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품원료의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시험법으로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한 DNA barcode 기법을 도입하였다. 동물성식품원료의 경우 미토콘드리아 DNA 중 cytochrome oxidase subunit I(COI) 부위 검출을 위하여 디자인된 프라이머(LCO1490/HCO2198 및 VF2/FISH R2)와 cytochrome b(cyt b) 부위 검출을 위하여 디자인된 프라이머(L14724/H15915)를 사용하였다. 상기 3 종류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가축류 6종(소, 돼지, 염소, 양, 말 및 사슴), 가금류 4종(닭, 오리, 칠면조 및 타조), 어류 7종(명태, 대구, 청대구, 청어, 송어, 다랑어우럭)을 대상으로 PCR 후 전기영동하여 예상되는 PCR 산물의 생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가축류 6종에 대하여는 LCO1490/HCO2198, VF2/FISH R2 및 L14724/H15915 프라이머를 사용한 경우 COI 및 cyt b가 모두 검출되었으며, 가금류 4종은 LCO1490/HCO2198 및 VF2/FISH R2 프라이머를 사용한 경우만 COI이 검출되었다. 또한 어류 7종은 VF2/FISH R2 프라이머를 사용한 경우에만 COI 부위가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식물의 경우 엽록체 DNA 부위를 이용하여 디자인된 3 종류의 프라이머(trnH/psbA, rpoB 1F/4R 및 rbcL 1F/724R)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식물 5종(마늘, 양파, 무, 녹차 및 시금치)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3종류의 프라이머에서 PCR의 산물을 모두 확인하였으며 trnH/psbA 프라이머의 경우 식물 종마다 PCR 산물의 크기는 다르게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7종의 식품원료별 일반 프라이머 및 PCR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생산된 PCR 산물을 대상으로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유전자은행에 있는 염기서열과 DB 비교 분석을 통하여 식품에 사용된 원료의 진위여부 판별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termine an authenticity of food ingredient, we used DNA barcode method by universal primers. For identification of animal food ingredients, LCO1490/HCO2198 and VF2/FISH R2 designed for amplifying cytochrome c oxidase subunit1 (CO1) region and L14724/H15915 for cytochrome b (cyt b) re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한 유전자 분석법을 통해 가공식품에 사용된 식품원료의 진위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식품원료별 사용가능한 최적의 프라이머와 PCR 조건을 확립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확립된 시험법은 식품 중 발견되는 생물체의 이물동정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한 동물성 식품원료의 확인 본 연구에서는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식품원료의 진위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동물성 식품원료의 경우 사용된 DNA barcode 부위는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CO1)부위를 대상으로 한 LCO1490/HCO2198, VF2/FISH R2 프라이머 및 cytochrome b 부위를 대상으로 한 L14724/ H15915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화학적분석법의 종류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육안으로 원재료를 확인할 수 없거나 의도적으로 소량의 원료를 혼입하여 제조된 EMA 식품에 대하여 사용원료를 확인하는 방법에는 이화학적분석법, 단백질분석법, 유전자분석법 등이 있다. 이화학적인 분석법으로는 광합성의 대사경로에 따른 탄소동위원소비율을 활용한 분석법1,2), 분자량이 적은 ion-fragment의 패턴차이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는 MS-전자코 분석법3,4,5), 함유하고 있는 특정 성분 물질의 유무와 함유량을 확인할 수 있는 GC, LC, HPLC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6,7).
EMA 식품의 경우 무엇에 의하여 사용원료를 확인할 수 있는가? uk) 등에서는 EMA 방지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EMA 식품의 경우 서류검토, 관능 및 육안 분석방법 등에 의하여 사용원료를 확인할 수 있으나 과학적 시험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육안으로 원재료를 확인할 수 없거나 의도적으로 소량의 원료를 혼입하여 제조된 EMA 식품에 대하여 사용원료를 확인하는 방법에는 이화학적분석법, 단백질분석법, 유전자분석법 등이 있다.
의도적으로 소량의 원료를 혼입하여 제조된 EMA 식품에 대하여 사용원료를 확인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EMA 식품의 경우 서류검토, 관능 및 육안 분석방법 등에 의하여 사용원료를 확인할 수 있으나 과학적 시험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육안으로 원재료를 확인할 수 없거나 의도적으로 소량의 원료를 혼입하여 제조된 EMA 식품에 대하여 사용원료를 확인하는 방법에는 이화학적분석법, 단백질분석법, 유전자분석법 등이 있다. 이화학적인 분석법으로는 광합성의 대사경로에 따른 탄소동위원소비율을 활용한 분석법1,2), 분자량이 적은 ion-fragment의 패턴차이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는 MS-전자코 분석법3,4,5), 함유하고 있는 특정 성분 물질의 유무와 함유량을 확인할 수 있는 GC, LC, HPLC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Padovan G.J, D. De Jong, L. P. Rodrigues, J.S. Marchini: Detection of adulteration of commercial honey samples by the 13C/12C isotope ratio, Food Chemistry. 82, 633-636 (2003). 

