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두가지 윷놀이 모형-전통놀이와 새 윷놀이-을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해 보고 유아에게 어떤 윷놀이 모형이 더 적합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만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전통 윷놀이와 새 윷놀이 모형에 대한 유아들의 '윷놀이 이해능력정도'는 어떠한가? 2. 두가지 윷놀이 모형에 대한 '유아 참여도'는 어떠한가? 3. 두가지 윷놀이 모형에 대한 '윷놀이 규칙이해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중소도시인 J시에 있는 W 유치원의 4세(4세 9개월), 5세(5세 9개월) 각 두학급에서 20명씩 표집한 총 80명으로 한 학급은 전통 윷놀이집단, 나머지 한 학급은 새 윷놀이 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도구는 전통 윷놀이집단에게는 재래식 윷놀이 도구(기본 윷판, 한명이 말 4개, 장작윷)를, 새 윷놀이집단에게는 이은화 연구에서 제시한 윷놀이 도구(원 윷판, 한명이 말1개, 표시가 된 윷)를 제시하였다. 실험절차는 4세와 5세 한 학급을 전통 윷놀이집단(A), 나머지 한 학급을 새 윷놀이집단(B)으로 무선 배정한 후, 담임 선생님이 '우리나라' 단원을 전개하면서 윷놀이의 유래와 놀이방법을 소개하고 유아들과 함께 규칙을 읽은 후 교실에 배치했다. 5세 '새 윷놀이집단'에게는 9일 후 꺽임자리가 표시된 전통 윷판(기본 윷판)을 첨가 배치하였다. 윷놀이 규칙이해능력과 참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놀이 시간에 6회 관찰하여 관찰지에 기록하였다. 윷놀이 이해능력을 비교해보기 위하여 실험 처치 후 과찰자와 유아가 1:1 면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문항에 따라 X^(2)검증과 ...
본 연구는 두가지 윷놀이 모형-전통놀이와 새 윷놀이-을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해 보고 유아에게 어떤 윷놀이 모형이 더 적합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만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전통 윷놀이와 새 윷놀이 모형에 대한 유아들의 '윷놀이 이해능력정도'는 어떠한가? 2. 두가지 윷놀이 모형에 대한 '유아 참여도'는 어떠한가? 3. 두가지 윷놀이 모형에 대한 '윷놀이 규칙이해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중소도시인 J시에 있는 W 유치원의 4세(4세 9개월), 5세(5세 9개월) 각 두학급에서 20명씩 표집한 총 80명으로 한 학급은 전통 윷놀이집단, 나머지 한 학급은 새 윷놀이 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도구는 전통 윷놀이집단에게는 재래식 윷놀이 도구(기본 윷판, 한명이 말 4개, 장작윷)를, 새 윷놀이집단에게는 이은화 연구에서 제시한 윷놀이 도구(원 윷판, 한명이 말1개, 표시가 된 윷)를 제시하였다. 실험절차는 4세와 5세 한 학급을 전통 윷놀이집단(A), 나머지 한 학급을 새 윷놀이집단(B)으로 무선 배정한 후, 담임 선생님이 '우리나라' 단원을 전개하면서 윷놀이의 유래와 놀이방법을 소개하고 유아들과 함께 규칙을 읽은 후 교실에 배치했다. 5세 '새 윷놀이집단'에게는 9일 후 꺽임자리가 표시된 전통 윷판(기본 윷판)을 첨가 배치하였다. 윷놀이 규칙이해능력과 참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놀이 시간에 6회 관찰하여 관찰지에 기록하였다. 윷놀이 이해능력을 비교해보기 위하여 실험 처치 후 과찰자와 유아가 1:1 면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문항에 따라 X^(2)검증과 t검증을 하였고, 특징적인 예는 사례를 수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갈다. 1. 두 집단 윷놀이 이해능력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윷가락 이름인지능력' 비교 시, 4세와 5세 모두 두 집단간에 차가 없었다. '윷가락 수와 윷판의 칸과의 관계' 비교 시, 언어적 반응인 경우 4세와 5세 모두 새 윷놀이를 실시한 집단이 전통 윷놀이를 실시한 집단보다 가야할 칸 수를 정확하게 아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을 실제로 윷판에서 움직여 보게 했을 때 4세의 경우는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으나, 5세의 경우는 새 윷놀이집단이 전통 윷놀이 집단보다 말을 정확하게 옮기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같은 결과는 윷에 시각적 표시를 해주는 것은 유아의 1:1대응과 수세기를 더 정확하게 이끈다고 결론지을 수 있겠다. 2. 두 집단 유아참여도 비교 시, '유아 참여수'를 관찰한 결과 새 윷놀이집단이 전통 윷놀이집단보다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평균 놀이참여횟수' 관찰결과, 새 윷놀이집단이 전통 윷놀이집단보다 약 2회 더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같은 결과는 전통 윷놀이보다 새 윷놀이가 유아의 흥미를 더 유발한다고 정의할 수 있겠다. '놀이참여 양상'은 두 집단간 차이가 없이 놀이 처음부터 끝까지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자유놀이시간에 윷놀이에 관심이 있는 유아들이 놀이에 참여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놀이도중 탈퇴한 사례를 분석한 결과 4세 전통집단의 경우, 탈퇴자 6명중 4명은 놀이자 수가 두명일 때도 놀이자체에 흥미를 잃고 놀이를 중단하였다. 새 윷놀이 집단의 경우 탈퇴자 4명은 4명이 놀이를 할때 놀이 순서를 기다리지 못하고 두 팀에서 2명씩 탈퇴하였으며, 놀이자 수가 2명 일때는 탈퇴자가 없었다. 이같은 결과는 4세에게는 전통 윷놀이보다 새 윷놀이가 유아의 참여를 더 유발한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3. 윷놀이 규칙 이해능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놀이자 수'는 집단에 관계없이 4세는 2명이 놀이를 하였고, 5세의 경우는 2명에서 5까지 수를 늘려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편을 나누는 양상'은 4세, 5세 모두에게서 나타나지 않았다. '말을 나누는 양상'은 집단에 관계없이 4세, 5세 모두1개씩 사용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순서를 정하는 양상'은 집단에 관계없이 가위·바위·보와 앉은 순서대로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특별한 양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지름길 사용 양상'은 5세 새 윷놀이집단에서 전통 윷놀이집단보다 정확하게 사용하는 유아가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두가지 윷놀이 모형-전통놀이와 새 윷놀이-을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해 보고 유아에게 어떤 윷놀이 모형이 더 적합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만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전통 윷놀이와 새 윷놀이 모형에 대한 유아들의 '윷놀이 이해능력정도'는 어떠한가? 2. 두가지 윷놀이 모형에 대한 '유아 참여도'는 어떠한가? 3. 