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시설장들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가 개인의 일반적인 특성 및 보육시설 유형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서 보육시설 유형별로 보육시설장의 직무수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보육시설의 효율적이고 긍정적인 운영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시설장의 직무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2. 보육시설 유형별로 보육시설장의 직무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3. 보육시설장의 개인 특성(연령, 학력, 운영경력, 보수정도)을 통제한 보육시설 유형별로 보육시설장의 직무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보육시설 기관에 재직 중인 보육시설장 24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유형별로 보육시설장의 직무 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설장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보육시설 유형별 보육시설장의 직무스트레스 도구는 차선미(2006)를 토대로 김언희(2006), 김미숙(2008)의 설문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동일 내용의 문항을 통합했고, 김언희(2006)의 교원권리, 대인관계와 김미숙(2008)의 시설장 직업에 대한 스트레스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으므로 삭제했으며, 2005년 후 평가인증에 대한 스트레스가 언급되므로 평가인증 스트레스 문항을 추가 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는 보육시설장들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가 개인의 일반적인 특성 및 보육시설 유형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서 보육시설 유형별로 보육시설장의 직무수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보육시설의 효율적이고 긍정적인 운영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시설장의 직무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2. 보육시설 유형별로 보육시설장의 직무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3. 보육시설장의 개인 특성(연령, 학력, 운영경력, 보수정도)을 통제한 보육시설 유형별로 보육시설장의 직무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보육시설 기관에 재직 중인 보육시설장 24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유형별로 보육시설장의 직무 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설장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보육시설 유형별 보육시설장의 직무스트레스 도구는 차선미(2006)를 토대로 김언희(2006), 김미숙(2008)의 설문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동일 내용의 문항을 통합했고, 김언희(2006)의 교원권리, 대인관계와 김미숙(2008)의 시설장 직업에 대한 스트레스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으므로 삭제했으며, 2005년 후 평가인증에 대한 스트레스가 언급되므로 평가인증 스트레스 문항을 추가 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χ2 검증, 표준편차, ANOVA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장의 직무스트레스는 비교적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시설장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직원 관리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다음으로 교육 및 교사활동 스트레스, 원아 및 학부모 관리 스트레스, 시설 및 설비관리 스트레스, 행정 및 재정관리 스트레스, 업무지원 스트레스, 안전관리 스트레스, 평가인증 스트레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특성으로는 학력, 운영경력, 보수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시설 유형별 직무 스트레스는 법인보육시설이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직장보육시설, 국공립보육시설, 가정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 특성으로는 재직유형, 원아 수, 시설주변지역, 시설형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보육시설장의 개인 특성을 통제한 후 보육시설 유형별로 보육시설장의 직무스트레스는 어떠한가에서 개인 특성 중 연령, 학력, 운영경력, 보수정도를 통제하였을 때 시설유형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주변지역, 시설형태는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장들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가 개인의 일반적인 특성 및 보육시설 유형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서 보육시설 유형별로 보육시설장의 직무수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보육시설의 효율적이고 긍정적인 운영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시설장의 직무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2. 보육시설 유형별로 보육시설장의 직무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3. 보육시설장의 개인 특성(연령, 학력, 운영경력, 보수정도)을 통제한 보육시설 유형별로 보육시설장의 직무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보육시설 기관에 재직 중인 보육시설장 24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유형별로 보육시설장의 직무 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설장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보육시설 유형별 보육시설장의 직무스트레스 도구는 차선미(2006)를 토대로 김언희(2006), 김미숙(2008)의 설문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동일 내용의 문항을 통합했고, 김언희(2006)의 교원권리, 대인관계와 김미숙(2008)의 시설장 직업에 대한 스트레스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으므로 삭제했으며, 2005년 후 평가인증에 대한 스트레스가 언급되므로 평가인증 스트레스 문항을 추가 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χ2 검증, 표준편차, ANOVA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장의 직무스트레스는 비교적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시설장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직원 관리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다음으로 교육 및 교사활동 스트레스, 원아 및 학부모 관리 스트레스, 시설 및 설비관리 스트레스, 행정 및 재정관리 스트레스, 업무지원 스트레스, 안전관리 스트레스, 평가인증 스트레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특성으로는 학력, 운영경력, 보수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시설 유형별 직무 스트레스는 법인보육시설이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직장보육시설, 국공립보육시설, 가정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 특성으로는 재직유형, 원아 수, 시설주변지역, 시설형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보육시설장의 개인 특성을 통제한 후 보육시설 유형별로 보육시설장의 직무스트레스는 어떠한가에서 개인 특성 중 연령, 학력, 운영경력, 보수정도를 통제하였을 때 시설유형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주변지역, 시설형태는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by demographic features and facility patterns in order to minimize their job stress on the basis of study findings and provide help to the efficient and positive operation of child care facil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by demographic features and facility patterns in order to minimize their job stress on the basis of study findings and provide help to the efficient and positive operation of child care facilities. For this,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about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by facility patterns?'