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카보엑스퍼트 |
연구책임자 |
이창규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2-12 |
과제시작연도 |
2022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2400001378 |
과제고유번호 |
1465035922 |
사업명 |
피부과학 응용소재·선도기술개발 |
DB 구축일자 |
2024-07-10
|
초록
▼
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및 내용
※ 베트남 전통 약용식물 시지기움 포르모숨(Syzygium formosum) 대량증식을 통한 진정, 항노화, 미백 복합 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최종 목표
○ 최종목표 : 베트남 전통 약용식물 시지기움 포르모숨(Syzygium formosum) 우수 개체 선발 및 대량증식을 통한 진정, 항노화, 미백 복합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및 현지 맞춤형 제품의 출시
가. 제 1세부[(주)카보엑스퍼트]
1) 소재의 생리활성 물질 동정 및
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및 내용
※ 베트남 전통 약용식물 시지기움 포르모숨(Syzygium formosum) 대량증식을 통한 진정, 항노화, 미백 복합 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최종 목표
○ 최종목표 : 베트남 전통 약용식물 시지기움 포르모숨(Syzygium formosum) 우수 개체 선발 및 대량증식을 통한 진정, 항노화, 미백 복합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및 현지 맞춤형 제품의 출시
가. 제 1세부[(주)카보엑스퍼트]
1) 소재의 생리활성 물질 동정 및 정량: 개체, 수확시기, 지역별 편차 검증
2) 우수개체의 선발 및 소재의 대량 확보 체계 확립
3) 나고야의정서에 따른 유전자원 이용 신고 및 허가 취득
4) 생리활성 물질 함량 표준화 및 소재의 제품화
5) 화장품 기능성 성분의 외부시험기관을 이용한 검증
6) 베트남 시장 맞춤형 복합 기능성 화장품 출시(3종) 및 현지 임상연구 수행(2회): 진정 및 항염(항알레르기), 탄력 및 주름개선, 미백
7) 비고시형 화장품 기능성 소재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정 획득
나. 제2세부(충남대학교 의과대학)
1) 인체세포모델 구축을 위한 연구계획서 작성 및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승인
2) 소재의 피부세포독성 평가 (피부세포주-각질세포,멜라닌생성세포,섬유아세포)
3) 소재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기능성 평가 : 항산화, 진정(항염), 항노화(주름개선, 보습), 미백
4) 소재의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기능성 평가 및 기전 규명 : 항산화, 진정(항염), 항노화(주름개선, 보습), 미백
□ 전체 내용
가. 1차년도
1) 개발 목표
- 총괄: 시지기움 포르모숨(Syzygium formosum) 잎 추출물의 세포를 이용한 기능성 평가 및 지표성분 설정
- (1세부): 수확 시기별/개체별 원료의 기능성 성분 변화 분석 및 지표성분 설정
- (2세부): 소재의 인체유래 일차배양 피부세포 확립 및 세포독성, 항산화 평가
2)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
- 총괄: 원료의 확보, 추출물 생산, 세포를 이용한 활성 평가, 대량 재배를 위한 묘목 확보, 베트남 현지 소비자 조사 및 자료조사
- (1세부) 연구개발 내용 1 : 시제품 개발 및 생산(세럼 및 크림) 2건
- (1세부) 연구개발 내용 2 : 베트남 협력기관을 통한 수확 시기별/개체별 원료 확보
- (1세부) 연구개발 내용 3 : 추출물을 생산하고 각종 생리활성 성분을 동정, 정량 분석
- (1세부) 연구개발 내용 4 : 지표성분 분석을 통한 우수개체 선발, 대량 재배를 위한 기반 시설 준비
- (1세부) 연구개발 내용 5: 베트남 현지 소비자 조사 및 관련자료 조사
- (2세부) 연구개발 내용 1: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계획서 작성 및 승인