두가지 윷놀이 모형에 대한 '윷놀이 규칙이해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중소도시인 J시에 있는 W 유치원의 4세(4세 9개월), 5세(5세 9개월) 각 두학급에서 20명씩 표집한 총 80명으로 한 학급은 전통 윷놀이집단, 나머지 한 학급은 새 윷놀이 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도구는 전통 윷놀이집단에게는 재래식 윷놀이 도구(기본 윷판, 한명이 말 4개, 장작윷)를, 새 윷놀이집단에게는 이은화 연구에서 제시한 윷놀이 도구(원 윷판, 한명이 말1개, 표시가 된 윷)를 제시하였다. 실험절차는 4세와 5세 한 학급을 전통 윷놀이집단(A), 나머지 한 학급을 새 윷놀이집단(B)으로 무선 배정한 후, 담임 선생님이 '우리나라' 단원을 전개하면서 윷놀이의 유래와 놀이방법을 소개하고 유아들과 함께 규칙을 읽은 후 교실에 배치했다. 5세 '새 윷놀이집단'에게는 9일 후 꺽임자리가 표시된 전통 윷판(기본 윷판)을 첨가 배치하였다. 윷놀이 규칙이해능력과 참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놀이 시간에 6회 관찰하여 관찰지에 기록하였다. 윷놀이 이해능력을 비교해보기 위하여 실험 처치 후 과찰자와 유아가 1:1 면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문항에 따라 X^(2)검증과 t검증을 하였고, 특징적인 예는 사례를 수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갈다. 1. 두 집단 윷놀이 이해능력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윷가락 이름인지능력' 비교 시, 4세와 5세 모두 두 집단간에 차가 없었다. '윷가락 수와 윷판의 칸과의 관계' 비교 시, 언어적 반응인 경우 4세와 5세 모두 새 윷놀이를 실시한 집단이 전통 윷놀이를 실시한 집단보다 가야할 칸 수를 정확하게 아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을 실제로 윷판에서 움직여 보게 했을 때 4세의 경우는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으나, 5세의 경우는 새 윷놀이집단이 전통 윷놀이 집단보다 말을 정확하게 옮기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같은 결과는 윷에 시각적 표시를 해주는 것은 유아의 1:1대응과 수세기를 더 정확하게 이끈다고 결론지을 수 있겠다. 2. 두 집단 유아참여도 비교 시, '유아 참여수'를 관찰한 결과 새 윷놀이집단이 전통 윷놀이집단보다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평균 놀이참여횟수' 관찰결과, 새 윷놀이집단이 전통 윷놀이집단보다 약 2회 더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같은 결과는 전통 윷놀이보다 새 윷놀이가 유아의 흥미를 더 유발한다고 정의할 수 있겠다. '놀이참여 양상'은 두 집단간 차이가 없이 놀이 처음부터 끝까지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자유놀이시간에 윷놀이에 관심이 있는 유아들이 놀이에 참여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놀이도중 탈퇴한 사례를 분석한 결과 4세 전통집단의 경우, 탈퇴자 6명중 4명은 놀이자 수가 두명일 때도 놀이자체에 흥미를 잃고 놀이를 중단하였다. 새 윷놀이 집단의 경우 탈퇴자 4명은 4명이 놀이를 할때 놀이 순서를 기다리지 못하고 두 팀에서 2명씩 탈퇴하였으며, 놀이자 수가 2명 일때는 탈퇴자가 없었다. 이같은 결과는 4세에게는 전통 윷놀이보다 새 윷놀이가 유아의 참여를 더 유발한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3. 윷놀이 규칙 이해능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놀이자 수'는 집단에 관계없이 4세는 2명이 놀이를 하였고, 5세의 경우는 2명에서 5까지 수를 늘려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편을 나누는 양상'은 4세, 5세 모두에게서 나타나지 않았다. '말을 나누는 양상'은 집단에 관계없이 4세, 5세 모두1개씩 사용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순서를 정하는 양상'은 집단에 관계없이 가위·바위·보와 앉은 순서대로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특별한 양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지름길 사용 양상'은 5세 새 윷놀이집단에서 전통 윷놀이집단보다 정확하게 사용하는 유아가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wo kind 'Yout' play; Questions of this study are 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Yout's recognition ability' between the Traditional-Yout-Play group and the New-You-Play group? 2. Is any difference in 'child's participant' between the tr...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wo kind 'Yout' play; Questions of this study are 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Yout's recognition ability' between the Traditional-Yout-Play group and the New-You-Play group? 2. Is any difference in 'child's participant' between the traditional-Yout-Play group and the New-Yout-Play group? 3. How is Yout's rule recognition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boys and girls, in JeonJu. They were classified two treatment group. this study introduced Traditional-Yout-Play to Traditioanl-Yout-Play group. and new-Yout-Play to the New-Yout-Play group. To collect this data, children were obserbed. To find out their altitude and behavious toward 'Yout's recognition ability', interview methods were employ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method of Chi-square,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In comparison with the recognition ability of two group-Traditional group and New Yout group-, 4 age-old, New-Yout-Play group is superior in playing Yout and linguistic refletion to the game rule. After some training, 5 age-old, New-Yout-Play group is far promoted than Traditional-Yout_Play group in 1:1 corespondence. In 4 age-old group,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2. In comparison with the child's participation, 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ly note worth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New-Yout-Play group participation is a little more than that of the Traditional-Yout_Play group. We con also find that New-Yout-Play group plays two more game than Traditional-Yout_Play group in 'average play participation frequancy.' But two groups have same play participational phase. 