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에게 나타나는 구내염을 예방하고 증상완화를 위한 효과적인 구강간호방법을 규명하기 위하여 구강간호방법이 구내염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비동풍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000년 9월 1일부터 2001년 10월 30일까지 전주시내에 위치한 C 대학병원 혈액종양 내과병동의 무균실에 화학요법을 받기 위해 입원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13명, 대조군 13명으로 총 26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Eilers, Berger와 Petersen(1988)이 개발한 구강 사정 (Oral Assessment Guide; ...
본 연구는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에게 나타나는 구내염을 예방하고 증상완화를 위한 효과적인 구강간호방법을 규명하기 위하여 구강간호방법이 구내염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비동풍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000년 9월 1일부터 2001년 10월 30일까지 전주시내에 위치한 C 대학병원 혈액종양 내과병동의 무균실에 화학요법을 받기 위해 입원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13명, 대조군 13명으로 총 26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Eilers, Berger와 Petersen(1988)이 개발한 구강 사정 (Oral Assessment Guide; OAG)도구를 정연이(1996)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 진행절차는 입원시 구강간호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입원당일부터 퇴원하는 날까지 부드러운 칫솔과 불소함유 치약으로 1일 3회 가볍게 칫솔질을 하고, 클로르헥시딘 용액 30cc로 1일 4회 구강을 행군 후 뱉어내는 구강간호를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이 실시하는 칫솔질과 구강헹굼을 실시하면서, 클로르헥시딘 용액을 멸균 솜에 적서 1일 2회 구강을 닦아주는 구강간호를 실시하였다. 구강상태측정은 화학요법 전날, 화학요법 3, 5, 7, 10, 14, 21일째에 설압자와 펜라이트를 이용하여, 사전에 교육받은 무균실 간호사가 관찰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9.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are test, Mann-Whitney U test,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의 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설검증 “칫솔질과 클로르핵시딘 용액으로 구강헹굼을 실시하는 집단과 칫솔질과 클로르핵시딘 용액으로 구강헹굼을 실시하면서 클로르헥시딘 용액을 멸균 솜에 적셔 구강을 닦아주는 구강간호를 실시하는 집단의 구내염 정도에 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2. 추가분석 본 연구의 추가분석 결과 구강사정 항목별(목소리, 연하곤란, 입술, 혀, 침, 구강건조, 구강점막, 잇몸, 치아) 구내염 정도에서도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구내염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부드러운 칫솔질과 클로르헥시딘 용액으로 구강헹굼을 실시하는 방법과 부드러운 칫솔질과 클로르헥시딘 용액으로 구강헹굼을 실시하면서 클로르헥시딘 용액을 멸균 솜에 적셔 구강을 닦아주는 구강간호방법의 구내염 정도와 구강사정 8 항목별 구내염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칫솔질과 구강헹굼을 충분히 실시할 수 있는 환자에게 칫솔질과 클로르헥시딘 용액으로 구강헹굼을 실시하면서 클로르헥시딘 용액을 멸균 솜에 적서 구강을 닦아주는 구강간호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환자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고 최적의 간호중재 수행으로 간호의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더 많이 소요되는 간호시간과 비용 그리고 중복간호의 비효율적인 간호업무 개선을 위해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에게 나타나는 구내염을 예방하고 증상완화를 위한 효과적인 구강간호방법을 규명하기 위하여 구강간호방법이 구내염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비동풍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000년 9월 1일부터 2001년 10월 30일까지 전주시내에 위치한 C 대학병원 혈액종양 내과병동의 무균실에 화학요법을 받기 위해 입원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13명, 대조군 13명으로 총 26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Eilers, Berger와 Petersen(1988)이 개발한 구강 사정 (Oral Assessment Guide; OAG)도구를 정연이(1996)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 진행절차는 입원시 구강간호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입원당일부터 퇴원하는 날까지 부드러운 칫솔과 불소함유 치약으로 1일 3회 가볍게 칫솔질을 하고, 클로르헥시딘 용액 30cc로 1일 4회 구강을 행군 후 뱉어내는 구강간호를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이 실시하는 칫솔질과 구강헹굼을 실시하면서, 클로르헥시딘 용액을 멸균 솜에 적서 1일 2회 구강을 닦아주는 구강간호를 실시하였다. 구강상태측정은 화학요법 전날, 화학요법 3, 5, 7, 10, 14, 21일째에 설압자와 펜라이트를 이용하여, 사전에 교육받은 무균실 간호사가 관찰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9.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are test, Mann-Whitney U test,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의 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설검증 “칫솔질과 클로르핵시딘 용액으로 구강헹굼을 실시하는 집단과 칫솔질과 클로르핵시딘 용액으로 구강헹굼을 실시하면서 클로르헥시딘 용액을 멸균 솜에 적셔 구강을 닦아주는 구강간호를 실시하는 집단의 구내염 정도에 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2. 추가분석 본 연구의 추가분석 결과 구강사정 항목별(목소리, 연하곤란, 입술, 혀, 침, 구강건조, 구강점막, 잇몸, 치아) 구내염 정도에서도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구내염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부드러운 칫솔질과 클로르헥시딘 용액으로 구강헹굼을 실시하는 방법과 부드러운 칫솔질과 클로르헥시딘 용액으로 구강헹굼을 실시하면서 클로르헥시딘 용액을 멸균 솜에 적셔 구강을 닦아주는 구강간호방법의 구내염 정도와 구강사정 8 항목별 구내염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칫솔질과 구강헹굼을 충분히 실시할 수 있는 환자에게 칫솔질과 클로르헥시딘 용액으로 구강헹굼을 실시하면서 클로르헥시딘 용액을 멸균 솜에 적서 구강을 닦아주는 구강간호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환자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고 최적의 간호중재 수행으로 간호의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더 많이 소요되는 간호시간과 비용 그리고 중복간호의 비효율적인 간호업무 개선을 위해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icacy of two different oral care protocols on stomatitis in patients with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The subject, were total 26 acute myeloid leukemic patients(experimental group 13; control group 13), who had been hospitalized in the laminar air flow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icacy of two different oral care protocols on stomatitis in patients with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The subject, were total 26 acute myeloid leukemic patients(experimental group 13; control group 13), who had been hospitalized in the laminar air flow room of Hemato-oncology Ward for chemotherapy during the period between September 1. 2000 and October 30. 2001.