- (2세부) 연구개발 내용 2: 소재의 세포독성평가(각질세포,멜라닌세포,섬유아세포)
- (2세부) 연구개발 내용 3: 소재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기능성 평가: 항산화 효능평가
나. 2차 연도
1) 개발 목표
- 총괄: 화장품 소재 제품화(ICID 등록 1건), 베트남 시장 맞춤형 복합기능성 화장품 개발 및 현지 임상평가
- (1세부): 베트남 시장 맞춤형 복합기능성 화장품의 현지 임상평가
- (2세부): 소재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기능성 평가 3건
2)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
- 총괄: 진정(항염), 항노화, 미백 복합기능성 화장품의 제품 출시 및 현지임상 평가
- (1세부) 연구개발 내용 1: 개선 시제품 생산 2종
- (1세부) 연구개발 내용 2: 시제품을 이용한 소비자 선호도 조사
- (1세부) 연구개발 내용 3: 소비자 평가를 반영한 화장품 성능 개량 및 제품 출시(세럼, 크림 2종)
- (1세부) 연구개발 내용 4: 제품 2종에 대한 국내(KTR) 및 현지 임상 평가(University of Medicine and Pharmacy at Ho Chi Minh City 연구 용역) 총 4건
- (2세부) 연구개발 내용 1: 소재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기능성 평가 : 진정(항염), 항노화(피부주름,보습), 미백 효능평가
다. 3차년도
1) 개발 목표
- 총괄: 화장품 소재 제품화 추가(ICID 등록 1건), 현지 2차 임상 평가 및 소비자 평가를 반영한 제품 개선 방향 도출
- (1세부): 화장품 소재 제품화 1건 추가(ICID 등록), 현지 맞춤형 복합기능성 화장품 개선 방향 도출
- (2세부): 소재의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기능성 평가 및 기전 규명
2)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
- 총괄: 화장품 소재 제품화 추가(ICID 등록 1건), 현지 2차 임상 평가 및 소비자 평가를 반영한 제품 개선 방향 도출, 중장기 마케팅 전략 확립
- (1세부) 연구개발 내용 1: 현지 2차 임상 평가(항염 및 항알레르기)
- (1세부) 연구개발 내용 2: 임상 및 소비자 평가를 반영한 제품 개선
- (1세부) 연구개발 내용 3: 현지 맞춤형 마케팅 전략 확립
- (2세부) 연구개발 내용 1: 소재의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기능성 평가 : 항산화, 진정(항염), 항노화(피부주름,보습), 미백 효능평가 (4건)
- (2세부)연구개발 내용 2 : 소재의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기전 규명
※ (연구개발과제1) 시지기움 포르모숨을 이용한 복합 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최종 목표
1) 소재의 생리활성 물질 동정 및 정량: 개체, 수확시기, 지역별 편차 검증
2) 우수개체의 선발 및 소재의 대량 확보 체계 확립
3) 나고야의정서에 따른 유전자원 이용 신고 및 허가 취득
4) 생리활성 물질 함량 표준화 및 소재의 제품화: ICID 2건 획득
5) 화장품 기능성 성분의 외부시험기관을 이용한 검증
6) 베트남 시장 맞춤형 복합 기능성 화장품 출시(3종) 및 현지 임상연구 수행(2회): 진정 및 항염(항알레르기), 탄력 및 주름개선, 미백
7) 비고시형 화장품 기능성 소재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정 획득(1건)
□ 전체 내용
가. 1차년도
1) 개발 목표
- 수확 시기별/개체별 원료의 기능성 성분 변화 분석 및 지표성분 설정
2)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그림을 이용하여 시스템 구성도, 구조 등을 표현)
- 베트남 협력기관을 통한 수확 시기별/개체별 원료 확보
- 추출물을 생산하고 각종 생리활성 성분을 동정, 정량 분석
- 지표성분 분석을 통한 우수개체 선발, 대량 재배를 위한 기반 시설 준비
- 베트남 현지 소비자 조사 및 관련자료 조사
나. 2차 연도
1) 개발 목표
- 베트남 시장 맞춤형 복합기능성 화장품의 현지 임상ㄱ평가
2)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그림을 이용하여 시스템 구성도, 구조 등을 표현)
