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SungKyunKwan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이석용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4-03 |
과제시작연도 |
2023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등록번호 |
TRKO202400009665 |
과제고유번호 |
1711191315 |
사업명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DB 구축일자 |
2024-10-07
|
키워드 |
개인맞춤약물요법.PBPK모델.약물유전정보.CYP대사효소.약동학.Personalized pharmacotherapy.PBPK model.Pharmacogenomic information.CYP enzyme.Pharmacokinetics.
|
초록
▼
□ 연구개요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많은 약물들이 치료효과에서 개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며, 정상적으로 약물을 투여받은 환자중 치료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환자가 약 30-60%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이러한 약물반응의 개인차는 유전적, 생리적, 병태생리적, 환경적 요인들에 기인하며, 특히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ADME) 등에 관여하는 약물대사효소와 수송체의 유전적 차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따라서 약물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개인맞춤 정밀약물요법의 실현을 위하여 약물대사효소와
□ 연구개요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많은 약물들이 치료효과에서 개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며, 정상적으로 약물을 투여받은 환자중 치료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환자가 약 30-60%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이러한 약물반응의 개인차는 유전적, 생리적, 병태생리적, 환경적 요인들에 기인하며, 특히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ADME) 등에 관여하는 약물대사효소와 수송체의 유전적 차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따라서 약물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개인맞춤 정밀약물요법의 실현을 위하여 약물대사효소와 약물수송체들에 대한 약물유전체정보와 환자의 신체적 및 생리적 조건, 질병상태, 환경적요인 등을 PBPK modelling으로 접목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였음. 이를 통해 각 환자의 개인적 특성을 모두 고려한 개인맞춤 정밀약물요법의 제시가 가능하게 되었고 노인, 소아, 간 질환자나, 신장 질환자 등과 같이 특수 환자군에서도 개인맞춤 정밀약물요법을 확대 적용할 수 있게 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각 연차별 세부 목표를 다음과 같이 100% 달성하였음.
1. CYP2D6 약물대사효소 기질약물들에 대한 약물유전체연구 및 PBPK modelling
JCR 상위 10%저널에 총 7편의 논문을 발표함. Metoclopramide, atomoxetine, tolperisone, zolpidem 4가지 기질약물의 PK profile에 대한 CYP2D6의 유전적다형성의 영향을 연구하여 SCIE저널(IF 6.7)에 5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이들 약물에 대한 PBPK modeling의 결과를 발표준비 중이며, tamsulosin과 metoprolol 2가지 기질약물에 대해 PBPK model을 개발하여 SCIE저널(IF 6.7)에 2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음.
2. CYP2C19 약물대사효소 기질약물들에 대한 약물유전체연구 및 PBPK modelling
JCR 상위 10%저널에 총 2편의 논문을 발표함. 기질약물인 tolperisone에 대한 CYP2C19의PK profile에 대한 유전적 다형성의 영향을 연구하여 ACIE저널(IF 6.7)에 결과를 발표하였고, pantoprazole에 대해 약물유전체 연구결과가 포함된 PBPK model을 개발하여 SCIE저널(IF 6.7)에 결과를 발표하였음.
3. CYP2C9 약물대사효소 기질약물들에 대한 약물유전체연구 및 PBPK modelling
JCR 상위 10%저널에 총 7편의 논문을 발표함. glipizide의 PK profile과 PD에 대한 CYP2C9의 유전적다형성의 영향을 연구하여 SCIE저널(IF 6.7)에 결과를 발표하였고, celecoxib, piroxicam, flurbiprofen, meloxicam, candersartan, irbesartan 6개 기질약물들에 대해 약물유전체 연구결과가 포함된 PBPK model을 개발하여 SCIE저널(IF 6.7)에 6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음.
4. CYP2D6, 2C19, 2C9 복수의 약물대사효소에 기질인 약물들에 대한 약물유전체연구 및 PBPK modelling
JCR 상위 10%저널에 총 2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1편은 투고심사중임. CYP2C9과 CYP2C19 복수의 대사효소에 기질인 gliclazide의 pk profile과 PD에 대한 두 효소의 유전적다형성의 영향을 연구하여 Arch Pharm Res (IF 6.7)에 결과를 발표하였고, PBPK model을 개발하여 Arch Pharm Res (IF 6.7)에 투고하여 심사중임. 또한 CYP2D6, CYP2C19, CYP1A2에 복합기질인 tolperisone의 PK profile에 대한 이들 대사효소들의 유전적다형성의 영향을 연구하여 Arch Pharm Res (IF 6.7)에 발표하였고 PBPK model을 개발하여 발표준비중임
5. SLCO1B1등 약물수송체 기질약물들에 대한 약물유전체연구 및 PBPK modelling
JCR 상위 10%저널에 총 2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음. 약물대사효소 기질약물을 넘어 약물수송체 기질약물들까지 PBPK modeling을 통한 맞춤약물요법의 개발 확대를 탐색하기 위하여 losartan의 PK profile에 대한 ABCB1 수송체의 유전적다형성의 영향을 연구하여 Arch Pharm Res (IF 6.7)에 발표하였고, pitavastatin에서 SLCO1B1의 약물유전체 연구 결과가 포함된 PBPK model을 개발하여 rch Pharm Res (IF 6.7)에 발표하였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활용계획 >
● 각 개인의 약물유전정보와 신체적 특성, 생리학적 및 병태생리학적 특성, 식생활 등 환경적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의약품을 선택하고, 최적의 투여용량과 적절한 투여 횟수 및 간격을 결정하여 각 개개인별 의약품의 안전성, 유효성을 극대화시키는 기술로 활용될 것임.
● 산업적으로는 각 개인의 약물유전정보를 포함한 개인적 특성별로 적합한 제형을 개발하는데 활용되어 선진화된 의약품 개발 및 활용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임.
● 각 개인에서 약물유전자의 다형성을 포함한 개인적 특성에 따른 약물 반응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진단기술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임.
< 기대효과 >
학문·기술적 측면:
● 본 연구를 통하여 의약학 분야의 연구인력을 양성하고, 국내 약물유전체학 및 임상약리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과 보건기술 발전을 도모한다.
● 한국인에서의 약물수송체 및 약물대사효소의 유전적 특징을 확립하여 민족간 약물반응차이 및 개인간의 약물효과나 이상반응의 차이를 규명할 수 있을 것임.
● 임상시험시 약물수송체 및 약물대사효소의 유전형을 고려한 시험방법으로 활용되어 임상시험의 성공률을 높일 것임.
사회·경제적 측면:
● 약물부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감소시켜 의료보험재정의 부담을 경감시킬 것임.
● 약물수송체 및 약물대사효소에서 한국인의 유전적 특성을 확립함으로써, 약물의 가교시험 연구자료로 활용하고, 신약 도입 시 외국 임상자료의 수용여부를 판단하는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임.
● 치료효과를 미리 예측하게 하여 치료탈락률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의료비 감소와 함께 ”개인맞춤 정밀약물요법”을 실현하여 국민건강 향상에 기여할 것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결과 요약문 ... 2
- 목차 ... 3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4
-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4
-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수준 ... 5
- 1) 정성적 연구개발성과(연구개발결과) ... 5
- 2) 세부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11
- 3) 목표 달성 수준 ... 11
- 4) 목표 미달 시 원인 분석 ... 12
- 4.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13
- 5.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 13
- 6. 자체점검표 ... 14
- 7. 참고문헌 ... 14
- 끝페이지 ... 3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