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시성 및 이시성 간전이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예후의 차이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Difference in Prognosis in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Hepatic Metastases of Gastric Cancer 원문보기

대한위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v.9 no.3 = no.35, 2009년, pp.128 - 135  

김종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하태경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권성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동시성 및 이시성 간전이 위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예후의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고 치료 방법에 따른 예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6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 외과예서 치료받은 위암 환자 중 간전이가 발견된 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 및 치료 방법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두 군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비교에서 림프관 침윤 여부(P=0.041)와 혈관 침윤 여부(P=0.036)가 동시성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전체 간전이 위암환자의 1년 생존율과 중앙생존기간은 38.9%, 9.2개월이며 동시성 간전이군에서는 30.9%. 9.2개월이었고 이시성 간전이군에서는 44.5%, 9.7개월로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436). 치료 방법을 수술 혹은 영상의학적 중재술 등의 국소적 치료와 전신적 항암화학치료를 병행한 경우, 전신적 항암화학치료만 받은 경우, 치료 받지 않은 경우 등 세 가지로 나누었을 때 동시성 간전이군과 이시성 간전이군 사이에 치료 방법의 차이는 없었으며 두 군 모두에서 국소적 치료를 전신적 치료와 병행하였을 경우 생존율이 높았다(P<0.001). 결론: 간전이 위암에 있어서 간전이 병소의 발생 시점에 따른 예후의 차이는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간전이 발견 시점과 관계 없이 적응 예가 되는 경우 수술적 치료나 영상의학적 중재술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환자의 예후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hepatic metastase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o determin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differences in prognosis as a function of the timing of the metastasis and the treatment modality rendered. Materials and Metho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간전이 병소에 대한 치료 방법은 병소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설상절제, 엽절제) 혹은 영상의학적 중재술(고주파 열 치료, 경동맥색전술) 등 국소적 치료를 시행 받은 군, 전신적 항암화학치료(FAM, FP, EMFC, Folfox, TS-1, TP, CPT) 만시행 받은 군 및 치료를 받지 않은 군으로 구분하였다. 국소적 치료군의 모든 환자는 수술 혹은 영상의학적 중재술 시행 후 전신적 항암화학치료가 추가로 시행 되었다’ 간 전이 병소에 대하여 4 cm 미만의 병소의 경우 고주파 열 치료를 먼저 고려하였고, 4 cm 미만의 병소이나 병변의 위치가 깊다거나 주요 혈관과 인접해 있는 등 고주파열치료가 어려운 경우 혹은 단일 혹은 다발성 병변이 단일 구역(segment) 에 국한되어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였다.
  • 0 ng/ml, 39 U/ml로 하였다. 간전이의 특성으로는 엽간분포정도, 간전이 병 소 수를 비교 하였다. 엽간 분포는 간의 단엽 분포와 양엽 분포로 구분하였으며 간전이 병소 수는 단일병소와 2개 이상의 다발성 병소로 구분하였다.
  • 2년 이후부터는 연 2회 검사를 시행 하였다. 검사 방법으로는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및 복부 초음파가 이용되었고 연 1회 양전자방출단층촬영 (PET-CT)을 시행 하였다. 전체 환자의 평균 간전이 발견 기간은 11.
  • 국소적 치료군의 모든 환자는 수술 혹은 영상의학적 중재술 시행 후 전신적 항암화학치료가 추가로 시행 되었다’ 간 전이 병소에 대하여 4 cm 미만의 병소의 경우 고주파 열 치료를 먼저 고려하였고, 4 cm 미만의 병소이나 병변의 위치가 깊다거나 주요 혈관과 인접해 있는 등 고주파열치료가 어려운 경우 혹은 단일 혹은 다발성 병변이 단일 구역(segment) 에 국한되어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였다. 경동맥 색전술에 대하여는 명확한 적응증은 없었으나 고주파 열 치료나 수술적 치료의 적응이 되지 않는 환자에 대해서 간 전이의 정도와 환자의 간 기능 보존 상태에 따라 치료를 결정하였다. 전신적 항암화학 치료군은 항암화학 치료를 3회 이상 받은 환자만 포함시켰으며 3회 미만의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는 치료를 받지 않은 군으로 분류 하였다.
  • 국소적 치료군의 모든 환자는 수술 혹은 영상의학적 중재술 시행 후 전신적 항암화학치료가 추가로 시행 되었다’ 간 전이 병소에 대하여 4 cm 미만의 병소의 경우 고주파 열 치료를 먼저 고려하였고, 4 cm 미만의 병소이나 병변의 위치가 깊다거나 주요 혈관과 인접해 있는 등 고주파열치료가 어려운 경우 혹은 단일 혹은 다발성 병변이 단일 구역(segment) 에 국한되어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였다. 경동맥 색전술에 대하여는 명확한 적응증은 없었으나 고주파 열 치료나 수술적 치료의 적응이 되지 않는 환자에 대해서 간 전이의 정도와 환자의 간 기능 보존 상태에 따라 치료를 결정하였다.
  • 동시성 및 이시성 간전이 두 군 간의 병리생태학적 특성으로는 원발암 진단 당시의 나이, 성별 및 원발암의 장막침윤 유무, 림프절 전이 정도, 림프관 침윤 유무, 혈관 침윤 유무, 신경 침윤 유무, 원발암의 크기, 원발암의 위치, 조직학적 분류, 육안적 형태 및 원발암 수술 전 혈청 내 종양 표지의 양성 유무를 비교하였다. 원발암의 크기는 평균 6.
  • 간전이의 특성으로는 엽간분포정도, 간전이 병 소 수를 비교 하였다. 엽간 분포는 간의 단엽 분포와 양엽 분포로 구분하였으며 간전이 병소 수는 단일병소와 2개 이상의 다발성 병소로 구분하였다.
  • 경동맥 색전술에 대하여는 명확한 적응증은 없었으나 고주파 열 치료나 수술적 치료의 적응이 되지 않는 환자에 대해서 간 전이의 정도와 환자의 간 기능 보존 상태에 따라 치료를 결정하였다. 전신적 항암화학 치료군은 항암화학 치료를 3회 이상 받은 환자만 포함시켰으며 3회 미만의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는 치료를 받지 않은 군으로 분류 하였다.
  • 추적관찰은 수술 후 처음 2년은 3개월마다 시행 하였으며 2년 이후부터는 연 2회 검사를 시행 하였다. 검사 방법으로는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및 복부 초음파가 이용되었고 연 1회 양전자방출단층촬영 (PET-CT)을 시행 하였다.