- 시제품 생산(진정, 항노화, 미백 복합기능성 제품; 세럼 및 크림 2종)
- 시제품을 이용한 소비자 평가
- 소비자 평가를 반영한 화장품 성능 개량 및 제품 출시(세럼, 크림 2종)
- 제품 2종에 대한 현지 임상 평가(University of Medicine and Pharmacy at Ho Chi Minh City 연구 용역)
다. 3차년도
1) 개발 목표
- 화장품 소재 제품화 1건 추가(ICID 등록), 현지 맞춤형 복합기능성 화장품 개선 방향 도출
2)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그림을 이용하여 시스템 구성도, 구조 등을 표현)
- 현지 2차 임상 평가(항염 및 항알레르기)
- 임상 및 소비자 평가를 반영한 제품 개선
- 현지 맞춤형 마케팅 전략 확립
2) 단계별 목표 및 내용
<1단계>
※ 베트남 전통 약용식물 시지기움 포르모숨(Syzygium formosum) 대량증식을 통한 진정, 항노화, 미백 복합 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최종 목표
●수확 시기별 활성성분 변화 연구 및 원료 표준화
●우수개체의 선발 및 재배법 개발
●베트남 현지 맞춤형 복합 기능성 화장품 개발
●유전자원 활용 현지 인허가 취득 및 공급선 확보
● 인체유래물을 이용한 연구 IRB 승인
● 소재의 세포독성평가
●소재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기능성 평가
● 우수개체 선발 및 재배
●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화
● 소재 기능성 외부기관 평가 및 베트남인(변경전 : 현지) 대상 평가
● 베트남 현지 맞춤형 복합기능성 화장품 개발
●유전자원 인허가 취득
●소재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기능성 평가
●지표물질의 주름개선 효과 평가
□ 전체 내용
•단위시기별 원료생산 및 활성성분 변화 분석
•활성성분의 정밀동정
•일반품질 조건
•생리활성 지표물질 선정
•우수개체 연구진행
•묘목 200주 확보
•복합기능성 화장품 제형개발
•기존 제품 소비자 평가
•베트남 소비자조사
•인허가취득을 위한 계약서 작성 및 컨설팅
•국제특허출원2건
•하노이 현지 회사를 통한 원료 대량 공급책 확보
● 피부섬유아세포 일차배양을 위한 IRB계획서 작성 및 승인
● 피부세포주(각질세포,멜라닌생성세포,섬유아세포) 이용한 세포독성평가
● 항산화 효능평가
● 연 4회이상 샘플링 분석 (봄, 여름)
● 영양번식법 혹은 클론재배법 확립
● 우수개체의 실험실 대량 증식
● 목표 기능성에 따른 지표물질 선정
• 지표물질 선정을 위한 주요 기능성물질의 생리활성 및 안정성 평가
● 소재의 제형개발 및 안정성 향상
• 소재의 화장품 기능성 검증
• 복합기능성 화장품 이용 베트남인 대상 임상 시험
• 시제품 개발(항노화 및 항여드름 제품) 및 소비자 평가
• 제품 2종 개발 완료
• 나고야의정서 관련 ABS 베트남 라이센스 취득
● 진정(항염)효능평가
● 항노화(주름개선,보습효능)평가
● 미백효능평가
● 콜라겐 생성능 등 주름개선 바이오 마커를 이용한 평가
※ (연구개발과제1) 시지기움 포르모숨을 이용한 복합 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최종 목표
• 수확 시기별 활성성분 변화 연구 및 원료 표준화
• 우수개체의 선발 및 재배법 개발
•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화
• 베트남 현지 맞춤형 복합 기능성 화장품 개발(소재 기능성 외부기관 및 베트남인 대상 평가 포함)
• 유전자원 활용 현지 인허가 취득 및 공급선 확보
•피부섬유아세포 일차배양을 위한 IRB계획서 작성 및 승인
•피부세포주(각질세포,멜라닌생성세포,섬유아세포) 이용한 세포독성평가
•항산화 효능평가
• 소재 기능성 외부기관 평가 및 국내 거주 베트남인 대상 평가
• 소재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기능성 평가(보고서 3건)
□ 전체 내용
• 수령 5년이상 나무로부터 샘플 36종 확보완료
• SOP확립 및 OPTIMIZATION 완료
• 샘플 30종 정밀 분석완료
• 시기별, 나무별 상관관계 분석 완료
• 일반 품질조건 확립
• 지표물질 7개 선정 완료
• 연 4회 샘플링을 통한 계절별 지역별 분석완료
• 묘목 200주 확보 완료
• SCI논문(Applied Sciences) 1편 게재 완료
