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씨엔지유기농 영농조합법인 |
연구책임자 |
김범석
|
참여연구자 |
이원호
,
이미경
,
우성이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4-02 |
과제시작연도 |
2023 |
주관부처 |
산림청 Korea Forest Service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임업진흥원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2400012567 |
과제고유번호 |
1405005865 |
사업명 |
산림과학기술실용화지원사업 |
DB 구축일자 |
2024-10-07
|
키워드 |
꽃송이버섯.노루궁뎅이버섯.동충하초.사료첨가제.사료곡물.Sparassis-crispa.Hericium-erinaceum.Cordyceps.feed-additives.feed-grain.
|
초록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최종 목표 >
○ 사료곡물(옥수수 등)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노루궁뎅이버섯의 배양기간 단축
○ 사료곤충(동애등에)의 스테이지(유충, 번데기, 성충)별 동충하초 배양법 확립
○ 대량생산시스템 구축
○ 사료곤충(동애등에)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코디세핀 함량 증대
○ 사료곡물 및 사료곤충으로부터 배양된 꽃송이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동충하초 혼합 사료첨가제의 첨가 비율 확립
○ 사료급여량 및 급여일수별 신선도(난각두께, 난황색, 하우유닛 등) 변화량 비교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최종 목표 >
○ 사료곡물(옥수수 등)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노루궁뎅이버섯의 배양기간 단축
○ 사료곤충(동애등에)의 스테이지(유충, 번데기, 성충)별 동충하초 배양법 확립
○ 대량생산시스템 구축
○ 사료곤충(동애등에)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코디세핀 함량 증대
○ 사료곡물 및 사료곤충으로부터 배양된 꽃송이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동충하초 혼합 사료첨가제의 첨가 비율 확립
○ 사료급여량 및 급여일수별 신선도(난각두께, 난황색, 하우유닛 등) 변화량 비교
○ 시제품 개발
○ 효능 검정
■ 전체 내용
< 자체 보유 기술의 요약 내용 >
○ 특허 1. 『곡물배지를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병 내부재배방법』(10-2142065)을 활용하여, 꽃송이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을 사료곡물(옥수수 등)로 배양하여, 배지전체를 사용함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단가를 크게 절감
○ 특허 2.『꽃송이 버섯, 노루궁뎅이 및 동충하초를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사료』(10-1831033)를 활용하여, 꽃송이 버섯의 베타글루칸으로 면역력 증강, 노루궁뎅이버섯의 항헬리코박터 효능 등 장 건강 개선, 동애등에 동충하초를 이용한 동물성 단백질, 칼슘, 인 및 주요지표물질이자 천연항생 물질인 코디세핀 함량이 증진된 사료 첨가제 개발
< 전체 내용 >
○ 사료곡물(옥수수 등)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노루궁뎅이버섯의 배양기간 단축
- 꽃송이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의 액체종균 배양법 확립
- 사료곡물(옥수수 등)을 이용한 배지 조건 및 배양 조건 확립을 통한 배양기간 단축
○ 사료곤충(동애등에)의 스테이지(유충, 번데기, 성충)별 동충하초 배양법 확립
- 동애등에의 각 스테이지(유충, 번데기, 성충)에 따른 동충하초의 품종개발 및 배양조건 확립
○ 대량재배시스템 구축
- 동충하초, 노루궁뎅이버섯, 꽃송이버섯의 산업화를 위한 대량재배시스템 구축
○ 사료곤충(동애등에)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코디세핀 함량 증대
- 고함량의 코디세핀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동충하초의 품종 및 배양법 확립
○ 사료곡물 및 사료곤충으로부터 배양된 꽃송이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동충하초 혼합 사료첨가제의 첨가 비율 확립
