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1, 2016년, pp.75 - 89
이항석 (성균관대학교 보험계리학과) , 신승희 (국민연금연구원)
본 논문에서는 국민연금과 주요국 공적연금에서 사용되는 재정평가지표들을 고찰해 보고 국민연금 재정계산 시 보완 및 적용 가능한 재정평가지표로 수정적립배율, 보험료충당률, 기금충당률을 제안하였다. 수정적립배율은 평가시점에 보유한 적립기금으로 장래 지출을 감당할 수 있는 제도유지 기간을 측정하며 기금의 적립 수준에 대한 의미 있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보험료충당률과 기금충당률은 국민연금의 지출 재원을 보험료수입과 적립기금으로 구분하여 재원에 따른 지출 충당 비율을 측정한 지표이다. 평가기간 동안의 재정상태를 요약하여 나타내며 재원의 적절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다양한 재정평가지표의 활용은 재정상태 평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이해를 돕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both modification reserve ratio and cover rate for expenditure as new finance evaluation indicators. Firstly, modification reserve ratio is an evaluation indicator which shows how long can the accumulated reserves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afford future benefit expenditure. Mo...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주요국의 공적연금, 국민연금의 재정상태를 평가하는 기준이 어떻게 됩니까? | 한편 부분적립방식에서는 인구 변화 등 장래 여건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적절한 적립기금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부과방식으로 운용되는 미국의 경우 향후 75년간의 수지균형, 일본의 경우 향후 100년간의 수지균형이 재정건전성 평가 기준이며, 부분적립방식으로 운용하는 캐나다는 장기간에 걸쳐 일정한 적립배율이 유지되는 경우 재정지속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국민연금은 재정방식 및 재정평가 기준이 명확히 설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5년마다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재정계산에서 연도별 수지구조와 적립기금 추이를 통해 장기적인 재정상태를 점검한다. | |
국민연금의 재정계산에서는 어떤 지표들을 보며 재정상태를 분석합니까? | 국민연금은 5년마다 실시되는 재정계산을 통해 장기적인 재정상태를 점검하고 제도개선 및 재정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1998년 이후 3차례 실시된 재정계산에서는 가입자와 수급자의 구조변화, 보험료 수입, 지출, 적립기금 등의 연도별 현금흐름, 기금소진년도, 적립배율, 부과방식비용률 등의 다양한 지표를 통해 재정상태 분석이 이루어졌다. | |
국민연금은 몇 년에 1번 재정계산을 합니까? | 국민연금은 5년마다 실시되는 재정계산을 통해 장기적인 재정상태를 점검하고 제도개선 및 재정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1998년 이후 3차례 실시된 재정계산에서는 가입자와 수급자의 구조변화, 보험료 수입, 지출, 적립기금 등의 연도별 현금흐름, 기금소진년도, 적립배율, 부과방식비용률 등의 다양한 지표를 통해 재정상태 분석이 이루어졌다. |
Board of actuarial valuation. (2013). The 2013 actuarial valu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Board of Trustees. (2014). The 2014 annual report of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federal old-age and survivors insurance and federal disability insurance trust funds,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SSA), Washington, D.C., US.
Choi, K. H. and Kim, H. S. (2014). A comparative study on the financial indicators of the korean national pension schem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 Korea.
Gillion, C., Turner, J., Bailey, C., and Latulippe, D. (2002). Social security pensions, development and reform, ILO, Switzerland.
Goss, S. C. (1999). Measuring solvency in the social security system. Prospects for Social Security Reform, 16-36.
Goss, S. C. (2010). The future financial status of the social security program. Social Security Bulletin, 70, 111
Hirose, K. (2011). Pension reform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ILO, Switzerland.
Iyer, S. (1999). Actuarial mathematics of social security pensions, ILO, Switzerland.
Office of the Superintendent of Financial Institutions. (2014). 26th actuarial report on the canada pension plan, Canada.
Kim, S. O. and Shin, S. (2009). Policy proposals on the financial review of the national pension,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 Korea.
Kim, S. O. and Shin, S. (2010). A study on the financing methods and long-term financial goals of the national Pension.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 Korea.
Kim, Y. H. (2002). Financing of public pension in Korea. Public Economy, 7, 397-443.
Pension Bureau of th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2010). 2009 actuarial valuation of public pension plans,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Japan.
Won, J. U. (2012). Sustainability indices for the 3rd actuarial estimate of national pension plan of korea. Health-welfare Policy Forum, 193, 54-67.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