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책임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초등학생들의 사회적 책임감과 자신에 대한 책임감 및 전체적 책임감의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I.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전체 책임감 점수는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II.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자기에 대한 책임감 점수는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III.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사회적 책임감 점수는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위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시내 초등학교 6학년 235명중 남녀 각 2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의 선정방법은 6개 학급 235명 중 평소 학급에서 아이들과 다소 고립된 생활을 한다고 생각되는 학생들을 1차로 담임교사가 추천하고 추천된 아동들을 대상으로 책임감 검사를 실시하여 책임감점수가 낮은 아동을 최하위로부터 20명 선정하였다. 그중 남학생 5명, 여학생 5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남학생 5명 여학생 5명을 통제 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상담의 내용은 Morgenett(1994)이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집단상담활동은 총 8회기동안 실시하였으며 1주일에 2회기씩 매 회기마다 70분의 활동을 하였는데 상담활동을 실시한 총 기간은 한 달이었다.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 가지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는데 전체적인 책임감은 Morganett이 개발한 책임감 기르기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개인적 책임감은 오경준(2001)의 사회성 검사지중 책임감과 관련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책임감은 이혜주(1997)의 사회적 책임감검사지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검사지는 선행연구에서 신뢰도가 검증된 것들이었으며 이중 Morganett의 검사지는 원안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서는 첫째, 실험 통제 두 집단에 대하여 각 영역별 척도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점수의 차이를 t검증하였다. 둘째, 상담활동의 전 과정을 녹화한 비디오의 내용과 상담활동 중 아동들의 반응을 관찰한 결과 및 아동들의 소감문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책임감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책임감 사후검사 결과 전체적인 책임감과 개인적인 책임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사회적 책임감의 증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개인적인 책임감과 전체적인 책임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후 사회적 책임감의 증가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차후 프로그램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실험집단의 경우 책임감 각 하위 영역, 즉 개인적인 책임감, 사회적 책임감, 전체적 책임감 모두에서 평균점수의 증가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매우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세째, 아동들의 태도 면에서 처음에는 다소 어색하던 집단의 분위기가 회기를 더해 갈수록 구성원들끼리의 친밀감이 형성되어 자연스러운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상담활동의 전 과정에서 매우 적극적인 참여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회기가 마칠 때쯤에는 아이들의 태도가 매우 적극적으로 바뀌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전체적인 책임감, 사회적 책임감 개인적 책임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학급의 생활지도 및 상담활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교사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개인에 대한 이해는 물론 아동들의 책임감을 증진시킬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상담프로그램은 책임감 수준이 비교적 낮은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질적 수준을 조정하여 책임감 수준이 평균적인 아동들에게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대상아동의 특성 때문에 다소 주입식 교육이 될 소지가 많았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의 수정 보완 및 차후 연구를 통하여 집단상담의 본질에 맞게 아동 스스로가 활동하고 아동 스스로 책임감에 대한 개념을 내면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의 대상은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책임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초등학생들의 사회적 책임감과 자신에 대한 책임감 및 전체적 책임감의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I.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전체 책임감 점수는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II.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자기에 대한 책임감 점수는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III.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사회적 책임감 점수는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위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시내 초등학교 6학년 235명중 남녀 각 2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의 선정방법은 6개 학급 235명 중 평소 학급에서 아이들과 다소 고립된 생활을 한다고 생각되는 학생들을 1차로 담임교사가 추천하고 추천된 아동들을 대상으로 책임감 검사를 실시하여 책임감점수가 낮은 아동을 최하위로부터 20명 선정하였다. 그중 남학생 5명, 여학생 5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남학생 5명 여학생 5명을 통제 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상담의 내용은 Morgenett(1994)이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집단상담활동은 총 8회기동안 실시하였으며 1주일에 2회기씩 매 회기마다 70분의 활동을 하였는데 상담활동을 실시한 총 기간은 한 달이었다.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 가지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는데 전체적인 책임감은 Morganett이 개발한 책임감 기르기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개인적 책임감은 오경준(2001)의 사회성 검사지중 책임감과 관련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책임감은 이혜주(1997)의 사회적 책임감검사지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검사지는 선행연구에서 신뢰도가 검증된 것들이었으며 이중 Morganett의 검사지는 원안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서는 첫째, 실험 통제 두 집단에 대하여 각 영역별 척도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점수의 차이를 t검증하였다. 둘째, 상담활동의 전 과정을 녹화한 비디오의 내용과 상담활동 중 아동들의 반응을 관찰한 결과 및 아동들의 소감문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책임감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책임감 사후검사 결과 전체적인 책임감과 개인적인 책임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사회적 책임감의 증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개인적인 책임감과 전체적인 책임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후 사회적 책임감의 증가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차후 프로그램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실험집단의 경우 책임감 각 하위 영역, 즉 개인적인 책임감, 사회적 책임감, 전체적 책임감 모두에서 평균점수의 증가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매우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세째, 아동들의 태도 면에서 처음에는 다소 어색하던 집단의 분위기가 회기를 더해 갈수록 구성원들끼리의 친밀감이 형성되어 자연스러운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상담활동의 전 과정에서 매우 적극적인 참여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회기가 마칠 때쯤에는 아이들의 태도가 매우 적극적으로 바뀌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전체적인 책임감, 사회적 책임감 개인적 책임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학급의 생활지도 및 상담활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교사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개인에 대한 이해는 물론 아동들의 책임감을 증진시킬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상담프로그램은 책임감 수준이 비교적 낮은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질적 수준을 조정하여 책임감 수준이 평균적인 아동들에게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대상아동의 특성 때문에 다소 주입식 교육이 될 소지가 많았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의 수정 보완 및 차후 연구를 통하여 집단상담의 본질에 맞게 아동 스스로가 활동하고 아동 스스로 책임감에 대한 개념을 내면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의 대상은 소인수 책임감 수준이 낮은 아동들이었다. 그리고 책임감 수준이 비슷한 아동들끼리 집단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그러므로 책임감 수준이 정상인 아동들과 같이 활동한 책임감 증진효과에 대한 결과는 알 수 없었다. 