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다이어트를 하는 여고생 집단에서 완벽주의적 성향과 다이어트 실패경험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몰락을 매개로 하여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diet fail exeperience on binge eating behavior : mediate cognitive deconstruction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성향이 강한 사람은 다이어트 실패를 경험한 후애 폭식행동을 나타낼 것이며, 인지적 몰락이 완벽주의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서울시내 여자 고등학생 947명에게 다이어트 질문지를 사용하여, 417명의 만성적으로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을 선발하였으며, 3개월 이내에 다이어트 실패경험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신경성 폭식증 검사 개정판을 사용하여 폭식행동을 측정하였으며,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성향이 강한 사람은 다이어트 실패를 경험한 후애 폭식행동을 나타낼 것이며, 인지적 몰락이 완벽주의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서울시내 여자 고등학생 947명에게 다이어트 질문지를 사용하여, 417명의 만성적으로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을 선발하였으며, 3개월 이내에 다이어트 실패경험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신경성 폭식증 검사 개정판을 사용하여 폭식행동을 측정하였으며,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를 사용하여 완벽주의성향을 측정하였다. 피험자들의 인지적 몰락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도피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다이어트실패 집단에서는 완벽주의가 폭식행동을 유의미하게 예언해주었으며, 인지적 몰락이 완벽주의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어트 실패경험이 없는 집단에서는 완벽주의와 폭식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완벽주의와 인지적 몰락의 관계도 지지되지 않았다. 즉 이 집단에서는 완벽주의가 폭식행동을 예언해주지 않았으며, 인지적 몰락의 매개역할도 지지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이 도피이론과 스트레스 취약성이론의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들이 언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성향이 강한 사람은 다이어트 실패를 경험한 후애 폭식행동을 나타낼 것이며, 인지적 몰락이 완벽주의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서울시내 여자 고등학생 947명에게 다이어트 질문지를 사용하여, 417명의 만성적으로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을 선발하였으며, 3개월 이내에 다이어트 실패경험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신경성 폭식증 검사 개정판을 사용하여 폭식행동을 측정하였으며,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를 사용하여 완벽주의성향을 측정하였다. 피험자들의 인지적 몰락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도피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다이어트실패 집단에서는 완벽주의가 폭식행동을 유의미하게 예언해주었으며, 인지적 몰락이 완벽주의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어트 실패경험이 없는 집단에서는 완벽주의와 폭식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완벽주의와 인지적 몰락의 관계도 지지되지 않았다. 즉 이 집단에서는 완벽주의가 폭식행동을 예언해주지 않았으며, 인지적 몰락의 매개역할도 지지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이 도피이론과 스트레스 취약성이론의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들이 언급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perfectionism would influence on binge eating behavior by diet-failure experiences in different ways, and examine that cognitive deconstruct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binge-eating behavior. 417 chronic dietors were select...
This study attempt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perfectionism would influence on binge eating behavior by diet-failure experiences in different ways, and examine that cognitive deconstruct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binge-eating behavior. 417 chronic dietors were selected by using Restraint Scale (RS). They measured diet-failure experience in these three-months. The Binge-eating Behavior was measured by Bulimia Test-R. Perfectionism was measured by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Escape Scale was used to evaluate the cognitive deconstruction. The result in diet failure group showed that Perfectionism predicted significantly binge eating behavior and cognitive deconstruction mediated between perfectionism and binge eating behavior, but did not in non diet-failure group. Perfectionism had an influence on binge-eating behavior with mediation of cognitive deconstruction with only diet-failure experience. In the end,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erms of escape theory and diathesis-stress theory. The restric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about further study are mentioned.
This study attempt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perfectionism would influence on binge eating behavior by diet-failure experiences in different ways, and examine that cognitive deconstruct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binge-eating behavior. 417 chronic dietors were selected by using Restraint Scale (RS). They measured diet-failure experience in these three-months. The Binge-eating Behavior was measured by Bulimia Test-R. Perfectionism was measured by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Escape Scale was used to evaluate the cognitive deconstruction. The result in diet failure group showed that Perfectionism predicted significantly binge eating behavior and cognitive deconstruction mediated between perfectionism and binge eating behavior, but did not in non diet-failure group. Perfectionism had an influence on binge-eating behavior with mediation of cognitive deconstruction with only diet-failure experience. In the end,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erms of escape theory and diathesis-stress theory. The restric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about further study are mention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