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매개체 전파 세균질환 원인 병원체의 면역후보물질 개발
Development of immune candidates for pathogens of vector-borne diseas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전북대학교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강준구
참여연구자 박진호 , 이창섭 , 황정환 , 황주희 , 이성근 , 채준석 , 최경성 , 조남혁 , 이진수 , 정다은 , 최윤실 , 형현지 , 박운이 , 김혜란 , 이시현 , 김소희 , 김다영 , 오상민 , 오송혁 , 하예지 , 김주완 , 허성희 , 장원종 , 최연주 , 김연숙 , 정형석 , 천신혜 , 김효열 , 손유진 , 한명숙 , 배수연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4-03
과제시작연도 2023
주관부처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KDCA)
연구관리전문기관 질병관리청
등록번호 TRKO202400016507
과제고유번호 1776000505
사업명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R&D)
DB 구축일자 2025-01-06
키워드 매개체 전파 병원체.세균.분리주.면역후보물질.감염동물모델.Vector-borne pathogen.Bacteria.Isolated strain.Vaccine candidate.Infection animal model.

초록

1. 매개체 전파 세균질환 연구를 위한 병원체 수집 및 특성분석
1) 인체(임상) 중심의 검체 및 병원체 확보를 위한 협력체계 구성
• 대학병원 감염내과 5개, 전국 규모의 1, 2차 병원 수탁기관, 동물 및 환경 분야 8개소 확보
2) 병원체(아형/유전형)별 균주 분리 동정 및 특성 분석
• 임상검체로부터 병원체 분리: 3가지 종 관련 균종 21주 확보
• 원헬스적 관점의 전파 연구를 위한 동물(가축, 야생동물)과 매개체 대상 병원체 분리: 6가지 종 관련 균종 24주 확보
• 계통분류학 분석을 통

Abstract

1. Coll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thogens for Vector-Borne Bacterial Diseases Research
1) Establishment of a Collaborative System for Human (Clinical) Sample and Pathogen Acquisition
• Collaboration with 5 university hospitals' infectious disease departments, 1st and 2nd-tier nationwid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목차 ... 3
  • 요약문 ... 5
  • Summary ... 6
  • Ⅱ. 연구용역과제 연구결과 ... 7
  • 제1장 최종 목표 ... 7
  • 제2장 국내외 기술 현황 ... 14
  • 제3장 최종 연구 내용 및 방법 ... 30
  • 제4장 최종 연구 결과 ... 42
  •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96
  •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97
  • 제7장 연구용역과제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01
  •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101
  • 제9장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원 분담표 ... 102
  • 제10장 참고문헌 ... 106
  • 제11장 첨부서류 ... 108
  • Ⅲ. 제1세부 연구용역과제 연구결과 ... 137
  • 제1장 제1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최종 목표 ... 137
  • 제2장 제1세부 연구용역과제의 국내외 기술 현황 ... 139
  • 제3장 제1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최종 연구 내용 및 방법 ... 140
  • 제4장 제1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최종 연구 결과 ... 143
  • 제5장 제1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155
  • 제6장 제1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계획 ... 156
  • 제7장 제1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59
  • 제8장 제1세부 연구용역과제의 기타 중요변경사항 ... 160
  • 제9장 제1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원 분담표 ... 161
  • 제10장 제1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참고문헌 ... 163
  • 제11장 제1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첨부서류 ... 163
  • Ⅳ. 제2세부 연구용역과제 연구결과 ... 164
  • 제1장 제2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최종 목표 ... 164
  • 제2장 제2세부 연구용역과제의 국내외 기술 현황 ... 165
  • 제3장 제2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최종 연구 내용 및 방법 ... 166
  • 제4장 제2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최종 연구 결과 ... 169
  • 제5장 제2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179
  • 제6장 제2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계획 ... 180
  • 제7장 제2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83
  • 제8장 제2세부 연구용역과제의 기타 중요변경사항 ... 184
  • 제9장 제2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원 분담표 ... 185
  • 제10장 제2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참고문헌 ... 187
  • 제11장 제2세부 연구용역과제의 첨부서류 ... 187
  • 끝페이지 ... 188

표/그림 (10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