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by facility patterns, when their demographic features (age, academic background, career and wage) are controlled?' Study subjects were 248 center directors of child care facilities in Seoul. In order to examine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by facility patterns, a questionnaire survey of 248 center directors was carried out. As for study tools for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by facility patterns, the investigator us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Eon-hi (2006) and Kim Mi-suk (2008) on the basis of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Cha Seon-mi (2006), by integrating the same questions into one according to the goal of this study. But such questions that were related to the teacher's right and personal relations of Kim Eon-hi (2006) and to the occupation stress of center directors of Kim Mi-suk (2008) were eliminated, for such categories were not dealt in this study. And because the stress of assessment certification has been mentioned since 2005, assessment certification-related questions were added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collected data, such analytic techniques a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χ2 test, standard deviation,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were relatively under stress. The severest job stress was the stress of teacher management and it was followed by the stress of education and teacher's activity, the stress of child and parent management, the stress of facility and equipment management, the stres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management, the stress of business support, the stress of safety management, and the stress of assessment certification in order. As for demographic features, such features as academic background, career and wage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Second, as for the job stress by the patterns of child care facilities, corporation child care facilities job stress was highest and it was followed by workplace child care facilities, national and public edu-care facilities, home child care facilities and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in order.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facilities, such characteristics as working patterns, number of children, surroundings and facility types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Third, as for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by facility patterns after controlling center directors demographic features, facility patterns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when such personal features as age, academic background, career and wage were controlled. However, surroundings and facility type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by demographic features and facility patterns in order to minimize their job stress on the basis of study findings and provide help to the efficient and positive operation of child care facilities. For this,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about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by facility patterns?'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by facility patterns, when their demographic features (age, academic background, career and wage) are controlled?' Study subjects were 248 center directors of child care facilities in Seoul. In order to examine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by facility patterns, a questionnaire survey of 248 center directors was carried out. As for study tools for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by facility patterns, the investigator us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Eon-hi (2006) and Kim Mi-suk (2008) on the basis of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Cha Seon-mi (2006), by integrating the same questions into one according to the goal of this study. But such questions that were related to the teacher's right and personal relations of Kim Eon-hi (2006) and to the occupation stress of center directors of Kim Mi-suk (2008) were eliminated, for such categories were not dealt in this study. And because the stress of assessment certification has been mentioned since 2005, assessment certification-related questions were added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collected data, such analytic techniques a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χ2 test, standard deviation,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were relatively under stress. The severest job stress was the stress of teacher management and it was followed by the stress of education and teacher's activity, the stress of child and parent management, the stress of facility and equipment management, the stres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management, the stress of business support, the stress of safety management, and the stress of assessment certification in order. As for demographic features, such features as academic background, career and wage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Second, as for the job stress by the patterns of child care facilities, corporation child care facilities job stress was highest and it was followed by workplace child care facilities, national and public edu-care facilities, home child care facilities and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in order.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facilities, such characteristics as working patterns, number of children, surroundings and facility types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Third, as for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by facility patterns after controlling center directors demographic features, facility patterns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when such personal features as age, academic background, career and wage were controlled. However, surroundings and facility type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child care facility center directors job stres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