  2. Schellenberg A., S. Chmielus, C. Schlicht, F. Camin, M. Perini, L. Bontempo, K. Heinrich, S. D. Kelly, A. Rossmann, F. thomas, E.Jamin, M. Horacek: Multielement stable isotope ratio (H, C, N, S) of honey from different european regions, Food chemistry. 121, 770-777 (2010). 

  3. Hong EJ, Kim KH, Park SJ, Kanf JW, Kim DS, Lee HJ, Kim EJ, Lee JW, Kim SH, Lee KH and Noh BS: Discrimination of the salted cuttle fish and the salted mitra squid in economically motivated authentication food using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er. Food engineering Progress. 15, 122-129 (2011). 

  4. Hong EJ, Kim KW, Park SJ, Kim JE, Kim DS, Lee HJ, Kim EJ, Lee JH, Lee KH and Noh BS: Discrimination of shreds of frozen and dried alaska pollack, dried pollack and cod using electronic nose. Food engineering Progress. 15, 162-168 (2011). 

  5. Ampuero S, Bogdanov S, Bosset JO: classification of unifloral honey with an MS-based electronic nose using different sampling model, SHS, SPME and INDEX: European Food Res. Technol. 218, 198-207 (2004). 

  6. Christopoulou E., M. Lazaraki, M. Komaitis, K. Kaselimis: Effectiveness of determination of fatty acids and triglycerides for the detection of adulteration of olive with vegetable oils, Food chemistry. 84, 463-474 (2004). 

  7. Ramon A., Ramon A. R.,: Authentification of vegetable oils by chromatographic techniques, J. Chromatographa A. 881, 93-104 (2000). 

  8. Herman B.L.: Determination of the animal origin of raw food by species-specific PCR, J. Dairy. Res., 68, 429-436 (2001). 

  9. Kocher T.D., W.K. Thomas, A. Meyer, S.V. Edwards, S. Paabo, F.X. Vellablanca: Dynamics of mitochondrial DNA evolution in animals: amplification and sequencing with conserved primers, Proc, Natl. Acad. Sci, USA, 86, 6196- 6200 (1989). 

  10. Krcmar P., Rencova E.: Identification of species-specific DNA in feedstuffs. J. Agric. Food. Chem., 51, 7655-7658 (2003). 

  11. Brown, W. M., M. George, Jr., A. C. Wilson: Rapid evolution of animal miochondrial DNA, Proc. Natl. Acad. Sci. USA, 76, 1967-1971 (1979). 

  12. Calvo J. H., Zaragoza P., Osta R. Technical note: A quick and more sensitive method to identify pork in processed and unprocessed food by PCR amplification of a new specific DNA fragment, J. Anim. Sci., 79, 2108-2112 (2001). 

  13. Folmer O., M. Black, W. Hoeh, R. Lutz, and R. Vrijenhoek: DNA primers for amplification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from diverse metazoan invertebrates, Molecular Marine Biology and Biotechnology, 3, 294-299 (1994). 

  14. Hebert P. D. N., Retnasingham S, deWaard JR: Barcoding animal lif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divergences among closely related species, Proc R Soc Biol Sci SerB, 270, S96-S99 (2003). 