대상 데이터

  • 1992년 6월부터 20(洛년 12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위암 치료를 받은 1, 881명 중 간전이 병소가 발견된 환자는 95명이었다. 이들 중 다른 장기로의 전이가 없이 간 전이만 독립적으로 발견된 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 이들 중 다른 장기로의 전이가 없이 간 전이만 독립적으로 발견된 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는 원발암에 대하여 위전절제술 혹은 위아전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66명의 환자는 D2 이상의 영역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았고 한 명의 환자는 D1 영역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 95명이었다. 이들 중 다른 장기로의 전이가 없이 간 전이만 독립적으로 발견된 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는 원발암에 대하여 위전절제술 혹은 위아전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66명의 환자는 D2 이상의 영역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았고 한 명의 환자는 D1 영역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데이터처리

  • 동시성 및 이시성군 사이의 병리생태학적 차이에 대한 비교는 교차분석으로 Chi-square test와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 method로 계산하였으며 생존곡선의 검정은 long-rank test를 사용 하였고 이 결과에 대한 다변량 검사로 Cox's proportional hazards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생존율은 Kaplan-Meier method로 계산하였으며 생존곡선의 검정은 long-rank test를 사용 하였고 이 결과에 대한 다변량 검사로 Cox's proportional hazards 모델을 사용하였다. 모든 검정의 유의 수준은 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IS, Lee YC, Kim WH, Noh SH, Lee KS, Kim H.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early gastric cancer in Korea. Yonsei Med J 2000;41:607-614. 

  2. Roukos DH. Current advances and changes in treatment strategy may improve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otentially curable gastric cancer. Ann Surg Oncol 1999;6:46-56.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Annual Report of a National Enterprise of Cancer Registratio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2005. 

  4. Kim YI, Noh SH, Lee WJ, Min JS. Recurrence pattern & prognosis after curative resection of gastric cancer. J Korean Surg Soc 1996;50:467-474. 

  5. Kim SK, Noh SH, Yoo CH, Kim YI, Min JS, Lee KS.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in gastric cancer with liver metastasis. J Korean Cancer Assoc 1997;29:1085-1093. 

  6. Shiraishi N, Sato K, Yasuda K, Inomata M, Kitano S. Multivariate prognostic study on large gastric cancer. J Surg Oncol 2007;96:14-18. 

  7. Takeda J, Yasumoto K, Yano S, Tanaka T, Koufuji K, Hashimoto K, Kakegawa T. Retrospective studies of gastric cancer with hepatic metastases. Kurume Med J 1990;37:271-276. 

  8. Fujimoto S, Shrestha RD, Kasanuki J, Kokubun M, Ichiki N, Miyazaki A, Ohta M, Okui K. Gastric cancer with syn chronous unresectable hepatic metastasis and a positive response to chemotherapy-report of two cases. Jpn J Surg 1987; 17:307-311. 

  9. Mai M, Ohta T, Minamoto T, Takahashi Y. Comparative study on biological difference between gastric cancer and colorectal cancer. Nippon Geka Gakkai Zasshi 1996;97:263-268. 

  10. Kosaka T, Imaizumi H, Kamei K, Usami K, Nakano Y, Ueno K, Takashima S. A case of gastric cancer patient with liver metastasis treated by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 combined with intra-arterial chemotherapy. Gan To Kagaku Ryoho 2004;31:1737-1739. 

