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기존 보육시설의 유형은 국·공립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 직장보육시설, 가정보육시설의 4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이 중 국가의 재정지원을 받는 국·공립 보육시설은 시설규모가 대형화 되어 많은 원아를 수용하지만 획일적이라는 비판을 받는 반면, 가정보육시설은 국가의 재정이 전무한 상태로 대부분 규모가 소형화되어 있어 원아를 개인적으로 보육할 수 있는 잇점을 지니고 있다. 그렇다면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의 질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보육시설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국가재정에 대한 효율적 지원에 대하여 어떤 유형의 보육시설에 지원하여야 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부산시 사하구에 위치한 국·공립 보육시설 7개소와 법인 보육시설 8개소와 가정보육시설 20개소를 포함 총 35개소를 표본 선정하여 이곳에 보내고 있는 0-6세까지의 영·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404부로 그 내용을 백분율 기준으로 ...
한국의 기존 보육시설의 유형은 국·공립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 직장보육시설, 가정보육시설의 4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이 중 국가의 재정지원을 받는 국·공립 보육시설은 시설규모가 대형화 되어 많은 원아를 수용하지만 획일적이라는 비판을 받는 반면, 가정보육시설은 국가의 재정이 전무한 상태로 대부분 규모가 소형화되어 있어 원아를 개인적으로 보육할 수 있는 잇점을 지니고 있다. 그렇다면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의 질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보육시설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국가재정에 대한 효율적 지원에 대하여 어떤 유형의 보육시설에 지원하여야 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부산시 사하구에 위치한 국·공립 보육시설 7개소와 법인 보육시설 8개소와 가정보육시설 20개소를 포함 총 35개소를 표본 선정하여 이곳에 보내고 있는 0-6세까지의 영·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404부로 그 내용을 백분율 기준으로 교차분석을 하였다. 설문지는 개인적 특성을 묻는 7개문항, 보육시설의 인지도을 묻는 총 5개 문항, 보육서비스의 기대욕구에 있어 보육시설의 환경 및 프로그램에 관한 사항을 묻는 총 6개문항이 포함된다. 교사에 대한 시항을 묻는 총 6개문항이 포함된다. 그리고 보육서비스의 질적향상을 위한 요구사항과 보육시설의 운영실태에 대한 사항, 그외의 문제점을 묻는 5개의 문항을 포함하여 총4개부분 2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조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어머니의 경우 직업이 없는 주부가 전체 53.6%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취업모 뿐만 아니라 비취업모의 자녀들까지도 폭넓게 보육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 할 것이다. 2. 보육시설의 선택시 주거지와 근접하면서 시설이 우수한 곳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시설이 근접하면 부모는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되고 자녀의 생활을 직접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므로 가정보육시설에 관계기관이 전폭적인 지원이 더 효율적일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3. 보육시설이 실시하는 프로그램은 보육시설 유형별로 요구하는 것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 중 가장 중점을 두었으면 하는 프로그램 사항은 올바른 생활습관 형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재 많은 사람들이 요구하는 것은 현장학습의 회수에 관한 질문으로 국·공립시설은 한달에 한 번이 가장 많았고 가정보육시설은 두·세달에 한번이 가장 많았다. 4. 또한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교사상은 따뜻한 마음과 애정을 가지고 아이를 이해하는 사람을 기장 많이 원했다. 이 사실은 교사의 자질에 대하여 알려주는 사실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보육시설의 경우 교육의 질을 결정짓는 교사의 인건비 지원등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이 요구된다. 5. 보육시설의 운영실태를 살펴보면 국·공립시설은 보육과정, 일과계획등이 잘되는 반면에 평가활동, 교사와 아동간의 유대관계가 잘되지 않았다. 법인보육시설은 교사와 아동간의 유대관계면에서 잘되고 평가활동이 잘되지 않았다. 가정보육시설은 교사와 아동간의 유대관계가 가장 잘 되고 있으나 반면에 교재·교구가 부족하고 보육과정 이행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에 정부의 기술자원이 차별적으로 다르게 지원해 주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6.