• 장군나무잎추출물 활성성분 4개 그룹으로 분획 완료
• 항염, 항노화, 미백 효능별 지표물질 선정 완료
• 화장품 내의 활성성분 안정성 평가 완료
• 학회발표2건 : 2021년 피부장벽학회 추계학술대회, 2021년 대한화장품학회
• 지표물질 선정을 위한 주요 기능성 물질의 생리활성 안정성 평가 완료 (장기보관시 80%이상 잔존확인)
• 시지기움 포르모숨잎추출물 ICID 등재완료(기완료건)
• 시지기움 포르모숨잎수 ICID 등재 신청 완료
• 1차 제형개발을 통한 세럼, 크림, 오인트먼트 제형개발 및 시제품 개발 3건
• 1차 현지인 120명 대상으로 소비자테스트 실시 완료(기존제품 20명, 시제품 100명)
• 1차 소비자조사 200명에 대한 것은 피부특성 은행구축 사업결과와 연계하에 진행 완료
• 1차 소비자테스트를 통해 2차 제형개발을 통한 여드름(지성)피부용 모이스처라이저 및 클렌징워터 등 시제품 개발 2건
• 베트남인 대상 임상시험 : 국내 거주하는 베트남인 23인 모집하여 4가지 임상시험 진행완료
• 2차 소비자테스트(베트남 현지인 100명 대상) 완료
• 유전자원접근승인서(PIC) 및 최종 나고야 의정서 라이센스 획득
• 항염효과 국내특허 1건 출원완료
• 항염효과(중국, 베트남) 각 1건씩 출원완료
• 1차년도 건조잎 300kg, 2차년도 건조잎 500kg 확보
• IRB 승인 통지서 1건
• HaCaT 1건
• B16F10 1건 , MNT-1 1건
• NHDF 1건
• 항산화 보고서 1건
• 외부기관 기능성 검증 4건진행을 통한 유의적 효과 확인
(여드름성피부 적합성평가, 피부탄력개선, 안면처짐 개선, 색소침착 개선)
• 진정(함염), 항노화(주름개선, 보습효능), 미백효능 평가 : 시험 결과 도출
• 논문 1편 게재 완료 (Plants 1편씩)
• “2021년 국내 화장품학회지 포스터 발표” 1건
• “2021년 하반기 생화학 분자생물학회 포스터 발표” 1건
<2단계>
※ 베트남 전통 약용식물 시지기움 포르모숨(Syzygium formosum) 대량증식을 통한 진정, 항노화, 미백 복합 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최종 목표
● 1년차에 확보한 묘목 중 우수개체 선발 : 200주 이상 생리활석 비교분석 및 기능성 원료 규격화 연구 및 필드이식
● 대량증식 우수개체의 필드 이식 : 베트남 현지 필드 이식
● 시지기움 포르모숨 추출물을 기반으로 한 신규 복합소재 추가 개발
● 소비자 평가, 임상 시험 결과를 종합한 제품 개선
● KTR 임상테스트 : 피부장벽 기능회복 가려움증 개선 시험4)
● 식약처기능성인증 : 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하여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3)
● 베트남 현지인(염증 또는 아토피 보유자) 대상으로한 소비자테스트2)
● 항산화 효능평가
● 진정(항염)효능평가
● 항노화(주름개선, 보습효능평가)
● 미백 효능평가)
● AhR 신호전달 관련 유전자 발현 확인
□ 전체 내용
재배 농가의 200주 이상 샘플에 대한 생리활성계절별(봄, 여름) 비교 분석 및 우수개체 선발 완료
규격화 : 유효성분 최소 기준 마련
필드 이식완료
• 당사 개발균주(Saccharomyces cerevisiae CEY1)로 발효한 시지기움 포르모숨 발효물 개발 완료(발효만으로 발효액내 증가) : ICID 1건 신청완료, 특허1건 출원완료
• 개선제품 시제품 생산 2건 : 토너, 모이스트 크림 개발
• 마스크팩 신규개발 1건
• 임상시험을 통한 피부장벽 기능회복 가려움증 개선 확인 완료 : 유의적 개선효과 확인
• 기능성 인증을 위한 자료 제출 완료
- 기원 및 개발경위
- 안전성에 관한 자료
- 기준 및 시험방법
- 유효성 및 기능 입증 자료
• 현지 피부염증 질환자 30명 대상 소비자 테스트 수행 : 설문조사 및 개선사진 확보 완료
● 보고서4건
● 논문 1건 투고 완료
● 보고서 1건
※ (연구개발과제1) 시지기움 포르모숨을 이용한 복합 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최종 목표
● 1년차에 확보한 묘목 중 우수개체 선발
● 대량증식 우수개체의 필드 이식
● 시지기움 포르모숨 추출물을 기반으로 한 신규 복합소재 추가 개발
● 소비자 평가, 임상 시험 결과를 종합한 제품 개선
● KTR 임상테스트 : 피부장벽 기능회복 가려움증 개선 시험4)
● 식약처기능성인증 : 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하여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3)