- 사업화를 위한, 첨가 비율 최적화
○ 사료급여량 및 급여일수별 신선도(난각두께, 난황색, 하우유닛 등) 변화량 비교
- 급여량(첨가비율) 및 급여일수별 계란의 신선도(난각두께, 난황색, 하우유닛 등) 비교·분석
○ 시제품 개발
- 시제품 개발, 공정도 확립, 품질확인, 국내외 시장 개척
○ 효능 검정
- 베타글루칸 및 코디세핀 함량 측정
- 항헬리코박터 등 항균작용 검정(In-vitro)
□ 연구개발성과
< 정량적 성과 >
◦ 시제품 개발 1건
◦ 특허출원 1건
◦ 매출액 30,100,000원
◦ 논문 1건
◦ 학술발표 3건(구두발표 1건, 포스터발표 2건)
◦ 교육지도 24건, 161명
◦ 홍보전시 24건 (전시 2건, 홍보 22건)
< 계획서 외 추가성과 >
◦ 신규고용 1명
◦ 수상 1건
◦ 국제화/협력 성과 1건 (국외 연구 및 사업협력 MOU)
< 정성적 성과 >
◦ 꽃송이버섯 및 노루궁뎅이 버섯의 배양기간 단축을 위한 액체종균 배지 조건 및 배양 조건 확립
◦ 사료곡물인 옥수수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의 배양
◦ 사료곤충인 동애등에의 스테이지별 동충하초 배양법 확립
◦ 버려지는 부산물인 동애등에 성충 스테이지의 동충하초 배양법 확립
◦ 동애등에 동충하초의 최적균주 선발 및 배양조건 확립
◦ 동애등에 동충하초의 코디세핀 함량 증진
◦ 산업화를 위한 대량생산시스템 구축
◦ 사료곡물 및 사료곤충으로부터 배양된 꽃송이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동충하초의 사료 첨가제의 첨가 비율 확립
◦ 사료급여량 및 급여일수별 계란 품질 비교분석
◦ 효능 검정
◦ 국제 업무제휴서(MOU)를 통한 국제교류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연구성과 활용계획 >
◦ 국내 버섯 연구기관 연구협력 시스템 구축
◦ 대량생산시스템 구축과 매뉴얼 정립을 통한 버섯의 안정적인 생산
◦ 교육 및 현장지도, 품평회 등을 통해 국내 버섯 우수성 홍보 및 외산품종 대체
◦ 버섯의 신규품목 활용으로 임업인의 소득향상
< 기술적 기대효과 >
◦ 사료용 곡물배지개발로, 버섯을 이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시장 활성화
◦ 사료곤충을 이용한 동충하초의 개발로 기능성 증진된 사료곤충 시장의 활성화
◦ 병내부에서, 세균 및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하게 재배하는 버섯시장 활성화
◦ 대량생산시스템 구축과 매뉴얼 정립을 통한 임가의 편리성 증대 및 안정적인 생산
◦ 표준화된 재배매뉴얼 보급
◦ 축산(닭, 돼지, 소 등) 사료뿐아니라, 해양 사료 및 반려동물 사료로의 연계 가능
< 경제·사회적 기대효과 >
◦ 국내 꽃송이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동충하초를 이용하여 사료용으로의 개발을 통해 새로운 임가소득 창출
◦ 국내 버섯 생산성 향상 및 국내 품종 자급률 향상에 기여
◦ 버섯 자원에 대한 과학적 기초 특성 확보를 통한 자원 활용 가능성 증대
◦ 기능성을 갖는 버섯을 이용하여 축산·해양·반려동물 사료로의 활용을 통해 새로운 수익 창출을 기대
< 사회·문화적 기대효과 >
◦ 지역 귀농 사회의 고령 노동인력 활용 및 일자리 창출
◦ 병내부에서 세균 및 미세먼지로부터 재배하여, 안전하고 고품질의 버섯 인식 제고와 국내 버섯산업 발전과 소비확대
◦ 기능성이 증진된 버섯을 활용한 사료개발을 통한 축산업 발전에 기여
(출처 : 요 약 문 3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 약 문 ... 3
- 목차 ... 6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7
- (1) 노루궁뎅이버섯의 개발 필요성 ... 7
- (2) 꽃송이버섯의 개발 필요성 ... 8
- (3) 동충하초의 개발 필요성 ... 8
- (4) 곤충을 이용한 개발 필요성 ... 10
-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14
- 1) 연구수행 결과 ... 14
-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정도 ... 18
- 1) 연구수행 결과 ... 18
- 2) 목표 달성 수준 ... 70
- 4. 목표 미달 시 원인분석 ... 71
- 5.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 ... 71
- 6.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 72
- 7. 기술기여도 ... 73
- 끝페이지 ... 7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