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상용 식품 중 망간 함량 분석
Analysis of Manganese Content in Frequently Consumed Foods by Korean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0 no.8, 2007년, pp.769 - 778  

최미경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영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ICP-AES, we analyzed manganese content in 366 foods consumed frequently by Koreans. For the analysis, it was included a total of 366 foods such as 51 kinds of grains, 7 kinds of potatoes and starches, 7 kinds of sugars and sweeteners, 12 kinds of legumes, 11 kinds of nuts and seeds, 68 kind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품에는 이미 구축된 5종 무기질 이외에 항암효과, 항산화효과, 당대사 기능 개선 등과 같이 체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기능성 무기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와 관련된 국내 식품 함량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고⑵의 다소비 식품을 참조하여 한국인 상용 식품 중 300가지 이상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식품 중 망간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망간의 섭취량 평가나 기능성 평가에 활용되어 망간 영양에 대한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项 우리나라项와 외국"M의식품 중 망간 함량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 354명의 망간 섭취실태를 분석했을 때顺 식품군별로 곡류, 채소류, 두류, 조미료류를 통한 망간 섭취가 높았으며, 식품으로는 쌀, 대두, 수수, 김치, 두부를 통한 섭취가 높았다고 보고되었다. 연구는 식품 중 망간함량을 분석하여 가식부 100 g 당 함량으로 보고함으로써 섭취량을 고려한 망간의 주요 공급 식품과 같은 섭취패턴을 얘기할 수는 없다. 그러나 식품군별 망간 함량을 전체적으로 비교해 볼 때 곡류, 두류, 종실 류, 채소류, 버섯류가 육류, 어패류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망간의 섭취실태를 다각도로 살펴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한국인 상용 식품 중 망간 함량을 ICP-AES 로 분석하여 망간의 영양평가나 기능성 평가에 활용하고 궁극적으로 망간 영양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분석 식품은 곡류 51종 감자 및 전분류 [종、당류 [종, 두류 12종 종실류 11종 채소류 68종 버섯류 7 종, 과일류 33종 육류 13종 난류 4종 어패류 48종 해조류 [종、우유류 16종 유지류 8종 음료류 須종、조미료류 34종 기타 13종의 총 366종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roeder HA. Relation between mortality from cardiovascular disease and treated water supplies: variations in states and 163 largest municipalities of the United States. JAMA 1960; 172: 1902-1908 

  2. Klevay LM, Inman L, Johnson LK, Lawler M, Mahalko JR, Milne DB, Lukaski HC, Bolonchuk W, Sandstead HH. Increased cholesterol in plasma in a young man during experimental copper depletion. Metabolism 1984; 33 (12): 1112-1118 

  3. Choi MK. Relationship between serum levels of microminerals and lipids in Korean adults on self-selected diet.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0; 5 (2) : 289-296 

  4. Davis CD, Greger JL. Longitudinal changes of manganese-dependent superoxide dismutase and other indexes of manganese and iron status in women. Am J Clin Nutr 1992; 55 (3): 747-752 

  5. Mertz W, Toepfer EW, Roginski EE, Polansky MM. Present knowledge of the role of chromium. Fed Proc 1974; 33 (11): 2275-2280 

  6. Diplock AT. Trace elements in human health with special referencetoselenium. Am J Clin Nutr 1987; 45(5 Suppl): 1313-1322 

  7. Keen CL, Ensunsa JL, Watson MH, Baly DL, Donovan SM, Monaco MH, Clegg MS. Nutritional aspects of manganese from experimental studies. Neurotoxicology 1999; 20(2-3): 213-223 

  8. Freeland-Graves JH, Tumlund JR. Deliberations and evaluations of the approaches, endpoints and paradigms for manganese and molybdenum dietary recommendations. J Nutr 1996; 126 (9 Supp)) : 2435S-2440S 

  9. Malecki EA, Huttner DL, Greger JL. Manganese status, gut endogenous losses of manganese,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rats fed varying levels of manganese and fat. Biol Trace Elem Res 1994; 42(1): 17-29 

  10. Moon CS, Zhang ZW, Shimbo S, Hokimoto S, Shimazaki K, Saito T, Shimizu A, Iami Y, Watanabe T, Ikeda M. A comparison of the food composition table-based estimates of dietary element intake with the values measurement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An experience in a Japanese population. J Trace Elements in Medicine and Biology 1996; 10 (4): 237-244 

  11.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D.A., Food Composition Table, Seoul; 2006 

  1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ort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Nutrition survey, Seoul; 2006 

  1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Development of nutrient database 3: mineral composition of foods, Seoul; 2003 

  14. Choi MK. Analysis of manganese contents in 30 Korean common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 32 (8): 1408-1413 

  1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Koreans, Seoul; 2005 

  16.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Food Composition Tables, Seoul; 2001 

  17. USDA, USDA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ance. Release 18, USDA; 2003 

  18. Suzuki Y. Table of trace element contents in Japanese foodstuffs. Tokyo: MAC: 1993 

  19. Choi MK, Kim EY. Evaluation of dietary manganese intake in Korean men and women over 20 years ol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7; 36 (4) : 447-452 

  20. Park JS, Na HS. Analysis of trace metal in agricultural product. Korean J Food & Nutr 2000; 13 (6): 595-601 

  21. Lee TJ, Kim KC, Shin IC, Han KS, Sim TH, Ryu M, Lee JK. Survey on the contents of trace heavy metals in agricultural products of Kangwon-Do. Rep inst health & Environ 1996; 7: 75-87 

  22. Souci SW, Fachmann W, Kraut H. Food composition and nutrients tables. Stuttgart: Medpharm Scientific Publishers; 2000 

  23. Katrina M Marr, Graeme D Batten, Anthony B Blakeney. Relationships between minerals in Australian brown rice. J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1995; 68 (3): 285-2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