3. The recognization ability of Yout's rule are as follows; 'player member' is observed two child in 4age, and from 2 to 5 in five age, regardless of group. the tendency of forming affaction is not obserbed in any group. Every child has a tendency to use only a marker. They have a tendency to use only a marker. they have a tendency to take turns regulery and any other tendency is not observed. In five years-old groups, the children who belong to New-Yout_Play group use shortcut application tendency more correctly than the children of traditional-Yout-Play group. 'Yout' is traditional play which provides opportunity of internalizing ethnic pride, and it can motivate the chile's curiacity because we are able to adjust the level of play long with developemental stage of the child. It seems that Yout is good play for children to promote intellectual, social, physical, muturity. It is also very good play to provide children with 1:1 correspondence, space concept, rational counting, developement of sociability, unity, alturism. When we synthesize the results above, We can find that New-yout play is more easy and motivating activity than Traditional-Yout_Play.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wo kind 'Yout' play; Questions of this study are 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Yout's recognition ability' between the Traditional-Yout-Play group and the New-You-Play group? 2. Is any difference in 'child's participant' between the traditional-Yout-Play group and the New-Yout-Play group? 3. How is Yout's rule recognition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boys and girls, in JeonJu. They were classified two treatment group. this study introduced Traditional-Yout-Play to Traditioanl-Yout-Play group. and new-Yout-Play to the New-Yout-Play group. To collect this data, children were obserbed. To find out their altitude and behavious toward 'Yout's recognition ability', interview methods were employ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method of Chi-square,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In comparison with the recognition ability of two group-Traditional group and New Yout group-, 4 age-old, New-Yout-Play group is superior in playing Yout and linguistic refletion to the game rule. After some training, 5 age-old, New-Yout-Play group is far promoted than Traditional-Yout_Play group in 1:1 corespondence. In 4 age-old group,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2. In comparison with the child's participation, 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ly note worth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New-Yout-Play group participation is a little more than that of the Traditional-Yout_Play group. We con also find that New-Yout-Play group plays two more game than Traditional-Yout_Play group in 'average play participation frequancy.' But two groups have same play participational phase. 3. The recognization ability of Yout's rule are as follows; 'player member' is observed two child in 4age, and from 2 to 5 in five age, regardless of group. the tendency of forming affaction is not obserbed in any group. Every child has a tendency to use only a marker. They have a tendency to use only a marker. they have a tendency to take turns regulery and any other tendency is not observed. In five years-old groups, the children who belong to New-Yout_Play group use shortcut application tendency more correctly than the children of traditional-Yout-Play group. 'Yout' is traditional play which provides opportunity of internalizing ethnic pride, and it can motivate the chile's curiacity because we are able to adjust the level of play long with developemental stage of the child. It seems that Yout is good play for children to promote intellectual, social, physical, muturity. It is also very good play to provide children with 1:1 correspondence, space concept, rational counting, developement of sociability, unity, alturism. When we synthesize the results above, We can find that New-yout play is more easy and motivating activity than Traditional-Yout_Pla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