  11. Yamakado K, Nakatuka A, Takaki T, Mori Y, Tonouci H, Kusunoki M, Kida H, Takeda K. Prospective study of arterial infusion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ofrequency ablation for the treatment of liver metastasis of gastric cancer. J Vasc Interv Radiol 2005;16:1747-1751. 

  12. Fong Y, Cohen AM, Fortner JG, Enker WE, Turnbull AD, Coit DG, Marrero AM, Prasad M, Blumgart LH, Brennan MF.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J Clin Oncol 1997;15:938-946. 

  13. Tsai MS, Su YH, Ho MC, Liang JT, Chen TP, Lai HS, Lee PH.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prognosis in resectable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colorectal liver metastasis. Ann Surg Oncol 2007;14:786-794. 

  14. Ambiru S, Miyazaki M, Ito H, Nakagawa K, Shimizu H, Yoshidome H, Shimizu Y, Nakajima N. Benefits and limits of hepatic resection for gastric metastases. Am J Surg 2001;181:279-283. 

  15. Okano K, Maeba T, Ishimura K, Karasawa Y, Goda F, Wakabayashi H, Usuki H, Maeta H.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tumors from gastric cancer. Ann Surg 2002;235:86-91. 

  16. Sakamoto Y, Ohyama S, Yamamoto J, Yamada K, Seki M, Ohta K, Kokudo N, Yamaguchi T, Muto T, Makuuchi M. Surgical resection of liver metastases of gastric cancer: an analysis of a 17-year experience with 22 patients. Surgery. 2003;133:507-511. 

  17. Sakamoto Y, Sano T, Shimada K, Esaki M, Saka M, Fukagawa T, Katai H, Kosuge T, Sasako M. Favorable indications for hepatectomy in patient with liver metastasis from gastric cancer. J Surg Oncol 2007;95:534-539. 

  18. Ueda K, Iwahashi M, Nakamori M, Nakamura M, Naka T, Ishida K, Ojima T, Yamaue H.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and evaluation of surgical treatment for synchronous liver metastases from gastric cancer. Langenbecks Arch Surg 2009;394:647-653. 

  19. Thelen A, Jonas S, Benckert C, Lopez-Hanninen E, Neumann U, Rudolph B, Schumacher G, Neuhaus P. Liver resection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Eur J Surg Oncol 2008;34:1328-1334. 

  20. Lee JH, Bae JS, Ryu KW, Lee JS, Park SR, Kim CG, Kook MC, Choi IJ, Kim YW, Park JG, et al. Gastric cancer patients at high-risk of having synchronous cancer. World J Gastroenterol 2006;16:2588-2592. 

  21. Miyazaki M, Itoh H, Nakagawa K, Ambiru S, Shimizu H, Togawa A, Shiobara M, Ohtsuka M, Sasada K, Shimizu Y, et al. Hepatic resection of liver metastases from gastric carcinoma. Am J Gastroenterol 1997;92:490-493. 

  22. Zacherl J, Zacherl M, Scheuba C, Steininger R, Wenzl E, Muhlbacher F, Jakesz R, Langle F. Analysis of hepatic resection of metastasis originating from gastric adenocarcinoma. J Gastrointest Surg 2002;6:682-689. 

  23. Shirabe K, Shimada M, Matsumata T, Higashi H, Yakeishi Y, Wakiyama S, Ikeda Y, Ezaki T, Fukuzawa S, Takenaka K, et al.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for liver metastasis of gastric cancer after hepatic resection: a multi-institutional study of the indications for resection. Hepatogastroenterology 2003; 50:1560-1563. 

  24. Roh HR, Suh KS, Lee HJ, Yang HK, Choe KJ, Lee KU. Outcome of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Am Surg 2005;71:95-99. 

  25. Fujii K, Fujioka S, Kato K, Machiki Y, Kutsuna Y, Ishikawa A, Takamizawa J, Ko K, Yoshida K, Nimura Y. Resection of liver metastasis from gastric adenocarcinoma. Hepatogastroenterology 2001;48:368-371. 

  26. Ochiai T, Sasako M, Mizuno S, Kinoshita T, Takayama T, Kosuge T, Yamazaki S, Maruyama K.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tumours from gastric cancer: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Br J Surg 1994;81:1175-1178. 

  27. Okuyama K, Isono K, Juan IK, Onoda S, Ochiai T, Yamamoto Y, Koide Y, Satoh H. Evaluation of treatment for gastric cancer with liver metastasis. Cancer 1985;55:2498-2505. 

  28. Saiura A, Umekita N, Inoue S, Maeshiro T, Miyamoto S, Matsui Y, Asakage M, Kitamura M.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outcome of hepatic resection for liver metastasis from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2002;49:1062-1065. 

  29. Bentrem DJ, Dematteo RP, Blumgart LH. Surgical therapy for metastatic disease to the liver. Annu Rev Med 2005;56:139-156. 

  30. Liu LX, Zhang WH, Jiang HC. Current treatment for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World J Gastroenterol 2003;9:193-2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