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as the Oral Assessment Guide(OAG) which was developed by Elier, Burger, Peterson(1988) and verified by Jung Yeon Yi(1996). The research procedure was that the subjects were given an explanation of the study, and asked them to participate, and than the subjects was educated according to oral care protocol. The control group carried out the use of a toothbrush with fluoride toothpaste and chlorhexidine gargling, and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use of a toothbrush with fluoride toothpaste, chlorhexidine gargling and chlorhexidine swabbing from the first day in hospital admission to discharging day. Oral assessment was executed by the previously-educated nurses seeing and recording the patients oral conditions, with the tonguepress and the penlight, before chemotherapy, on the 3rd, the 5th, the 7th, 10th, 14th, and 21th after chemotherapy respectively for the following two groups.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was done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real numbers, percentage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the Chi-Square test, Mann-Whitney U test, Repeated Measures of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SPSS WIN 9.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hypothesis that the use of a toothbrush and chlorhexidine gargling applied group and the use of a toothbrush and chlorhexidine gargling and than chlorhexidine swabbing applied group will b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stomatitis of the two groups was rejected. 2. A supplementary analysi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the degree of stomatitis in oral assessment 8 categories(voice, swallowing, lips, saliva, tongue, mucose membrane, gingiva & teeth) of the two groups. For the above results, The use of a toothbrush and chlorhexidine gargling applied group and the use of a toothbrush and chlorhexidine gargling and then chlorhexidine swabbing applied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stomatitis and the degree of stomatitis of the oral assessment 8 categories in the myeloid leukemic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erefore, The result indicate that if patients can the use of a toothbrush and chlorhexidine pegling, the implications of chlorhexidine swabbing in oral health care for the patients are review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icacy of two different oral care protocols on stomatitis in patients with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The subject, were total 26 acute myeloid leukemic patients(experimental group 13; control group 13), who had been hospitalized in the laminar air flow room of Hemato-oncology Ward for chemotherapy during the period between September 1. 2000 and October 30. 2001.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as the Oral Assessment Guide(OAG) which was developed by Elier, Burger, Peterson(1988) and verified by Jung Yeon Yi(1996). The research procedure was that the subjects were given an explanation of the study, and asked them to participate, and than the subjects was educated according to oral care protocol. The control group carried out the use of a toothbrush with fluoride toothpaste and chlorhexidine gargling, and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use of a toothbrush with fluoride toothpaste, chlorhexidine gargling and chlorhexidine swabbing from the first day in hospital admission to discharging day. Oral assessment was executed by the previously-educated nurses seeing and recording the patients oral conditions, with the tonguepress and the penlight, before chemotherapy, on the 3rd, the 5th, the 7th, 10th, 14th, and 21th after chemotherapy respectively for the following two groups.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was done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real numbers, percentage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the Chi-Square test, Mann-Whitney U test, Repeated Measures of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SPSS WIN 9.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hypothesis that the use of a toothbrush and chlorhexidine gargling applied group and the use of a toothbrush and chlorhexidine gargling and than chlorhexidine swabbing applied group will b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stomatitis of the two groups was rejected. 2. A supplementary analysi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the degree of stomatitis in oral assessment 8 categories(voice, swallowing, lips, saliva, tongue, mucose membrane, gingiva & teeth) of the two groups. For the above results, The use of a toothbrush and chlorhexidine gargling applied group and the use of a toothbrush and chlorhexidine gargling and then chlorhexidine swabbing applied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stomatitis and the degree of stomatitis of the oral assessment 8 categories in the myeloid leukemic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erefore, The result indicate that if patients can the use of a toothbrush and chlorhexidine pegling, the implications of chlorhexidine swabbing in oral health care for the patients are review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