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국내 자생 고산식물 유래 역류성식도염 보호소재 개발 |
---|---|
주관연구기관 |
전북대학교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추병길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0-06 |
과제시작년도 | 2020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등록번호 | TRKO202100013982 |
과제고유번호 | 1345315722 |
사업명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DB 구축일자 | 2021-09-18 |
키워드 | 국내 자생 고산식물.역류성식도염.항염증. |
□ 연구개요
1. 국내 자생식물의 역류성식도염(reflux esophagitis)에 대한 보호 및 개선소재 1종 개발
2. 기존의 약물 치료법(제산제, H2 수용체 차단제, PPIS)과 구별되는 새로운 역류성식도염 개선 방...
□ 연구개요
1. 국내 자생식물의 역류성식도염(reflux esophagitis)에 대한 보호 및 개선소재 1종 개발
2. 기존의 약물 치료법(제산제, H2 수용체 차단제, PPIS)과 구별되는 새로운 역류성식도염 개선 방법(염증발생시 염증인자 발현 억제를 통한 위산의 자극으로부터 식도보호 및 식도 점막 염증 개선 효과 분석)연구
3. 국내 자생식물의 기능성 검증을 통한 약용자원화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1차년도 (2017년)
1) NO생산량 분석 스크리닝을 통한 연구 시료 3 품목 선정
2) 3 품목의 NF-kB signaling pathway에서의 항염증 활성 평가를 통해 가장 높은 항염증 효과를 보인 둥근이질풀 및 함박꽃나무 추출물을 역류성식도염 개선효과 연구시료로 선정
2. 2차년도 (2018년)
1) 둥근이질풀 추출물의 역류성식도염 개선효과 확인
2) 둥근이질풀 Dichloromethane 분획물의 역류성식도염 개선효과 확인 – 200 mg/kg 농도에서 조직 손상도 감소, 조직 내 염증성 단백질 발현 억제 및 세포결합단백질을 활성화를 통한 점막 보호 및 재생능력이 증가하였음.
3) 함박꽃나무 추출물의 역류성식도염 개선효과 확인
4) 함박꽃나무 Hexane 분획물의 역류성식도염 개선효과 확인 – 200 mg/kg 농도에서 조직 손상도 감소, 조직내 염증성 단백질 발현 억제 및 세포결합단백질을 활성화를 통한 점막 보호 및 재생능력이 증가하였음.
3. 3차년도 (2019-2020년)
1) LC/MS/MS 분석 결과, 둥근이질풀의 분획물에서는 탄닌계의 활성성분인 geraniin과 quercetin 다량 함유, 함박꽃나무 분획물에서는 불포화 지방산 및 활성성분인 costinolide를 다량 함유
2) 둥근이질풀의 geraniin, quercetin과 함박꽃나무의 costinolide는 대식세포에서 탁월한 항염증 활성을 보였으며, 역류성식도염 동물모델에서의 개선효과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costinolide의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남. 따라서, 국내 자생식물 유래의 역류성식도염에 대한 보호 및 개선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은 시료로 함박꽃나무를 선정하였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국내 자생식물의 자원화
1) 국내 자생식물의 생리활성 분석을 통해 과학적 ․ 객관적인 기능성 정보를 제공
2) 다양한 생리활성 검증을 통한 중요한 기능성 자원식물로 인식, 개발
⇒ 약용자원화, 의약소재화
2. 항염증 효능 탐색 및 역류성식도염 개선효과 검증
1) 세포에서의 염증성 cytokine 및 염증관련인자의 발현양상을 통한 항염증 효능 분석은 역류성 식도염 개선효과 검증에 앞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는 연구 결과임.
2) 검증을 통해 선발된 식물소재를 이용한 역류성식도염 동물모델에서 식도조직의 손상 정도 또한 western blotting 등 방법을 통한 점막손상의 염증반응에 기인하는 염증성 cytokine 및 매개인자 분석은 조직손상 보호에 관여하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과정으로 역류성식도염 개선소재 개발에 있어 중요한 연구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참여 연구원 |
---|
국내 자생 고산식물 유래 역류성식도염 보호소재 개발
주관연구기관 : 전북대학교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책임연구자 :
추병길
발행년월 : 2020-06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