그러므로 학교현장에서 책임감 수준이 높은 아동과 낮은 아동이 함께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시켜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책임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초등학생들의 사회적 책임감과 자신에 대한 책임감 및 전체적 책임감의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I.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전체 책임감 점수는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II.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자기에 대한 책임감 점수는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III.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사회적 책임감 점수는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위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시내 초등학교 6학년 235명중 남녀 각 2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의 선정방법은 6개 학급 235명 중 평소 학급에서 아이들과 다소 고립된 생활을 한다고 생각되는 학생들을 1차로 담임교사가 추천하고 추천된 아동들을 대상으로 책임감 검사를 실시하여 책임감점수가 낮은 아동을 최하위로부터 20명 선정하였다. 그중 남학생 5명, 여학생 5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남학생 5명 여학생 5명을 통제 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상담의 내용은 Morgenett(1994)이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집단상담활동은 총 8회기동안 실시하였으며 1주일에 2회기씩 매 회기마다 70분의 활동을 하였는데 상담활동을 실시한 총 기간은 한 달이었다.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 가지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는데 전체적인 책임감은 Morganett이 개발한 책임감 기르기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개인적 책임감은 오경준(2001)의 사회성 검사지중 책임감과 관련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책임감은 이혜주(1997)의 사회적 책임감검사지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검사지는 선행연구에서 신뢰도가 검증된 것들이었으며 이중 Morganett의 검사지는 원안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서는 첫째, 실험 통제 두 집단에 대하여 각 영역별 척도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점수의 차이를 t검증하였다. 둘째, 상담활동의 전 과정을 녹화한 비디오의 내용과 상담활동 중 아동들의 반응을 관찰한 결과 및 아동들의 소감문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책임감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책임감 사후검사 결과 전체적인 책임감과 개인적인 책임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사회적 책임감의 증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개인적인 책임감과 전체적인 책임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후 사회적 책임감의 증가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차후 프로그램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실험집단의 경우 책임감 각 하위 영역, 즉 개인적인 책임감, 사회적 책임감, 전체적 책임감 모두에서 평균점수의 증가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매우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세째, 아동들의 태도 면에서 처음에는 다소 어색하던 집단의 분위기가 회기를 더해 갈수록 구성원들끼리의 친밀감이 형성되어 자연스러운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상담활동의 전 과정에서 매우 적극적인 참여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회기가 마칠 때쯤에는 아이들의 태도가 매우 적극적으로 바뀌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전체적인 책임감, 사회적 책임감 개인적 책임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학급의 생활지도 및 상담활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교사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개인에 대한 이해는 물론 아동들의 책임감을 증진시킬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상담프로그램은 책임감 수준이 비교적 낮은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질적 수준을 조정하여 책임감 수준이 평균적인 아동들에게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대상아동의 특성 때문에 다소 주입식 교육이 될 소지가 많았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의 수정 보완 및 차후 연구를 통하여 집단상담의 본질에 맞게 아동 스스로가 활동하고 아동 스스로 책임감에 대한 개념을 내면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의 대상은 소인수 책임감 수준이 낮은 아동들이었다. 그리고 책임감 수준이 비슷한 아동들끼리 집단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그러므로 책임감 수준이 정상인 아동들과 같이 활동한 책임감 증진효과에 대한 결과는 알 수 없었다. 그러므로 학교현장에서 책임감 수준이 높은 아동과 낮은 아동이 함께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시켜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responsibility. The research hypothesis set up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Self-Responsibility between the experi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responsibility. The research hypothesis set up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Self-Responsi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Social-Responsi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will be sign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Whole-Responsi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hypotheses, 20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sixth-grade student of in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10 students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10 students were allocated to the control group.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1) the attitude test for whole-responsibility by Morganett(1994) 2) the attitude test for Self-responsibility by Oh, Kyung-jun(2001) 3) the attitude test for Social-responsibility by Lee, Hae-ju(1997) Pretest showed tha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The result of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Whole-responsibility, Self-responsibility, Social-responsibilit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2. That i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more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nce of responsibility than other general counseling. As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mprove form the total points of responsibilities. Therefor, Group counseling program proved to be effective for increasing responsibil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responsibility. The research hypothesis set up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Self-Responsi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Social-Responsi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will be sign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Whole-Responsi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hypotheses, 20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sixth-grade student of in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10 students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10 students were allocated to the control group.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1) the attitude test for whole-responsibility by Morganett(1994) 2) the attitude test for Self-responsibility by Oh, Kyung-jun(2001) 3) the attitude test for Social-responsibility by Lee, Hae-ju(1997) Pretest showed tha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The result of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Whole-responsibility, Self-responsibility, Social-responsibilit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2. That i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more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nce of responsibility than other general counseling. As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mprove form the total points of responsibilities. Therefor, Group counseling program proved to be effective for increasing responsibil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