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초기 이스라엘의 시들이 야훼를 이스라엘의 "구원자"로 찬양하는데 그치지 않고, 나아가 그 야훼를 "창조주"로도 고백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아주 이른 시기부터 창조신앙이 이스라엘 가운데 살아 숨쉬고 있었다는 점과, 이 창조신앙이 구원신앙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우선 Ⅰ장에서는, 구약성서의 창조신앙과 구원신앙의 관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관한 세 가지 입장을 살펴본 다음, 본 논문이 이스라엘 초기시들의 창조신앙과 구원신앙에 대해 ...
본 논문은 초기 이스라엘의 시들이 야훼를 이스라엘의 "구원자"로 찬양하는데 그치지 않고, 나아가 그 야훼를 "창조주"로도 고백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아주 이른 시기부터 창조신앙이 이스라엘 가운데 살아 숨쉬고 있었다는 점과, 이 창조신앙이 구원신앙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우선 Ⅰ장에서는, 구약성서의 창조신앙과 구원신앙의 관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관한 세 가지 입장을 살펴본 다음, 본 논문이 이스라엘 초기시들의 창조신앙과 구원신앙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는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족, 고대 이스라엘의 야훼 신앙이 특정한 역사적 경험들을 근거로 하여 오직 구원신앙으로만 이해되었다고 본 폰라트(G. von Rad)와, 반대로 창조신앙이야말로 구약성서의 내용을 결정짓는 중심적인 신앙이었다고 본 슈미트(H. H. Schmid), 그리고 이러한 양분을 지양하고 창조와 구원의 관계를 분리가 아닌 연합의 관계로 본 란데스(G. M. Landes) 등의 견해를 소개한 다음, 본 논문의 연구 방법과 범위를 제시할 것이다. 이어서 Ⅱ장에서는, 출애굽 사건 때 "바다 기적"을 통하여 이스라엘을 구원하신 야훼의 해방 능력을 찬양하고 있는 "미리암의 노래"(출15:21^(b))와 "바다의 노래"(출15:1^(b)-18)를 분석하고, 이 노래들 속에 묘사된 야훼의 이미지는 자기 백성을 적의 손으로부터 구출하기 위하여 거룩한 전쟁을 펼치신 "구원의 주"일 뿐만 아니라, 이 전쟁에서 승리를 얻기 위하여 모든 자연 현상들을 자유자재로 사용하신 "자연의 주"이기도 하다는 점을 확인할 것이다. 또한 Ⅲ장에서는, 가나안 정착 당시 이스라엘의 부족동맹을 위하여 야훼가 펼치신 "거룩한 전쟁"을 찬양한 "드보라의 노래"(삿5:2-31^(a))를 들여다 보고, 이렇게 이스라엘의 대적들을 치러 나오시는 "용사" 야훼의 현현에는 언제나 자연현상의 요소들이 동반된다고 하는 점과, 이 야훼의 거룩한 전쟁은 어디까지나 자연의 이적을 통한 우주적 승리로 결론지어진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Ⅳ장에서는, 위의 Ⅱ-Ⅲ장의 논의를 통해진 얻어진 이스라엘 초기시들의 창조신앙과 구원신앙 관계 분석이 구약성서의 다른 본문들 속에서는 어떤 식으로 나타나는가를 말아보기 위해, 시편의 시들 중에서 특히 창조와 구원에 관한 언급 들을 동시에 담지하고 있는 시24, 33, 68, 135, 136편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이 시들이 야훼의 창조 활동과 구원 활동을 함께 언급함으로써 "자연의 주"인 동시에 "역사의 주"이신 야훼의 주권과 속성을 찬양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이스라엘 초기시 분석을 짧게 요약하고,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하여 본 논문의 결론을 이루어 낼 것이다. 즉 구약성서의 초기시들을 통해서 볼 때, 이스라엘은 아주 이른 시기부터 이미 창조주 야훼에 대한 신앙을 고백하였으며, 이 창조신앙은 야훼의 역사적 행동에 대한 구원신앙과 함께 이스라엘 야훼 종교의 본질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초기 이스라엘의 시들이 야훼를 이스라엘의 "구원자"로 찬양하는데 그치지 않고, 나아가 그 야훼를 "창조주"로도 고백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아주 이른 시기부터 창조신앙이 이스라엘 가운데 살아 숨쉬고 있었다는 점과, 이 창조신앙이 구원신앙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우선 Ⅰ장에서는, 구약성서의 창조신앙과 구원신앙의 관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관한 세 가지 입장을 살펴본 다음, 본 논문이 이스라엘 초기시들의 창조신앙과 구원신앙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는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족, 고대 이스라엘의 야훼 신앙이 특정한 역사적 경험들을 근거로 하여 오직 구원신앙으로만 이해되었다고 본 폰라트(G. von Rad)와, 반대로 창조신앙이야말로 구약성서의 내용을 결정짓는 중심적인 신앙이었다고 본 슈미트(H. H. Schmid), 그리고 이러한 양분을 지양하고 창조와 구원의 관계를 분리가 아닌 연합의 관계로 본 란데스(G. M. Landes) 등의 견해를 소개한 다음, 본 논문의 연구 방법과 범위를 제시할 것이다. 이어서 Ⅱ장에서는, 출애굽 사건 때 "바다 기적"을 통하여 이스라엘을 구원하신 야훼의 해방 능력을 찬양하고 있는 "미리암의 노래"(출15:21^(b))와 "바다의 노래"(출15:1^(b)-18)를 분석하고, 이 노래들 속에 묘사된 야훼의 이미지는 자기 백성을 적의 손으로부터 구출하기 위하여 거룩한 전쟁을 펼치신 "구원의 주"일 뿐만 아니라, 이 전쟁에서 승리를 얻기 위하여 모든 자연 현상들을 자유자재로 사용하신 "자연의 주"이기도 하다는 점을 확인할 것이다. 또한 Ⅲ장에서는, 가나안 정착 당시 이스라엘의 부족동맹을 위하여 야훼가 펼치신 "거룩한 전쟁"을 찬양한 "드보라의 노래"(삿5:2-31^(a))를 들여다 보고, 이렇게 이스라엘의 대적들을 치러 나오시는 "용사" 야훼의 현현에는 언제나 자연현상의 요소들이 동반된다고 하는 점과, 이 야훼의 거룩한 전쟁은 어디까지나 자연의 이적을 통한 우주적 승리로 결론지어진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Ⅳ장에서는, 위의 Ⅱ-Ⅲ장의 논의를 통해진 얻어진 이스라엘 초기시들의 창조신앙과 구원신앙 관계 분석이 구약성서의 다른 본문들 속에서는 어떤 식으로 나타나는가를 말아보기 위해, 시편의 시들 중에서 특히 창조와 구원에 관한 언급 들을 동시에 담지하고 있는 시24, 33, 68, 135, 136편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이 시들이 야훼의 창조 활동과 구원 활동을 함께 언급함으로써 "자연의 주"인 동시에 "역사의 주"이신 야훼의 주권과 속성을 찬양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이스라엘 초기시 분석을 짧게 요약하고,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하여 본 논문의 결론을 이루어 낼 것이다. 