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의 기대와 직무스트레스 (The)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and the Principal's Occupational Stress in the kindergarten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의 기대, 원감의 직무스트레스, 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의 기대는 어떠한가?
2. 원감의 직무스트레스는 어떠한가?
3. 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72기관에 재직중인 원장 72명, 원감 72명, 교사 72명, 총216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의 기대, 원감 직무스트레스, 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원장용, 원감용,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의 기대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송일준 (1999)이 '교감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에서 제작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여명선(2002)이 유치원에 맞게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별 점수범위는 1점~5점이다. 원감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조하급(1994)이 중등학교 교장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제작한 도구를 유치원의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 삭제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의 목적은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의 기대, 원감의 직무스트레스, 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의 기대는 어떠한가?
2. 원감의 직무스트레스는 어떠한가?
3. 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72기관에 재직중인 원장 72명, 원감 72명, 교사 72명, 총216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의 기대, 원감 직무스트레스, 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원장용, 원감용,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의 기대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송일준 (1999)이 '교감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에서 제작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여명선(2002)이 유치원에 맞게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별 점수범위는 1점~5점이다. 원감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조하급(1994)이 중등학교 교장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제작한 도구를 유치원의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 삭제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t 검증, F 검증,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의 기대는 자율장학, 유치원운영관리, 교육과정운영, 인사관리, 지역사회관계, 재무 및 사무관리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원감의 기대는 유치원운영관리, 인사관리, 교육과정운영, 자율장학, 지역사회관계, 재무 및 사무관리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기대는 인사관리, 유치원운영관리, 자율장학, 지역사회관계, 교육과정운영, 재무 및 사무관리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 집단의 기대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유치원운영관리, 교육과정운영, 재무 및 사무관리 요인에서는 원장, 원감 집단과 교사 집단 간에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율장학 요인에서는 원장 집단과 원감, 교사집단 간에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감은 학부모관련, 상급자·기관, 교사관련, 교육활동, 근무조건 요인 순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감의 개인 배경에 따른 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원감의 개인 배경 하위요인 중에서 원감경력, 유치원의 설립유형 요인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의 기대차이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기대차이 전체와 상급자·기관, 교육과정운영과 직무스트레스 전체, 교육과정운영과 상급자·기관, 재무 및 사무관리와 근무조건 요인에서 의미 있는 관계가 나타났다. 교사, 원감의 기대차이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도 전체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하위요인 중 기대차이 전체와 교사관련 요인에서 의미 있는 관계가 나타났다. 원장, 교사의 기대차이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도 전체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하위요인 중 교육과정운영 부분에서 기대차이와 직무스트레스 전체에서 의미 있는 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의 기대, 원감의 직무스트레스, 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의 기대는 어떠한가?
2. 원감의 직무스트레스는 어떠한가?
3. 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72기관에 재직중인 원장 72명, 원감 72명, 교사 72명, 총216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의 기대, 원감 직무스트레스, 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원장용, 원감용,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의 기대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송일준 (1999)이 '교감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에서 제작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여명선(2002)이 유치원에 맞게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별 점수범위는 1점~5점이다. 원감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조하급(1994)이 중등학교 교장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제작한 도구를 유치원의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 삭제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t 검증, F 검증,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의 기대는 자율장학, 유치원운영관리, 교육과정운영, 인사관리, 지역사회관계, 재무 및 사무관리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원감의 기대는 유치원운영관리, 인사관리, 교육과정운영, 자율장학, 지역사회관계, 재무 및 사무관리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기대는 인사관리, 유치원운영관리, 자율장학, 지역사회관계, 교육과정운영, 재무 및 사무관리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 교사 집단의 기대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유치원운영관리, 교육과정운영, 재무 및 사무관리 요인에서는 원장, 원감 집단과 교사 집단 간에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율장학 요인에서는 원장 집단과 원감, 교사집단 간에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감은 학부모관련, 상급자·기관, 교사관련, 교육활동, 근무조건 요인 순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감의 개인 배경에 따른 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원감의 개인 배경 하위요인 중에서 원감경력, 유치원의 설립유형 요인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원감의 역할에 대한 원장, 원감의 기대차이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기대차이 전체와 상급자·기관, 교육과정운영과 직무스트레스 전체, 교육과정운영과 상급자·기관, 재무 및 사무관리와 근무조건 요인에서 의미 있는 관계가 나타났다. 교사, 원감의 기대차이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도 전체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하위요인 중 기대차이 전체와 교사관련 요인에서 의미 있는 관계가 나타났다. 원장, 교사의 기대차이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도 전체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하위요인 중 교육과정운영 부분에서 기대차이와 직무스트레스 전체에서 의미 있는 관계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the vice principal's occupational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this purpose, the study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principal,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the vice principal's occupational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this purpose, the study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in the kindergarten?
