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사회성과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자아를 존중하는 태도를 갖는 것이 사회성이나 학습 능력을 올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에 따른 사회성과 학업성취도의 차이 및 사회성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어떠한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공립초등학교 5학년 남·여 학생 351명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하였으며, 측정 도구로서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Coopersmith(1967)와 McChale과 Chaighead(1988) 등의 연구를 참조하여 연구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참고로 하여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는 정범모(1971)가 제작한 초등학교 인성 검사를 재구성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대전광역시 교육청 주관으로 실시한 2002년 1학기말 학력고사(국, 수, 사, 과) 점수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사회성과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자아를 존중하는 태도를 갖는 것이 사회성이나 학습 능력을 올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에 따른 사회성과 학업성취도의 차이 및 사회성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어떠한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공립초등학교 5학년 남·여 학생 351명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하였으며, 측정 도구로서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Coopersmith(1967)와 McChale과 Chaighead(1988) 등의 연구를 참조하여 연구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참고로 하여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는 정범모(1971)가 제작한 초등학교 인성 검사를 재구성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대전광역시 교육청 주관으로 실시한 2002년 1학기말 학력고사(국, 수, 사, 과) 점수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t(F)검증)와 추리통계(변량분산분석)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의 분석에서는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형제 수와 경제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인식 정도에 따른 사회성의 하위 변인은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상집단이 사회성을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사회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자아존중감의 인식 정도에 따른 학업성취도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자아존중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사회성의 인식 정도에 따른 학업성취도와의 차이는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사회성 상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및 학업성취도와의 상관 관계는 p<.01 수준에서 매우 높은 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정리하여 보면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및 학업성취도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자아존중감은 사회성과 학업성취도에 대단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사회성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가지 지도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높은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사회성과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자아를 존중하는 태도를 갖는 것이 사회성이나 학습 능력을 올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에 따른 사회성과 학업성취도의 차이 및 사회성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어떠한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공립초등학교 5학년 남·여 학생 351명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하였으며, 측정 도구로서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Coopersmith(1967)와 McChale과 Chaighead(1988) 등의 연구를 참조하여 연구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참고로 하여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는 정범모(1971)가 제작한 초등학교 인성 검사를 재구성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대전광역시 교육청 주관으로 실시한 2002년 1학기말 학력고사(국, 수, 사, 과) 점수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t(F)검증)와 추리통계(변량분산분석)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의 분석에서는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형제 수와 경제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인식 정도에 따른 사회성의 하위 변인은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상집단이 사회성을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사회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자아존중감의 인식 정도에 따른 학업성취도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자아존중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사회성의 인식 정도에 따른 학업성취도와의 차이는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사회성 상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및 학업성취도와의 상관 관계는 p<.01 수준에서 매우 높은 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정리하여 보면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및 학업성취도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자아존중감은 사회성과 학업성취도에 대단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사회성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가지 지도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높은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