즉 구약성서의 초기시들을 통해서 볼 때, 이스라엘은 아주 이른 시기부터 이미 창조주 야훼에 대한 신앙을 고백하였으며, 이 창조신앙은 야훼의 역사적 행동에 대한 구원신앙과 함께 이스라엘 야훼 종교의 본질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faith" and "Salvation-faith" in ancient Hebrew poetry, and identify creation work with redemptive work of Yahweh, In this thesis, I want to show that Yahweh is praised not only as "Creator" but also as "Redeemer" in the earli...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faith" and "Salvation-faith" in ancient Hebrew poetry, and identify creation work with redemptive work of Yahweh, In this thesis, I want to show that Yahweh is praised not only as "Creator" but also as "Redeemer" in the earliest tests, and that creation-faith was the core of in Hebrew religion from the very earliest period. To begin with, three types appearing in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of creation and salvation will be dealt with in Chapter I. G. von Rad argues that creation-faith within Israel was a comparatively late development, and even then was principally an ancillary and secondary belief supportive of, but subordinate to, Yahweh's primary redemptive deeds. On the contrary, H.H.Schmid goes so far as to insist that creation lies at the very center of all theological thinking in Israel. But, G.N.Landes endeavores to bridge the gulf between creation and salvation. My own study of Israel's belief in creation and salvation challenges von Rad's understanding of the soteriological function of creation, and supports Landes's claim that the relation of creation and salvation is not separation but association. In chapter Ⅱ. I wish to observe "the Song of Miriam" in Ex.15:21^(b) and "the Song of the Sea" in Ex.15:1^(b)-18 which provide the response of th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their redemption from the hands of the Egyptians at the sea. And I'll make sure that the image of Yahweh in these descriptions of the victory of Israel and her God over Egyptions is not only "the agent of salvation" but also "Lord of nature" who used all of nature without restraint as instruments supporting the divine redemptive activity. From these observations, I like to emphasize Yahweh's delivering actions were not depicted involving only historical human actors and political events, but also with the use the forces and elements of nature. Chapter Ⅲ analyzes "the Song of Deborah" in Jung.5:2-21^(a) reflecting the combat of the Divine Warrior. In poem, one finds the language of the theophany of the Divine Warrior utilizing mythical elements from the theophany of the stormgod as warrior. Here I want to clarify that the march of Divine Warrior from the South and the Wars of Yahweh is accompanied by elements of nature, and that Yahweh' holy war is throughly cosmic victory through a wonder of nature. Chapter Ⅳ examines the hymns in the Psalms, especially Ps. 24, 33, 68, 135, 136 having a cultic setting in covenant-renewal ceremony of twelve-tribe league of Israel. These hymns always refer to Yahweh's creation work and redemptive work at the same time. From this analysis of the Psalms it becomes clear that the Psalmist has brought together what very well may be the two most important themes in the entire biblical witness, redemption and creation. In conclusion, Chapter V summarizes the whole analysis of this thesis. My survey bring s me to the conclusion that Israel had early confessed her belief in "Yahweh-Creator". In this view, Creation-faith don't undergird history of redemption and the confession of the magnalia Del. Creation-faith was fundamental to Israel's Religion together with Salvation-faith in Yahweh's historical actions of salvation.