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디지털트윈 KOREA 실현을 위한 공간정보 핵심기술 개발 기획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공간정보산업진흥원
연구책임자 이승수
참여연구자 안종욱 , 최윤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5-02
과제시작연도 2023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연구관리전문기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등록번호 TRKO202500000313
과제고유번호 1615013317
사업명 국토교통연구기획
DB 구축일자 2025-04-08
키워드 디지털 트윈국토.디지털 트윈.차세대 플랫폼.고정밀 측위.자동 변화관리.Dlgital twin national.Dlgital twin.Next generation platform.High-precision positioning.Automatic change management.

초록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디지털트윈 KOREA의 지속 가능한 기술혁신과 핵심기술 조기구현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 및 단기과제 도출

◼ 전체 내용
디지털트윈 KOREA 실현을 위하여 공간정보 기술과 관련한 정책・시장・기술・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한국형 기술혁신 체계 확립에 필요한 공간정보 기술을 도출하여 중장기 R&D 기술로드맵 개발 및 선도 핵심 기술 조기 연구개발을 위한 단기 연구개발계획 기획
□ 제2차 공간정보 기술개발(R&D) 중장기 로드맵
○ 추진배경
- 제4차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요 약 문 ... 5
  • 목차 ... 11
  • 표목차 ... 13
  • 그림목차 ... 16
  • 제1장 연구개발과제 개요 ... 21
  • 1. 기획 배경 및 필요성 ... 23
  • 2. 기획 추진체계 ... 26
  • 2.1. 기획연구 추진위원회 ... 26
  • 2.2. 연구수행기관 ... 26
  • 3. 기획 추진절차 및 경과 ... 28
  • 3.1. 기획 추진절차 ... 28
  • 3.2. 기획 추진경과 ... 30
  • 4. 기술 정의 및 분류체계 ... 33
  • 4.1. 공간정보 기술의 정의 ... 33
  • 4.2. 공간정보 기술의 분류체계 ... 34
  • 제2장 국내외 동향 변화 및 환경 분석 ... 37
  • 1. 국내외 정책 동향 ... 39
  • 1.1. 사회적 환경 분석 ... 39
  • 1.2 정책적 환경분석 ... 42
  • 2. 국내외 시장 동향 ... 53
  • 3. 국내외 기술 동향 ... 62
  • 3.1 기술적 환경분석 개요 ... 62
  • 3.2 기술 트렌드 현황 ... 64
  • 3.3 국내 기술현황 ... 65
  • 3.4 국외 기술현황 ... 72
  • 3.5 디지털트윈 구현을 위한 국내외 기술현황 결과 ... 82
  • 4. 주요 시사점 ... 85
  • 제3장 미래 공간정보기술 변화예측 ... 89
  • 1. 미래 사회환경 변화 전망 ... 91
  • 1.1 미래사회 메가트렌드 ... 91
  • 1.2 공간정보 분야 메가트렌드 ... 93
  • 2. 공간정보기술 발전 전망 ... 97
  • 2.1 공간정보 기술 분류에 따른 국내 기술 수준 및 개발 방향 ... 98
  • 2.2 디지털트윈 관련 기술 역량 분석 ... 101
  • 3. 공간정보산업 발전 전망 ... 115
  • 3.1 국내외 연구개발 투자 현황분석 ... 115
  • 3.2 연구개발 인프라 현황분석 ... 125
  • 4. 공간정보기술 경쟁력 분석 ... 133
  • 4.1. 기술수준조사 ... 133
  • 4.2. 공간정보 기술수준조사 결과 ... 135
  • 4.3. 공간정보 R&D 사업 ... 136
  • 4.4. 국토교통 분야 공간정보 기술 요구 ... 136
  • 5. 공간정보기술 개발방향 및 중점분야 설정 ... 139
  • 5.1 연구개발 성과 및 한계 분석 ... 139
  • 5.2 주요 시사점 ... 149
  • 5.3 공간정보기술의 개발 방향 설정 ... 154
  • 5.4 중점분야 설정 ... 174
  • 6. 연구개발 후보 과제 도출 ... 176
  • 6.1 기획위원회 추진 ... 176
  • 6.2 연구개발 후보과제 도출 ... 179
  • 제4장 연구개발과제 구성 및 추진전략 ... 181
  • 1. 비전 및 목표 ... 183
  • 2. 연구개발 과제 구성 ... 184
  • 3.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및 추진 전략 ... 186
  • 3.1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 186
  • 3.2 추진전략 ... 213
  • 4. 경제적 타당성 분석 ... 214
  • 4.1 편익추정 ... 214
  • 4.2 편익 분석 방법론 ... 214
  • 4.3 비용편익 분석 결과 ... 217
  • 제5장 기대효과 ... 219
  • 1. 과학기술적 측면 ... 221
  • 2. 사회경제적 측면 ... 222
  • 3. 파급효과 ... 223
  • 제6장 참고문헌 ... 225
  • 부 록 1 제2차 공간정보 기술개발(R&D) 중장기 로드맵(안) 2034 ... 229
  • 부 록 2 공간정보 핵심기술 개발 단기과제 기획 및 과제제안요구서(RFP) ... 259
  • 부 록 3 전략계획서 ... 287
  • 끝페이지 ... 361

표/그림 (184)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