한) 성과목표/지표 ... 315
  • 7. 기술현황, 기술수준, 연구개발 및 관련정책동향 ... 321
  • 8. 특허 분석 현황 ... 323
  • 9. 관련 산업 및 시장의 전망 ... 326
  • 10. 기술로드맵 ... 327
  • 11. 소요예산/재원조달 및 세부사업관리 방안 ... 328
  • 제8장 소요 예산 및 사업관리방안 ... 333
  • 제1절 소요 예산 및 확보 방안 ... 333
  • 1. 총괄적 소요 예산 ... 333
  • 2. 분야별 상세 소요 예산 ... 336
  • 3. 예산 확보 방안 ... 339
  • 제2절 소요 연구 인력 및 확보 방안 ... 339
  • 1. 소요 연구 인력 ... 339
  • 2. 확보 방안 ... 341
  • 제3절 사업 관리 방안 ... 341
  • 1. 사업 모니터링 및 성과관리 방안 ... 341
  • 2. 성과 분석 및 성과 확산 방안 ... 344
  • 제9장 사업추진의 기대효과 ... 347
  • 제1절 전반적 기대효과 ... 347
  • 제2절 분야별 기대효과 ... 349
  • 참고문헌 ... 353

표/그림 (12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