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
연구책임자 |
최남미
|
참여연구자 |
남기원
,
김은정
,
진영권
,
정서영
,
안오성
,
조영철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2-02 |
과제시작연도 |
2021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2200001428 |
과제고유번호 |
1711135092 |
사업명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DB 구축일자 |
2022-05-28
|
초록
▼
III. 연구결과
1. 항공우주시드사업 활성화지원 연구
타 기관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시드과제의 성공을 이끌기 위해서는 한 주제에 대해 장기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어야한다는 시사점을 얻었으며, 이를 반영해 시드과제 수행 전 징검다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아이디어과제를 기획하고 2020년부터 아이디어시드과제를 착수하였음. 2007년부터 운영되기 시작한 과제별 약 5,000 만원 정도를 배정하는 시드과제 외에 과제당 500만원 정도를 배정하는 아이디어시드과제 트랙을 만들어 시드과제 수행전 아이디어를 성숙시킬 수 있는 기회를
III. 연구결과
1. 항공우주시드사업 활성화지원 연구
타 기관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시드과제의 성공을 이끌기 위해서는 한 주제에 대해 장기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어야한다는 시사점을 얻었으며, 이를 반영해 시드과제 수행 전 징검다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아이디어과제를 기획하고 2020년부터 아이디어시드과제를 착수하였음. 2007년부터 운영되기 시작한 과제별 약 5,000 만원 정도를 배정하는 시드과제 외에 과제당 500만원 정도를 배정하는 아이디어시드과제 트랙을 만들어 시드과제 수행전 아이디어를 성숙시킬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
아이디어시드과제 및 시드과제 운영의 질을 높이기 위해 PDCA(Plan-Do-Check_Act)싸이클을 적용하여 단계별 개선사항을 점검하고 수행한 후 연구자들의 의견을 들어 다시 보완하는 노력을 기울였음.
신진연구자들이 참여를 많이 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시드과제의 계획서 및 보고서 양식을 간소화하고, S 등급으로 평가된 과제는 차기 연도에 평가없이 시드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음. 또한 과제 선정, 중간점검 및 최종 평가시 일관성이 유지되도록 될 수 있으면 같은 위원들로 사업선정 평가위원회를 구성·유지하였음. 세부 과제 착수회의 및 과제 종료 시 아이디어시드 및 시드과제 수행 만족도를 조사하였음. 대부분의 과제 수행 책임자들은 연구원의 발전을 위해 시드사업은 지속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아이디어 시드과제 책임자는 시드과제로 연구를 지속할 것과 시드과제 책임자들은 기관 주요사업이나 정부 수탁사업을 통해 연구를 이어나갈 계획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음
2007년부터 2021년까지 수행된 항공우주기술시드사업을 정리하였음. 총 141개의 세부과제가 수행되었으며, 15년 간 총 82.4억 원의 연구비가 투입되어 개별과제 당 평균 58백만 원의 예산이 배정되었음. 2007-2020년간 수행한 시드사업에서 SCI 논문은 모두 19편, 국내외 특허등록은 115건(특허출원 173건), 기술이전은 13건을 산출하였고, 각각은 전체 연구원 SCI 논문의 5.3%, 특허등록의 7.9%(특허 출원의 9.7%), 기술이전의 5.0%를 차지하였음. 동일기간 시드사업의 연구비가 전체 연구원의 예산 대비 0.12%를 차지하는 것을 고려하면, 동일 예산에 대한 시드사업의 SCI 논문은 전체 연구원 SCI 논문의 44.5배, 특허등록은 66.2배(특허 출원은 81.7배), 기술이전은 42.2배 더 많이 산출하였음. 대형체계 사업이 주를 이루는 연구원 전체의 연구 사업에서 창출되는 실적보다, 시드사업으로부터 더 많은 논문, 특허, 기술이전 등의 결과를 산출함으로써, 대형체계 사업보다 기술 단위의 소형 개인 창의 연구인 시드사업이 논문, 특허 및 기술이전 면에서 연구 성과를 더 많이 도출하는 성향을 보였음
최근 수행된 시드사업 중 기술이전, 창업, 대형 수탁사업으로 연계한 부분에서 3건의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사업 성공 요인을 분석하였음. 이를 통해 조사된 성공요인은 다음과 같음. 첫째, 연구그룹의 한 연구주제에 대한 장기 연구, 둘째, 연구책임자의 비전과 신념, 창의적 사고, 셋째, 창의성을 이끄는 조직의 리더십, 넷째, 연구그룹 내의 수평적 의사소통과 다양성의 존중, 다섯째, 외부 연구 집단과의 활발한 협업과 혁신기술의 접목임. 세 사례 모두 개인적인 전문성, 창의성, 외부에 대한 개방성 외에도 조직의 지원이 연구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음. 개인 창의연구의 주제가 기관의 임무와 필요에 부합할 때 조직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졌고, 이는 시드사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음. 대형 체계사업이 주를 이루는 조직에서 조직의 임무에 부합하는 개인 창의 형 연구는 개인 연구를 북돋는 조직의 동기 부여와 지원을 받았고, 이는 성공적인 개인 연구의 결실을 낳았으며 다시 조직의 기술이전, 연구소기업의 탄생과 대형사업의 수주라는 연구원의 연구결실로 가시화되는 선순환 구조를 보였음. 세 가지 사례 연구를 통해 연구원의 창의적 기술혁신은 연구원 개개인의 노력과 더불어 조직의 열린 정책 및 문화가 뒷 받침 되어야 가능함을 보였음.