  15. Paul D. N. Hebert, Alina Cywinska, Shelley L. Ball, Jeremy R. deWaard: Biological identifications through DNA Barcodes, Proc. R. Soc. Lond. B. 270, 313-321 (2003). 

  16. Shilin Chen, Jingyuan Song: Validation of the ITS2 region as a Novel DNA barcode for identifying medicinal plant species, PLos One, 5, e8613. dol:10.1371 (2010). 

  17. Gardner E. J, D. P. Snustad: Principles of genetics 7th de.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984). 

  18. Branicki W., T. Kupiec, R. Pawlowski: Validation of cytochrome b sequence analysis as method of species identification, J. Forensic Sci.. 48, 83-87 (2003). 

  19. Csar Isigidi Bin Kingombe, Elisabeth Lthi, Heidi Schlosser, Denise Howald, Monika Kuhn, Thomas Jemmi. A PCRbased test for species-specific determination of heat treatment conditions of animal meals as an effective prophylactic method for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Meat Sci., 57, 35-41 (2001). 

  20. Fabrice Teletchea, Celia Maudet, Catherine Hanni: Food and forensic molecular identification: update and challenges, TRENDS in biotechnology, 23, 359-366 (2005). 

  21. Hebert P. D. N., Cywinska A, Ball S. L., deWaard J. R.: Biological identifications through DNA barcodes, Proc R Soc Biol Sci SerB, 270, 313-321 (2003). 

  22. Hurng-Yi Wang, Mung-Pei Tsai, Ming-chung Tu, Sin-Che Lee: Universal primers for amplification of the complete mitochondrial 12S rRNA gene in vertebrates, Zoological Studies, 39, 61-66 (2000). 

  23. Hsieh H. M., Chiang H. L., Tsai L. C., Lai S.Y., Huang N. E., Linacre A., Lee J. C.: Cytochrome b gene for species identification of the conservation animals, Forensic. Sci. Int., 122, 7-18 (2001). 

  24. Wolstenholme, D. R: Animal mitochondrial DNA: structure and evolution, Int. Rev. Cytol, 141, 173-216 (1992). 

  25. Parodi B., Aresu O., Bini D., Lorenzini R., Schena F., Visconti P., Cesaro M., Ferrera D., Andreotti V., Ruzzon T.: Species identification and confirmation of human and animal cell lines: a PCR-based method, Biotechniques. 32, 432-440 (2002). 

  26. Tajima K., Enishi O., Amari M., Mitsumori M., Kajikawa H., Kurihara M., Yanai S., Matsui H., Yasue H., Mitsuhashi T., Kawashima T., Matsumoto M.: PCR detection of DNAs of animal origin in feed by primers based on sequences of short and long interspersed repetitive elements, Biosci. Biotechnol. Biochem. 66, 2247-2250 (2002). 

  27. Tomoaki Mitani, Atsushi Akane, Takuma Tokiyasu, Sumitaka Yoshimura, Yutaka Okii, Manabu Yoshida: Identification of animal species using the partial sequences in the mitochondrial 16S rRNA Gene, Legal Medicine, 11, 449-450 (2009). 

  28. Fay M. F., Bayer C., Alverson W. S., de Bruijin A. Y., Chase M. W.: Plastid rbcL sequence data indicate a close affinity between Diegodendron and Bixa, Taxon, 47, 43-50 (1998). 

  29. Fazekas A. J., Burgess K. S., Kesankurti P. R., Graham S. W., Newmaster S. G., Husband B. C.: Multiple multilocus DNA barcodes from the plastid genome discriminate plant species equally well, Plos ONE, 3, e2802 (2008). 

  30. Newmaster S. G., and Ragupathy S.: Testing plant barcoding in a sister species complex of pantropical Acacia(Mimosoidea, Fabaceae), Molecular Ecology Resources, 9, 172-180 (2009). 

  31. Gray. M. W., R. Cedergren, Y. Abel, D. Sankoff: On the evolutionary origin of the plant mitochondrion and its genome, Proc. Natl. Acad. Sci. USA, 86, 2267-2271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