2. What is the vice principal's occupational stress in the kindergarte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and the occupational stress in the kindergarten?
Two Hundred Sixteen kindergarten teachers who consisted of 72 principals, 72 vice principals and 72 teachers from 72 kindergarten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of this study. To research the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the vice principal's occupational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questionnaires for the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 were used.
To measure the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 that had been developed by Il Jun Song(1999) and modified by Myung Sun Yeo(2002). It consists of 30 questions and each question is measured from one to five points. To investigate the vice principal's occupational stress,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Ha Geub Jo(1994) and modified for the kindergarten condition. This tool consists of 13 questions and each question is measured on a maximum scale of 5 poi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F-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al'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appeared the autonomy supervision, the kindergarten operation management, the curriculum operation, the personnel management, the relations of local community, the financial & official management in its descending order. But the vice principal's expectation appeared the kindergarten operation management, the personnel management, the curriculum operation, the autonomy supervision, the relations of local community, the financial & official management in its descending order.
On the who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in the kindergarten. Considering the subcategori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indergarten operation management, the curriculum operation, the financial & official management, between the principal's·the vice principal's groups and teacher's grou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utonomy supervision between the principal's group and the vice principal's· teacher's groups.
Second, the vice principal's occupational stress in kindergarten appeared the factor related parents, the higher·institution, the factor related teacher,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e working conditions in order.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wholly in the occupational stress according to the vice principal's personal background.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ce principal's career, the foundation type of kindergarten according to the subcategories of the vice principal's personal background.
Third, there was no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vice principal's role expectation and the occupational stress in kindergarten. But considering the subcategories,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 expectation and the higher institution, between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the whole occupational stress, between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the higher·institution, between the financial & official management and the working conditions. There was not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tion difference of the teacher·the vice principal and the occupational stress. But in the subcategories, there was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 expectation difference and the factor related teacher. There was not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tion difference of the principal·the teacher and the occupational stress. But in the subcategories, there was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the whole occupational st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the vice principal's occupational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this purpose, the study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in the kindergarten?
2. What is the vice principal's occupational stress in the kindergarte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and the occupational stress in the kindergarten?
Two Hundred Sixteen kindergarten teachers who consisted of 72 principals, 72 vice principals and 72 teachers from 72 kindergarten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of this study. To research the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the vice principal's occupational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questionnaires for the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 were used.
To measure the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 that had been developed by Il Jun Song(1999) and modified by Myung Sun Yeo(2002). It consists of 30 questions and each question is measured from one to five points. To investigate the vice principal's occupational stress,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Ha Geub Jo(1994) and modified for the kindergarten condition. This tool consists of 13 questions and each question is measured on a maximum scale of 5 poi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F-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al'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appeared the autonomy supervision, the kindergarten operation management, the curriculum operation, the personnel management, the relations of local community, the financial & official management in its descending order. But the vice principal's expectation appeared the kindergarten operation management, the personnel management, the curriculum operation, the autonomy supervision, the relations of local community, the financial & official management in its descending order.
On the who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in the kindergarten. Considering the subcategori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indergarten operation management, the curriculum operation, the financial & official management, between the principal's·the vice principal's groups and teacher's grou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utonomy supervision between the principal's group and the vice principal's· teacher's groups.
Second, the vice principal's occupational stress in kindergarten appeared the factor related parents, the higher·institution, the factor related teacher,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e working conditions in order.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wholly in the occupational stress according to the vice principal's personal background.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ce principal's career, the foundation type of kindergarten according to the subcategories of the vice principal's personal background.
Third, there was no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vice principal's role expectation and the occupational stress in kindergarten. But considering the subcategories,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 expectation and the higher institution, between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the whole occupational stress, between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the higher·institution, between the financial & official management and the working conditions. There was not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tion difference of the teacher·the vice principal and the occupational stress. But in the subcategories, there was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 expectation difference and the factor related teacher. There was not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tion difference of the principal·the teacher and the occupational stress. But in the subcategories, there was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the whole occupational stres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