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국군의학연구소 |
연구책임자 |
박규은
|
참여연구자 |
장해봉
,
손제희
,
문광호
,
김영아
,
민도식
,
김수현
,
김인태
,
최선님
,
이호운
,
현진호
,
최나은
,
손진주
,
이미영
,
임지현
,
김윤경
,
이정식
,
김명신
,
이남호
,
강지영
,
유완호
,
이동재
,
김봉석
,
이상훈
,
고병문
,
강현재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1-02 |
과제시작연도 |
2020 |
주관부처 |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KDCA) |
연구관리전문기관 |
질병관리청 |
등록번호 |
TRKO202300000306 |
과제고유번호 |
1465032104 |
사업명 |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R&D) |
DB 구축일자 |
2023-03-28
|
키워드 |
코로나19.항체보유율.역학.입소장정.COVID-19.seroprevalence.epidemiology.military recruits.
|
초록
▼
2020년 국내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이 발생하여 곳곳에서 다양한 집단감염사례가 발생하였다. 대유행 이후 젊은 인구집단은 활동성이 높고, 무증상 감염자가 많은 것으로 추정되어 지역사회 감염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이 중 한국의 20세 초반의 남성들은 대다수가 군에 입대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육군훈련소에 입소한 장정들을 전국의 지역별 코로나19 노출 정도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지표군으로 가정하고, 2020년 하반기 3개월 동안 코로나19 항체검사를 시행하여 그 양성률 변화를 관찰하였다.
국내에서 코로나
2020년 국내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이 발생하여 곳곳에서 다양한 집단감염사례가 발생하였다. 대유행 이후 젊은 인구집단은 활동성이 높고, 무증상 감염자가 많은 것으로 추정되어 지역사회 감염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이 중 한국의 20세 초반의 남성들은 대다수가 군에 입대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육군훈련소에 입소한 장정들을 전국의 지역별 코로나19 노출 정도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지표군으로 가정하고, 2020년 하반기 3개월 동안 코로나19 항체검사를 시행하여 그 양성률 변화를 관찰하였다.
국내에서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후, 매주 월요일 육군훈련소에 입소한 장정들은 전원 코로나19 핵산증폭검사를 실시하여 음성임을 확인한 뒤, 입영 신체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들의 코로나19 항체검사를 위하여 2020년 9월부터 11월 사이에 6회에 걸쳐 총 9,954명의 신체검사 후 잔여검체를 수집하였다. 모든 검체는 익명화하였고, 입소장정들의 지역 및 연령 정보만 분석에 사용하였다.
Elecsys Anti-SARS-CoV-2를 이용한 코로나19 항체 선별검사에서 모두 43명의 검체가 양성으로 확인되었으며, 이후 중화항체검사 및 몇 가지 추가검사들을 실시하여 31명을 최종적으로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이 중 13명은 과거 핵산검사로 확진을 받았던 사례였기 때문에, 지역사회 미진단 항체양성자는 총 18명이었다.
2020년 11월 24일 기준, 국내 19-30세 남성 인구 4,205,217명 중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3,757명으로 그 비율은 0.089%였으나, 본 연구의 항체 양성자 비율은 0.31%로 누적 확진자 대비 3.5배 높은 양성 비율을 보였다. 코로나19 유행 초기, 젊은 연령이 다발 확진되었던 대구ㆍ경북지역의 항체 양성자는 각각 11명, 4명으로 해당 지역 확진율 대비 각각 3.9배, 7.2배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20대 초반 남성집단에서 기 확진자 이외에 지역사회 미진단 감염자가 다수 존재할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젊은 인구집단의 활동성 등을 고려 코로나19 확산 억제를 위해 보다 공격적인 PCR 검사 또는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 지금보다 적극적인 방역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출처 : 요약문 4p)
Abstract
▼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various cases of outbreaks have occurred in Korea. The younger population, which have high social activity and frequently remain asymptomatic after disease contraction, have been thought to take an important role in disease transmission in the community. Becaus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various cases of outbreaks have occurred in Korea. The younger population, which have high social activity and frequently remain asymptomatic after disease contraction, have been thought to take an important role in disease transmission in the community. Because most men of their twenties are enlisted in the military in Korea, we assumed that the exposure to the COVID-19 could be estimated by following-up the seroprevalence of COVID-19 in the military recruits in the Army Training Center.
After COVID-19 pandemic, all recruits admitted to the Army Training Center have been tested for COVID-19 by PCR to prevent transmission in the military camp. We collected the remaining samples for the COVID-19 antibody test after routine health check-up test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0 (a total of 6 weeks). The specimens were collected and tested by a selected commercial COVID-19 antibody test after anonymization. Only age and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ruits were used for analysis.
Of 9,954 specimens tested, 43 positive cases were found by initial screening by Elecsys Anti-SARS-CoV-2 assay, and 31 cases among them were confirmed as true positives with 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 (PRNT) and several additional commercial tests. Of these, 13 were diagnosed as COVID-19 previously by PCR, so a total of 18 cases were regarded as unrecognized infections in the community. As of November 24, 2020, out of the 4,205,217 male population aged 19-30 in Korea, the cumulative number of COVID-19 confirmed cases was 3,757, which was 0.089%, but the proportion of seropositive cases in this study was 0.31%. It was 3.5 times higher than the cumulative confirmed cases. Especially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where many youngsters were confirmed in the early period of epidemic, the number of seropositives was 11 and 4, respectively, showing 3.9 times and 7.2 times higher than the local confirmation rate by PCR.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a lot of hidden infections not identified by current COVID-19 control strategies, so enhanced measures such as more aggressive PCR testing and social distancing should be considered to reduce the reproduction number of the infection.
(source : Summary 5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목차 ... 3
- 요약문 ... 4
- Summary ... 5
- 학술연구개발용역과제 연구결과 ... 6
- 제1장 최종 목표 ... 6
- 제2장 국내외 기술 현황 ... 9
- 제3장 최종 연구 내용 및 방법 ... 11
- 제4장 최종 연구 결과 ... 13
-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0
-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25
- 제7장 연구용역과제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28
-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28
- 제9장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원 분담표 ... 29
- 제10장 참고문헌 ... 32
- 제11장 첨부서류 ... 32
- 끝페이지 ... 3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