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DT 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행동과학적 접근: 즉각적 피드백과 정보적 프롬프트의 상대적 효과 검증
The Behavioral-Sciences Approach for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System Disorders for VDT Worker: The Relative Effects of Immediate Feedback and Informational Prompt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1 no.4, 2009년, pp.77 - 83  

문광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오세진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immediate feedback and informational prompt on safe sitting behaviors that may cause VDT syndromes. Participants were three white color workers and an ABCB within-subject design was adopted. Safety Posture System was developed 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참가자들이 올바른 앉은 자세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실험자가 실제 의자에 앉아 올바른 앉은 자세와 올바르지 않은 앉은 자세의 예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각 참가자들이 실제 의자에 앉아 자세를 취하면 어느 부위가 올바르지 않은지, 어떻게 교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주었다.
  • 본 연구를 위해 Safety Posture System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센서를 통해 앉은 자세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으며, 즉각적 피드백과 정보적 프롬프트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올바른 앉은 자세 증가에 대해 즉각적 피드백과 정보적 프롬프트가 미치는 상대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결과, 즉각적 피드백이 제공된 조건에서는 각 부위 및 전체 자세의 올바른 비율이 극적으로 향상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올바른 앉은 자세 증가에 대해 회기 중에 제공되는 즉각적 피드백과 정보적 프롬프트의 상대적 효과를 비교하였다.
  • 앉은 자세에 대한 기존연구들은 대부분 여러 처치 기법들로 구성된 패키기를 사용하였다. 현장에서는 단독 기법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들도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해준다. 그렇지만, 다양한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기법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서는 개별 처치 기법들의 효과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컴퓨터 사용의 증가로 인해 무엇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가? 컴퓨터 사용의 증가로 인해 ‘VDT(Video Display Terminals) 증후군’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VDT 증후군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근골격계 질환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으로 근육 및 골격계통 부위에 피로를 누적시켜 주로 목 · 어깨 · 허리등 근육의 통증과 감각 이상을 일으킨다.
근골격계 질환은 무엇을 일으키는가? 컴퓨터 사용의 증가로 인해 ‘VDT(Video Display Terminals) 증후군’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VDT 증후군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근골격계 질환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으로 근육 및 골격계통 부위에 피로를 누적시켜 주로 목 · 어깨 · 허리등 근육의 통증과 감각 이상을 일으킨다.
Video Display Terminals 증후군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무엇인가? 컴퓨터 사용의 증가로 인해 ‘VDT(Video Display Terminals) 증후군’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VDT 증후군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근골격계 질환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으로 근육 및 골격계통 부위에 피로를 누적시켜 주로 목 · 어깨 · 허리등 근육의 통증과 감각 이상을 일으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노동부 (2004). VDT 취급근로자 작업관리 지침. http://www.molab.go.kr/view.jsp?cate4&sec2&mode view&bbs_cd114&state a&seq7583 

  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7). 2007년 4/4분기 산업재해현황. http://www.kosha.or.kr/information/statistics/statistics.jsp?menuId6&rootNodeId806& selectedNodeId3025&subMenuId4 

  3. Alvero, A. M., & Austin, J. (2004). The effects of conducting behavioral observations on the behavior of the observer.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37(4), 457-468 

  4. Austin, J., Hatifield, D. B., Grindle, A. C., & Bailey, J. S. (1993). Increasing recycling in office environment: The effects of specific, informative cue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26, 247-253 

  5. Blake-McCann, K., &Sulzer-Azaroff, B. (1996). Cumulative trauma disorders: Behavioral injury prevention at work.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32(3), 277-291 

  6. Cooper, J. O., Heron, T. E., & Heward, W. L. (1987). Applied behavior analysis. Columbus, OH: Merrill 

  7. Daniels, A. C., &Daniels, J. E. (2004). Performance management: Changing behavior that driv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4th Ed, pp.171). PerformanceManagement Publications, Adivision of AubreyDaniels International, Inc 

  8. Duncan, P. K., & Bruwelheide, L. R. (1985-86). Feedback: Use and possible behavioral functio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7(3/4), 91-113 

  9. Fante, R., Gravina, N., & Austin, J. (2007). A brief pre-intervention analysis and demonstration of the effects of a behavioral safety package on postural behaviors of pharmacy employe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27(2), 15-25 

  10. Gravina, N., Austin, J., Schoedtder, L., & Loewy, S. (2008).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safe posture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28(4), 238-259 

  11.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ssociation. (2004). Ergonomics program. Retrieved on January 2, 2005, from http://www.ohsa.gov /pls/oshaweb/owadisp.show_document?p_table FEDERAL_ REGISTER&p_id16305 

  12. Sasson, J. R., &Austin, J. (2005). The effects of training, feedback, and participant involvement in behavioral safety observations on office ergonomic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24(4), 1-30 

  13. Singurdsson, S. O., & Austin, J. (2008). Using real-time visual feedback to improve posture at computer workstation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41, 365-375 

  14. Squires, J., Wilder, D. A., Fixsen, A., Hess, E., Rost, K., Curran, R., & Zonneveld, K. (2007). The effects of task clarification, visual prompts, and graphic feedback on customer greeting and up selling in a restauran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27(3), 1-13 

  15. Sulzer-Azaroff, B., & de Santamaria, C. (1980). Industrial safety hazard reduction through performance feedback.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13, 287-295 

  16. Yu, E., Moon, K., & Oah, S. (2008). An Examin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on the Sitting Posture in VDTWorking Environment. Apaper presented at the 34th 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Behavior Analysis International, Chicago, Illinois 

  17. Culing, K. M., Dickinson, A. M., Lindstorn-Hazel, D., & Austin, J. (2008). Combining workstation design and performance management to increase ergonomically correct computer typing postur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28(3), 146-1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