항공우주기술시드사업은 2007년 출범 시 사업전략실에서 담당하였으며 연구조정실, 사업전략실, 연구혁신팀으로 이관해 왔으며, 이에 따라 과제책임자 및 운영 실무자도 변경되어 신규로 운영사업을 담당 시 적절한 업무매뉴얼이 없었음. 또한 처음 시드과제를 수행하는 신진연구자들은 예측할 수 있는 일정과 프로젝트 관리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지침이 필요함에 따라 시드사업 개요, 연간 일정표, 과제편성, 시드 및 아이디어시드과제 공모, 중간점검, 최종평가 준비, 자주 묻는 질문 및 답변 등을 정리하였음
시드사업의 특허출원 지원을 위해 특허법인의 지원을 받아 각 세부사업 책임자에게 기술동향조사, IP 포트폴리오 제공, 수요기업조사를 지원하였음.
본 과제 운영 동안(‘20-’21) 특허출원은 2018-2019년 대비 53% 증가, 논문은 113% 증가하였음. 본 과제를 통한 특허지원, 우수과제에 대한 과제수행 연속성 보장 및 성과 공유 등에 힘입어 ‘20-’21년 간 특허 출원 및 논문수는 18-’19년 대비 대폭 증가함으로써 과제 운영 및 지원이 연구성과 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할 수 없음을 유추할 수 있었음
2. 항공우주기술시드사업 아이디어시드과제 및 시드과제 운영
가. 2020년
○ 공모를 통해 총 9개 시드과제 선정(‘20.2.20, 총 예산 : 4억 1,600만원)
○ 공모를 통해 총 9개 아이디어시드과제 선정(’20.4.13, 총 예산 : 4,500만원)
○ 중간점검회의 개최(시드:‘20.7.16, 아이디어시드:’20.8.27)
○ 최종평가회의 개최(시드:‘20.11.10, 아이디어시드:’20.11.12)
나. 2021년
○ 공모를 통해 총 8개 시드과제 선정(‘21.2.2, 총 예산 : 3억 9,000만원)
○ 공모를 통해 총 9개 아이디어시드과제 선정(’21.2.9, 총 예산 : 5,000만원)
○ 중간점검회의 개최(시드:‘21.7.16, 아이디어시드:’21.7.14)
○ 최종평가회의 개최(시드:‘21.11.10, 아이디어시드:’21.11.9)
(출처 : 요약문 3p)
Abstract
▼
III. Research Results
1. Supportive Study for Seed Project
By observing cases of other institutions, it was suggested that long-term researches on similar topics will lead to the success of a research. Reflecting on this, we have started an Idea Seed Project since 2020 that will serve as a ste
III. Research Results
1. Supportive Study for Seed Project
By observing cases of other institutions, it was suggested that long-term researches on similar topics will lead to the success of a research. Reflecting on this, we have started an Idea Seed Project since 2020 that will serve as a stepping stone before carrying out the Seed Project.
We implemented a PCDA(Plan-Do_check-Act) cycle and collected researcher's opin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operating Idea Seed Projects and Seed Projects.
Through a survey after Seed Projects, most Project Managers have responded that Seed Projects must be continuously operated for KARI's future.
141 sub projects of Seed Projects have been proceeded and 8.24 billion Won has been invested from 2007 to 2021. As a small sized individual creative research project, Seed Project has created more research papers, patents, and technology transfers than large sized system projects.
Among the recently performed Seed Projects, 3 cases were selected and the success factors of the project were analyzed. The success factors are long-term research on a topic, project manager's vision and creative thinking, superiors that lead creative thinking, equ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external research groups. In all 3 cases, it was analyzed that organizational support in addition to personal expertise and creativ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 research success.
To support the Seed Projects patent application, we provided the technology trend research, IP portfolio, and analysis of company's demands with the help of patent law firms. During this research compared to 2018-19, there was a 53% increase in patent applications and 113% in research papers.
Seed Project operation manual has been created which includes an overview, annual schedule, mid-term and final evaluation procedures, and a Q&A.
2. Operation of Idea Seed Project and Seed Project
A. 2020
- 9 Seed Projects selected through open competition(20.02.20, total budget of 416 million Won)
- 9 Idea Seed Projects selected through open competition (20.04.13, total budget of 45 million Won)
- Interim Review (Seed Project 20.07.16, Idea Seed Project 20.08.27)
- Final Evaluation (Seed Project 20.11.10, Idea Seed Project 20.11.12)
B. 2021
- 8 Seed Projects selected through open competition(21.02.02, total budget 390 million Won)
- 9 Idea Seed Projects selected through open competition (21.02.09, total budget 50 million Won)
- Interim Review (Seed Project 21.07.16, Idea Seed Project 21.07.14)
- Final Evaluation meeting (Seed Project 21.11.10, Idea Seed Project 21.11.09)
(source: Summary 7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요 약 문 ... 3
- SUMMARY ... 7
- CONTENTS ... 9
- 목차 ... 10
- 제1장 서론 ... 11
-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1
- 제2절 연구 범위 ... 14
- 제2장 항공우주기술시드사업 활성화 지원 연구 ... 16
- 제1절 아이디어시드과제 기획 및 착수 ... 16
- 제2절 과제 운영을 위한 PDCA 프로세스 적용 ... 21
- 제3절 역대 시드사업 성과 정리 ... 28
- 제4절 시드과제 모범사례 분석 ... 31
- 제5절 특허강화 지원 ... 40
- 제6절 운영매뉴얼 ... 56
- 제3장 항공우주기술시드사업 아이디어시드과제 운영 ... 58
- 제1절 2020년도 ... 58
- 제2절 2021년도 ... 80
- 제4장 항공우주기술시드사업 시드과제 운영 ... 96
- 제1절 2020년도 ... 96
- 제2절 2021년도 ... 109
- 제5장 결론 ... 123
- 부록. 운영매뉴얼 ... 125
- 끝페이지 ... 12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