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faith" and "Salvation-faith" in ancient Hebrew poetry, and identify creation work with redemptive work of Yahweh, In this thesis, I want to show that Yahweh is praised not only as "Creator" but also as "Redeemer" in the earliest tests, and that creation-faith was the core of in Hebrew religion from the very earliest period. To begin with, three types appearing in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of creation and salvation will be dealt with in Chapter I. G. von Rad argues that creation-faith within Israel was a comparatively late development, and even then was principally an ancillary and secondary belief supportive of, but subordinate to, Yahweh's primary redemptive deeds. On the contrary, H.H.Schmid goes so far as to insist that creation lies at the very center of all theological thinking in Israel. But, G.N.Landes endeavores to bridge the gulf between creation and salvation. My own study of Israel's belief in creation and salvation challenges von Rad's understanding of the soteriological function of creation, and supports Landes's claim that the relation of creation and salvation is not separation but association. In chapter Ⅱ. I wish to observe "the Song of Miriam" in Ex.15:21^(b) and "the Song of the Sea" in Ex.15:1^(b)-18 which provide the response of th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their redemption from the hands of the Egyptians at the sea. And I'll make sure that the image of Yahweh in these descriptions of the victory of Israel and her God over Egyptions is not only "the agent of salvation" but also "Lord of nature" who used all of nature without restraint as instruments supporting the divine redemptive activity. From these observations, I like to emphasize Yahweh's delivering actions were not depicted involving only historical human actors and political events, but also with the use the forces and elements of nature. Chapter Ⅲ analyzes "the Song of Deborah" in Jung.5:2-21^(a) reflecting the combat of the Divine Warrior. In poem, one finds the language of the theophany of the Divine Warrior utilizing mythical elements from the theophany of the stormgod as warrior. Here I want to clarify that the march of Divine Warrior from the South and the Wars of Yahweh is accompanied by elements of nature, and that Yahweh' holy war is throughly cosmic victory through a wonder of nature. Chapter Ⅳ examines the hymns in the Psalms, especially Ps. 24, 33, 68, 135, 136 having a cultic setting in covenant-renewal ceremony of twelve-tribe league of Israel. These hymns always refer to Yahweh's creation work and redemptive work at the same time. From this analysis of the Psalms it becomes clear that the Psalmist has brought together what very well may be the two most important themes in the entire biblical witness, redemption and creation. In conclusion, Chapter V summarizes the whole analysis of this thesis. My survey bring s me to the conclusion that Israel had early confessed her belief in "Yahweh-Creator". In this view, Creation-faith don't undergird history of redemption and the confession of the magnalia Del. Creation-faith was fundamental to Israel's Religion together with Salvation-faith in Yahweh's historical actions of salvation.
Keyword
#이스라엘 초기시 창조신앙 구원신앙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