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유소 내 연료전지 구축을 위한 안전기준(안) 개발
Development of safety standards for building fuel cells in gas station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화재보험협회
Korea Fire Protection Association
연구책임자 최승호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3-05
과제시작연도 2022
주관부처 산업통상자원부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등록번호 TRKO202300003419
과제고유번호 1415180174
사업명 규제샌드박스융합신제품인증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23-06-14
키워드 연료전지.위험성평가.실증 사례.안전기준.폭발위험장소.Fuel Cell.Risk Assessment.Demonstratîon Case.Safety Standard.Explosion Hazardous Area.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목표
ㅇ 주유소 내 연료전지 구축을 위한 안전기준(안)을 개발하고자 함.
- 위험물안전관리법 등 규제로 인하여 연료전지를 주유소 내 유휴공간에 설치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관련 안전기준(안)을 개발하고 주유소 내 연료전지 설치가 가능하도록 유도하고자 함.
- 주유소 유휴부지 내 LNG 등 기타 가연성 가스시설의 설치는 가능하나 현재 연료전지는 설치하지 못하도록 규제되어 있음.
- 따라서, 주유소 내 연료전지 설치 시에도 안전하게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안전기준을 개발하고자 함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최종보고서 ... 2
  • 요약문 ... 3
  • 목차 ... 5
  • 표목차 ... 8
  • 그림목차 ... 12
  • 제1장 연구개발과제 개요 ... 16
  • 제1절 연구개발과제 배경 및 필요성 ... 17
  • 1. 연구개발과제 배경 ... 17
  • 2. 연구개발과제 필요성 ... 18
  • 제2절 연구개발과제 최종 목표 및 수행 방안 ... 19
  • 1.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목표 ... 19
  • 2. 연구개발과제의 주요 내용 및 범위 ... 19
  • 제2장 연료전지 개요 ... 20
  • 제1절 연료전지의 원리 ... 21
  • 1. 연료전지의 구성 ... 21
  • 2. 연료전지의 분류 ... 22
  • 제2절 연료전지의 성능 ... 26
  • 1. 열역학적 개념 ... 26
  • 2. 전기화학적 반응 ... 26
  • 3. 연료전지 효율 및 성능 ... 28
  • 제3절 주요 연료전지 및 위험성 ... 30
  • 1. SOFC(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 30
  • 2. PEMFC(고체 전해질 연료전지) ... 30
  • 3. 연료전지의 위험성 ... 31
  • 제3장 국내·외 연료전지 실증사례 및 규제조사 ... 34
  • 제1절 국내·외 연료전지 설치 현황 ... 35
  • 1. 국내 연료전지 설치 현황 ... 35
  • 2. 해외 연료전지 설치 현황 ... 39
  • 3. 연료전지 시장 규모 전망 ... 41
  • 제2절 주유소 내 연료전지 실증사례 ... 42
  • 1. 개나리 주유소 ... 42
  • 2. 박미주유소 ... 49
  • 3. 신길동주유소 ... 55
  • 제3절 주유소 내 연료전지 설치 규제 조사 ... 59
  • 1. 국내기준 ... 59
  • 2. 해외기준 ... 63
  • 제4장 주유소 내 연료전지 설비에 관한 정량적·정성적 위험성 평가 ... 64
  • 제1절 주유소 위험분석 ... 65
  • 1. 주유소 현황 ... 65
  • 2. 국가화재통계 분석 ... 77
  • 3. 국내 주유소 화재 사례 ... 82
  • 4. 미국 주유소/충전소 화재사고 분석 ... 85
  • 제2절 정성적 위험성평가 ... 90
  • 1. 위험식별(HAZID)평가 ... 90
  • 2. 위험식별(HAZID) 분석 결과 ... 96
  • 제3절 정량적 위험성평가(빈도 분석) ... 102
  • 1. 빈도 분석 개요 ... 102
  • 2. FTA(Fault Tree analysis) 기법 ... 104
  • 3. 빈도 및 확률 데이터 ... 107
  • 4. FT도 작성 ... 109
  • 5. 기본사건 DATA ... 110
  • 6. 위험평가기준 ... 112
  • 7. 연료전지시스템 화재/폭발 결함수분석(FTA) ... 114
  • 제4절 정량적 위험성평가(사고심도) ... 123
  • 1. 사고피해예측 분석(Consequence Analysis) ... 123
  • 제5절 화재시뮬레이션 평가 ... 150
  • 1. 평가 목적 ... 150
  • 2. 평가 대상 ... 150
  • 3. 화재시뮬레이션 개요 ... 151
  • 4. 화재시뮬레이션 설정 및 결과 ... 153
  • 제5장 주유소 내 연료전지 안전기준 분석 ... 158
  • 제1절 주유소 내 연료전지 설치 시 건축물 구조 ... 159
  • 1. 건축물 내화구조 ... 159
  • 2. 건축물 구조 안전 ... 161
  • 3. 건축물의 개구부 ... 164
  • 4. 가연성 증기 유입구 ... 165
  • 제2절 유류, 가스 취급을 동시에 만족하는 폭발위험장소 분석 ... 167
  • 1. 폭발위험장소 ... 167
  • 2. KS IEC Code에 따른 위험장소의 구분 ... 168
  • 3.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적용 ... 178
  • 제3절 사고 예방 및 경감 설비 분석 및 적용 가이드라인 ... 197
  • 1. 환기·배출 및 차단시스템 ... 197
  • 2. 방호시스템 ... 204
  • 3. 소화 및 화재감지설비 ... 220
  • 4. 기타 ... 227
  • 제4절 운전관리규정 ... 236
  • 1. 설비 외부 운전온도 조절 규정 명시 ... 236
  • 2. 방출열원의 발화점 이하 관리 규정 명시 ... 237
  • 제6장 주유소 내 연료전지 안전관리자 ... 238
  • 제1절 안전관리자 ... 239
  • 1. 안전관리자 선임 관련 규정 ... 239
  • 2. 안전관리자 선임 관련 문제점 ... 242
  • 3. 안전관리자 규정 현실화 ... 242
  • 제7장 연구개발과제 결과 요약 및 최종안 ... 244
  • 제1절 연구개발과제 결과 요약 ... 245
  • 제2절 주유소 내 연료전지 안전기준 최종안 ... 246
  • 부록 ... 248
  • 부록1. 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 일부개정고시안 ... 249
  • 참고문헌 ... 254
  • 끝페이지 ... 257

표/그림 (210)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