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림프성백혈병 세포주인 Jurkat에 대한 合歡皮의 apoptosis 유도효과를 究明하고 그 항암효능을 증명하는 신호기전을 세포주기와 관련지어 밝히기 위하여 Jurkat 세포에 合歡皮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의 생존률 및 형태학적 변화, DNA분절현상, caspase-3의 활성 변화, PARP 및 beta-catenin 단백질의 가수분해현상, Bcl-2 및 Bax 유전자의 변화, ...
급성 림프성백혈병 세포주인 Jurkat에 대한 合歡皮의 apoptosis 유도효과를 究明하고 그 항암효능을 증명하는 신호기전을 세포주기와 관련지어 밝히기 위하여 Jurkat 세포에 合歡皮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의 생존률 및 형태학적 변화, DNA분절현상, caspase-3의 활성 변화, PARP 및 beta-catenin 단백질의 가수분해현상, Bcl-2 및 Bax 유전자의 변화, Cyclin D3, CDK4, RB 및 E2F1 단백질의 발현수준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合歡皮 추출물은 Jurkat 세포의 세포사멸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2. 合歡皮 추출물은 Jurkat 세포의 세포막 파괴 및 외부 융기의 돌출현상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3. 合歡皮 추출물은 Jurkat 세포의 DNA 분절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4. 合歡皮 추출물은 Jurkat 세포의 caspase-3의 활성과 그에 따른 PARP 및 beta-catenin 단백질의 가수분해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5. 合歡皮 추출물은 Jurkat 세포에서 Bcl-2 및 Bax의 단백질 발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6. 合歡皮 추출물은 Jurkat 세포에서 cyclin D3와 CDK4 단백질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7. 合歡皮 추출물은 Jurkat 세포의 RB 단백질에 대한 저인산화 현상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E2F1의 단백질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合歡皮 추출물은 급성 림프성백혈병 세포주인 Jurkat 세포의 세포주기 진행을 위해 관여하는 필수적인 유전자들을 전사조절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세포주기 이탈에 관여하여 세포고사를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급성 림프성백혈병 세포주인 Jurkat에 대한 合歡皮의 apoptosis 유도효과를 究明하고 그 항암효능을 증명하는 신호기전을 세포주기와 관련지어 밝히기 위하여 Jurkat 세포에 合歡皮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의 생존률 및 형태학적 변화, DNA분절현상, caspase-3의 활성 변화, PARP 및 beta-catenin 단백질의 가수분해현상, Bcl-2 및 Bax 유전자의 변화, Cyclin D3, CDK4, RB 및 E2F1 단백질의 발현수준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合歡皮 추출물은 Jurkat 세포의 세포사멸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2. 合歡皮 추출물은 Jurkat 세포의 세포막 파괴 및 외부 융기의 돌출현상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3. 合歡皮 추출물은 Jurkat 세포의 DNA 분절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4. 合歡皮 추출물은 Jurkat 세포의 caspase-3의 활성과 그에 따른 PARP 및 beta-catenin 단백질의 가수분해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5. 合歡皮 추출물은 Jurkat 세포에서 Bcl-2 및 Bax의 단백질 발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6. 合歡皮 추출물은 Jurkat 세포에서 cyclin D3와 CDK4 단백질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7. 合歡皮 추출물은 Jurkat 세포의 RB 단백질에 대한 저인산화 현상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E2F1의 단백질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合歡皮 추출물은 급성 림프성백혈병 세포주인 Jurkat 세포의 세포주기 진행을 위해 관여하는 필수적인 유전자들을 전사조절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세포주기 이탈에 관여하여 세포고사를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poptosis is a morphologically and biochemically distinct form of cell death that occurs in many different cell types in a wide variety of organisms. Albizzia julibrissin belonging the family Leguminosae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ontusion, sore throat, amnesia, and insomnia in oriental tra...
Apoptosis is a morphologically and biochemically distinct form of cell death that occurs in many different cell types in a wide variety of organisms. Albizzia julibrissin belonging the family Leguminosae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ontusion, sore throat, amnesia, and insomnia in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water extract of A. julibrissin induce apoptotic cell death in Jurkat T-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cells. Jurkat cells were increased inhibitions of cell viabil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y A. julibrissin. This herbal medicine also caused apoptosis as measured by cell morphology and DNA fragmentation. The capability of A. julibrissin to induce apoptosis was associated with proteolytic cleavage of specific target proteins such as poly (ADP-ribose)polymerase (PARP) and beta-catenin proteins suggesting the possible involvement of caspases. Our result showed that Bcl-2 and Bax protein levels were not changed in all A. julibrissin-treated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julibrissin-mediated apoptosis is independent with Bcl-2 related signaling pathway in this cell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julibrissin on cell cycle progression. Our results showed that G1 checkpoint related gene products (cyclin D1, cyclin dependent kinase 4, retinoblastoma, E2F1) were decreased in their protein levels in a dose-dependent manners after treatment of the extra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 of apoptotic cell death by A. julibrissin may be due to the inhibition of cell cycle progression in wild type p53-lacking Jurkat cells.
Apoptosis is a morphologically and biochemically distinct form of cell death that occurs in many different cell types in a wide variety of organisms. Albizzia julibrissin belonging the family Leguminosae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ontusion, sore throat, amnesia, and insomnia in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water extract of A. julibrissin induce apoptotic cell death in Jurkat T-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cells. Jurkat cells were increased inhibitions of cell viabil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y A. julibrissin. This herbal medicine also caused apoptosis as measured by cell morphology and DNA fragmentation. The capability of A. julibrissin to induce apoptosis was associated with proteolytic cleavage of specific target proteins such as poly (ADP-ribose)polymerase (PARP) and beta-catenin proteins suggesting the possible involvement of caspases. Our result showed that Bcl-2 and Bax protein levels were not changed in all A. julibrissin-treated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julibrissin-mediated apoptosis is independent with Bcl-2 related signaling pathway in this cell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julibrissin on cell cycle progression. Our results showed that G1 checkpoint related gene products (cyclin D1, cyclin dependent kinase 4, retinoblastoma, E2F1) were decreased in their protein levels in a dose-dependent manners after treatment of the extra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 of apoptotic cell death by A. julibrissin may be due to the inhibition of cell cycle progression in wild type p53-lacking Jurkat cell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