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요구로서는 국·공립시설의 경우, 교사와 아동간의 유대관계, 법인시설은 아동의 건강, 안전문제에 가정보육시설은 교재·교구의 확보와 보육과정의 체계성 개선이 보육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발전 방안이라고 나타났다. 일련의 사실을 종합해 볼 때, 유형별 보육시설의 정부의 지원이 차별적으로 다양하게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의 기존 보육시설의 유형은 국·공립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 직장보육시설, 가정보육시설의 4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이 중 국가의 재정지원을 받는 국·공립 보육시설은 시설규모가 대형화 되어 많은 원아를 수용하지만 획일적이라는 비판을 받는 반면, 가정보육시설은 국가의 재정이 전무한 상태로 대부분 규모가 소형화되어 있어 원아를 개인적으로 보육할 수 있는 잇점을 지니고 있다. 그렇다면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의 질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보육시설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국가재정에 대한 효율적 지원에 대하여 어떤 유형의 보육시설에 지원하여야 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부산시 사하구에 위치한 국·공립 보육시설 7개소와 법인 보육시설 8개소와 가정보육시설 20개소를 포함 총 35개소를 표본 선정하여 이곳에 보내고 있는 0-6세까지의 영·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404부로 그 내용을 백분율 기준으로 교차분석을 하였다. 설문지는 개인적 특성을 묻는 7개문항, 보육시설의 인지도을 묻는 총 5개 문항, 보육서비스의 기대욕구에 있어 보육시설의 환경 및 프로그램에 관한 사항을 묻는 총 6개문항이 포함된다. 교사에 대한 시항을 묻는 총 6개문항이 포함된다. 그리고 보육서비스의 질적향상을 위한 요구사항과 보육시설의 운영실태에 대한 사항, 그외의 문제점을 묻는 5개의 문항을 포함하여 총4개부분 2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조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어머니의 경우 직업이 없는 주부가 전체 53.6%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취업모 뿐만 아니라 비취업모의 자녀들까지도 폭넓게 보육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 할 것이다. 2. 보육시설의 선택시 주거지와 근접하면서 시설이 우수한 곳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시설이 근접하면 부모는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되고 자녀의 생활을 직접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므로 가정보육시설에 관계기관이 전폭적인 지원이 더 효율적일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3. 보육시설이 실시하는 프로그램은 보육시설 유형별로 요구하는 것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 중 가장 중점을 두었으면 하는 프로그램 사항은 올바른 생활습관 형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재 많은 사람들이 요구하는 것은 현장학습의 회수에 관한 질문으로 국·공립시설은 한달에 한 번이 가장 많았고 가정보육시설은 두·세달에 한번이 가장 많았다. 4. 또한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교사상은 따뜻한 마음과 애정을 가지고 아이를 이해하는 사람을 기장 많이 원했다. 이 사실은 교사의 자질에 대하여 알려주는 사실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보육시설의 경우 교육의 질을 결정짓는 교사의 인건비 지원등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이 요구된다. 5. 보육시설의 운영실태를 살펴보면 국·공립시설은 보육과정, 일과계획등이 잘되는 반면에 평가활동, 교사와 아동간의 유대관계가 잘되지 않았다. 법인보육시설은 교사와 아동간의 유대관계면에서 잘되고 평가활동이 잘되지 않았다. 가정보육시설은 교사와 아동간의 유대관계가 가장 잘 되고 있으나 반면에 교재·교구가 부족하고 보육과정 이행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에 정부의 기술자원이 차별적으로 다르게 지원해 주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6.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요구로서는 국·공립시설의 경우, 교사와 아동간의 유대관계, 법인시설은 아동의 건강, 안전문제에 가정보육시설은 교재·교구의 확보와 보육과정의 체계성 개선이 보육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발전 방안이라고 나타났다. 일련의 사실을 종합해 볼 때, 유형별 보육시설의 정부의 지원이 차별적으로 다양하게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Day care cemter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state-run/public facilities, civil-corporate type (operated by social, welfare, religious organizations), workshop operated facilities, and private and private nurseries. Among the four types, state-funded public facilities have by ...