● 베트남 현지인(염증 또는 아토피 보유자) 대상으로한 소비자테스트2)
● 항산화 효능평가
● 진정(항염)효능평가
● 항노화(주름개선,보습효능)평가
● 미백효능평가
● AhR 신호전달 관련 유전자 발현 확인
□ 전체 내용
● 200주 이상 생리활성 성분 비교 분석을 통한 기능성 원료 규격화 연구1)
● 베트남 현지 필드 이식
● ICID 등록 1건
● 개선제품 시제품 생산 2건
● 마스크 팩 신규 개발 1건
• 국내 임상테스트 실시 1건
• 식약처 기능성화장품 인정 1건3)
• 베트남 현지인 대상 소비자테스트2)
● 보고서 4건
● 학술대회 발표 1건
● 보고서 1건
● 논문 발표 1건
3) 연구개발 성과 및 기대효과
※ 베트남 전통 약용식물 시지기움 포르모숨(Syzygium formosum) 대량증식을 통한 진정, 항노화, 미백 복합 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국제 출원/등록 2건 : 1차년도 출원 2건, 3차년도 등록 2건
- SCI급 논문 발표 3건 : 2차년도 2건, 3차년도 1건
- 화장품 현지 사업화 2건
- 기술료 납부(사업종료후) 1건
- 국제상표 2건
- 시제품개발 7건(당해연도 2건, 2차년도2건, 3차년도 3건)
- 상품화 출시 3건
- 베트남 시장 맞춤형 복합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제품 3종) 및 현지 임상 시험(2회)
- 신규고용창출 : 1차년도 2명
- MOU체결 1건 : 베트남 현지 임상기관과의 MOU체결
- 승인 : 3건 (인체유래물을 이용한 연구 IRB승인 1건, ICID 승인2건)
- 인증 : 1건 (식약처 기능성인증 1건)
- 허가 : 1건 (유전자원접근허가, 나고야의정서기준 - 베트남정부)
- 임상시험실시 5건 (2차년도 4건, 3차년도 1건)
가. 활용계획
1) 본 과제의 성과로서 원료의 대량 공급체계 확보 및 장기적으로 우수한 성분의 원료 생산기지를 현지에 구축하는 것을 들 수 있음. 시지지움 포르모숨 잎 추출물은 과제 2년차부터 상품화하여 소재로서 판매되거나 주관기관의 복합기능성 화장품의 핵심 성분으로 활용될 예정임.
2) 소재의 우수한 확장성: 시지기움 포르모숨은 자연 상태에서도 매우 높은 농도로 기능성 성분을 잎에 축적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본 과제의 성과로서 우수개체를 선발하여 기존 추출물 대비 2배 이상 기능성 성분을 축적하는 소재를 확보할 경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산업에 활용할 수 있음.
- 반려동물용 미용 용품: 가려움증 및 피부염 완화를 위한 샴푸 등
- 천연물 유래 동물 의약품/의약외품: 반려동물 피부염 등의 치료, 증상 완화(샴푸형, 경구용 등)
- 아토피 피부염 치료 약물: 경증의 아토피를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피부 도포용 약물
3) 주관기관은 알레르기 의약품 소재 개발 전문회사로서 시지기움 포르모숨 잎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화 연구가 완료되면 해당 소재를 높은 부가가치를 지니는 천연물 의약품 소재화 연구를 전문기관들과 협력하여 진행할 의지가 있음.
나. 기대효과
1) 기술적 측면
- 천연물 유래 차별화된 기능성 소재의 확보한다면 이를 다양한 산업에 적용할 수 있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천연물 유래 의약품 소재화, 반려동물 의약품화 등 관련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훌륭한 소재가 될 것으로 기대
-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모델을 정밀화하고 발전시켜 사회적 요구가 높은 미세먼지 대응 천연소재 개발에 지속적으로 활용이 가능
- 한국, 베트남의 기업, 대학, 병원 등이 협력하여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기술과 소재를 개발하는 모범사례를 만들어 두 국가간 연구개발 협력 확대를 유도할 수 있음.
2) 경제적산업적 측면
- 과제 완료 초기에는 천연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수입대체 및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중기 이후에는 소재는 물론 완제품의 수출확대에 따른 경제적 이득 창출을 기대됨.