Day care cemter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state-run/public facilities, civil-corporate type (operated by social, welfare, religious organizations), workshop operated facilities, and private and private nurseries. Among the four types, state-funded public facilities have by far better facilities and have larger capacity. However, they face criticism for being standardized. Private nurseries do not receive any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they are smaller in size, but have the advantage of providing better personal childcare. Here in my study, I endeavored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resent nursery facilities in an effort to improv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and at the same time I would like to present some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a basis of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i.e. what amount of budgetary support needs to be provided to what specific type of childcare facilities. For the research, I have sample surveyed 35 childcare facilities located in Saha-gu, a southern industrial area of Pusan. Of the 35, seven were state-run, eight were civil corporate type, and 20 wre private nurseries, where infants of up to six years of age are sent for childcare. A total of 404 questionnaires were recovered from infants'mothers who were asked to reply. All responses were cross-analyzed percentagewise.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four categories covering 29 questions. Seven questions were related to special characters of the individual nursery; five questions to creditability of the facility; six questions to the facility's environment and the teaching programs that respondent mothers expect to be in the childcare service and six questions to the teaching staffs. The remanining five questions concerned respondent's demand for quality improvement, facts on nursery's operation and various other problem area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umber of the mothers who don't have jobs accounted for 53.6 percent of the total clients. Jucging from this fact, the government must come up with a comprehensive policy under which a wide usage of the facilities must be guranteed for children of both the employed and the unemployed mothers. 2. In selecting the day care center, respondents showed a particular preference for the facility's being close to their homes and for having excellent facilities. In other words, the neighborhood of the facility can ensure peace of mind for mothers and it can also provide an opportunity for mothers to directly observ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ir children. For this reason, full-scale support extended by the government agencies for private nursery will help enhanc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3. The most important child care program on which respondent-mothers place greatest emphasis, among other things, were those which fostered proper social conduct and values. As for the frequency of field trip chance offered for the enrolled infants, state-run public nurseries were able to arrange it once a month at the most and private facilities could offer this service, at most, once every two to three months. 4. The type of teachers that mothers consider most suitable were the ones who have warm hearts, and who showed affection for and understanding of infants. In case of the private facilities, teachers'pay scale is a critical fact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education so that institutional support including the government subsidies are urgently needed. 5. As far as the mangement is concerned, state-run public facilities showed good performance in childcare course and daily curriculum. However, par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faculty's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ir children. Finally,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were also found to be unsatisfactory. Civil-corporate facilities maintained favorabl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but evaluation works were poorly done. Private nurseries performed best in terms of student-teacher interrelationships. Howerever, they seemed to hav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childcare programs. In addition, they lack sufficient training aids and materials. 6. As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at various levels,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following points: improve student-teacher interrelationships at state-run public facilities and address concerns over infants'health and safety at civil-corporate facilities. Lastly, private nurseries need to develop more interrelated, better planned childcare programs as well as remedy the problem of insufficient training materials.
Day care cemter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state-run/public facilities, civil-corporate type (operated by social, welfare, religious organizations), workshop operated facilities, and private and private nurseries. Among the four types, state-funded public facilities have by far better facilities and have larger capacity. However, they face criticism for being standardized. Private nurseries do not receive any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they are smaller in size, but have the advantage of providing better personal childcare. Here in my study, I endeavored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resent nursery facilities in an effort to improv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and at the same time I would like to present some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a basis of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i.e. what amount of budgetary support needs to be provided to what specific type of childcare facilities. For the research, I have sample surveyed 35 childcare facilities located in Saha-gu, a southern industrial area of Pusan. Of the 35, seven were state-run, eight were civil corporate type, and 20 wre private nurseries, where infants of up to six years of age are sent for childcare. A total of 404 questionnaires were recovered from infants'mothers who were asked to reply. All responses were cross-analyzed percentagewise.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four categories covering 29 questions. Seven questions were related to special characters of the individual nursery; five questions to creditability of the facility; six questions to the facility's environment and the teaching programs that respondent mothers expect to be in the childcare service and six questions to the teaching staffs. The remanining five questions concerned respondent's demand for quality improvement, facts on nursery's operation and various other problem area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umber of the mothers who don't have jobs accounted for 53.6 percent of the total clients. Jucging from this fact, the government must come up with a comprehensive policy under which a wide usage of the facilities must be guranteed for children of both the employed and the unemployed mothers. 2. In selecting the day care center, respondents showed a particular preference for the facility's being close to their homes and for having excellent facilities. In other words, the neighborhood of the facility can ensure peace of mind for mothers and it can also provide an opportunity for mothers to directly observ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ir children. For this reason, full-scale support extended by the government agencies for private nursery will help enhanc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3. The most important child care program on which respondent-mothers place greatest emphasis, among other things, were those which fostered proper social conduct and values. As for the frequency of field trip chance offered for the enrolled infants, state-run public nurseries were able to arrange it once a month at the most and private facilities could offer this service, at most, once every two to three months. 4. The type of teachers that mothers consider most suitable were the ones who have warm hearts, and who showed affection for and understanding of infants. In case of the private facilities, teachers'pay scale is a critical fact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education so that institutional support including the government subsidies are urgently needed. 5. As far as the mangement is concerned, state-run public facilities showed good performance in childcare course and daily curriculum. However, par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faculty's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ir children. Finally,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were also found to be unsatisfactory. Civil-corporate facilities maintained favorabl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but evaluation works were poorly done. Private nurseries performed best in terms of student-teacher interrelationships. Howerever, they seemed to hav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childcare programs. In addition, they lack sufficient training aids and materials. 6. As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at various levels,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following points: improve student-teacher interrelationships at state-run public facilities and address concerns over infants'health and safety at civil-corporate facilities. Lastly, private nurseries need to develop more interrelated, better planned childcare programs as well as remedy the problem of insufficient training material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