- 시지기움 포르모숨 잎 추출물이 의약품 소재로 사용될 경우 이로부터 창출될 경제적 파급효과는 최소 수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됨.
- 고용창출 : 1차년도 2명(연구 1, 생산 1)
※ (연구개발과제1) 시지기움 포르모숨을 이용한 복합 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가. 1차년도
- 시제품개발 2건
- 유전자원접근 허가(PIC) : 1건
- 국제특허출원 : 2건
- 상표출원(등록) : 2건
- 신규고용창출 : 2명
나. 2차년도
- 임상시험 4건 (국내 3건, 베트남 현지 1건)
- SCI급 논문발표 1건
- 화장품 현지사업화 1건
- 시제품개발 2건
- 개발소재 ICID등록(승인) 1건
- MOU체결 : 베트남 현지 임상기관과의 MOU체결 1건
- 상품화 출시 2건
다. 3차년도
- 국제 특허 등록 : 2건
- 시제품개발 3건
- 임상시험(해외) 1건
- 상품화 출시 1건
- 화장품 현지사업화 1건
- 시제품개발 3건
- 개발 소재 ICID 등록(승인) 1건
- 기능성 화장품 인증 1건
가. 활용계획
1) 본 과제의 성과로서 원료의 대량 공급체계 확보 및 장기적으로 우수한 성분의 원료 생산기지를 현지에 구축하는 것을 들 수 있음. 시지지움 포르모숨 잎 추출물은 과제 2년차부터 상품화하여 소재로서 판매되거나 주관기관의 복합기능성 화장품의 핵심 성분으로 활용될 예정임.
2) 소재의 우수한 확장성: 시지기움 포르모숨은 자연 상태에서도 매우 높은 농도로 기능성 성분을 잎에 축적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본 과제의 성과로서 우수개체를 선발하여 기존 추출물 대비 2배 이상 기능성 성분을 축적하는 소재를 확보할 경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산업에 활용할 수 있음.
- 반려동물용 미용 용품: 가려움증 및 피부염 완화를 위한 샴푸 등
- 천연물 유래 동물 의약품/의약외품: 반려동물 피부염 등의 치료, 증상 완화(샴푸형, 경구용 등)
- 아토피 피부염 치료 약물: 경증의 아토피를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피부 도포용 약물
3) 주관기관은 알레르기 의약품 소재 개발 전문회사로서 시지기움 포르모숨 잎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화 연구가 완료되면 해당 소재를 높은 부가가치를 지니는 천연물 의약품 소재화 연구를 전문기관들과 협력하여 진행할 의지가 있음.
나. 기대효과
1) 기술적 측면
- 천연물 유래 차별화된 기능성 소재의 확보한다면 이를 다양한 산업에 적용할 수 있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천연물 유래 의약품 소재화, 반려동물 의약품화 등 관련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훌륭한 소재가 될 것으로 기대
-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모델을 정밀화하고 발전시켜 사회적 요구가 높은 미세먼지 대응 천연소재 개발에 지속적으로 활용이 가능
- 한국, 베트남의 기업, 대학, 병원 등이 협력하여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기술과 소재를 개발하는 모범사례를 만들어 두 국가간 연구개발 협력 확대를 유도할 수 있음.
2) 경제적산업적 측면
- 과제 완료 초기에는 천연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수입대체 및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중기 이후에는 소재는 물론 완제품의 수출확대에 따른 경제적 이득 창출을 기대됨.
- 시지기움 포르모숨 잎 추출물이 의약품 소재로 사용될 경우 이로부터 창출될 경제적 파급효과는 최소 수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됨.
- 고용창출 : 1차년도 2명(연구 1, 생산 1), 2차년도 2명(생산1, 기타1), 3차년도 1명(생산1, 기타1), 과제종료후 1년차(연구1, 생산1, 기타1), 과제종료후 2년차(기타1)
(출처 : 요약문 3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약문 ... 3
- 목차 ... 10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1
-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12
- 1) 연구개발 목표 및 결과 ... 12
-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정도 ... 15
- 1) 연구수행 결과 ... 15
- 2) 목표 달성 수준 ... 254
- 4. 목표 미달 시 원인분석 ... 255
- 1) 목표 미달 원인(사유) 자체분석 내용 ... 255
- 2) 자체 보완활동 ... 257
- 3) 연구개발 과정의 성실성 ... 257
- 5.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 ... 258
- 6.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 260
- 7. 참고문헌 ... 262
- 끝페이지 ... 26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