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가족이 참여하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involved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eisability원문보기
장애 아동의 가족과 부모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들 중의 하나는 문제행동을 다루는 것이다.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의 가족들은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가 공공 장소에서 사용할 수 없거나 가족 각자의 일과와 선호를 충족시킬 수 없어서 사회적 고립을 자주 경험하게 된다. 최근에는 문제행동 자체의 감소나 적합한 행동의 교수에만 초점을 두기보다는 전반적인 생활 양식에서 지원해 줄 수 있는 문제행동의 기능평가와 개인의 요구에 맞는 포괄적인 지원계획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는데, 이것을 긍정적 행동지원이라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와 가족들을 긍정적 행동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한 후에 학생의 문제행동이 감소하는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문제행동의 감소가 일반화되는지, 그리고 계속 유지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K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초등부 저학년에 재학하는 장애 학생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중재의 실시에 앞서 저학년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 절차에 대한 연수를 실시하고 전반적인 내용을 숙지시킨 후, 긍정적 행동지원 절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가족들과 함께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가족들이 각각의 가정에서 가장 문제가 된다고 결정한 행동을 목표행동으로 설정한 후,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기능평가의 방법으로 면담과 ...
장애 아동의 가족과 부모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들 중의 하나는 문제행동을 다루는 것이다.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의 가족들은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가 공공 장소에서 사용할 수 없거나 가족 각자의 일과와 선호를 충족시킬 수 없어서 사회적 고립을 자주 경험하게 된다. 최근에는 문제행동 자체의 감소나 적합한 행동의 교수에만 초점을 두기보다는 전반적인 생활 양식에서 지원해 줄 수 있는 문제행동의 기능평가와 개인의 요구에 맞는 포괄적인 지원계획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는데, 이것을 긍정적 행동지원이라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와 가족들을 긍정적 행동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한 후에 학생의 문제행동이 감소하는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문제행동의 감소가 일반화되는지, 그리고 계속 유지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K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초등부 저학년에 재학하는 장애 학생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중재의 실시에 앞서 저학년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 절차에 대한 연수를 실시하고 전반적인 내용을 숙지시킨 후, 긍정적 행동지원 절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가족들과 함께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가족들이 각각의 가정에서 가장 문제가 된다고 결정한 행동을 목표행동으로 설정한 후,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기능평가의 방법으로 면담과 ABC 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가를 통해 수집한 자료들을 기초로 하여 문제행동 발생과 관련된 가설을 개발하고 각 대상아동의 가정과 문제행동에 적합한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특별한 중재를 실시하지 않고,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던 달래기, 비난, 무시, 신체적 체벌, 원하는 대로 들어주기 등의 일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다요소 중재를 제공하였다. 중재 종료 후에는 가족들 중의 다른 대상에게도 일반화되는지 7회기 동안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중재 효과의 유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종결 4주 후에 4회기 동안의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는 세 명의 대상학생 모두의 문제행동을 감소시켰다.
둘째,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의 효과는 가족 중의 다른 사람이 중재를 실시하는 상황으로 일반화되었다.
셋째,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감소된 문제행동 발생률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다른 사람에게 일반화되었으며,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와 장애학생의 가족이 협력하여 가족지원의 한 형태로서 긍정적 행동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지도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장애 아동의 가족과 부모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들 중의 하나는 문제행동을 다루는 것이다.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의 가족들은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가 공공 장소에서 사용할 수 없거나 가족 각자의 일과와 선호를 충족시킬 수 없어서 사회적 고립을 자주 경험하게 된다. 최근에는 문제행동 자체의 감소나 적합한 행동의 교수에만 초점을 두기보다는 전반적인 생활 양식에서 지원해 줄 수 있는 문제행동의 기능평가와 개인의 요구에 맞는 포괄적인 지원계획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는데, 이것을 긍정적 행동지원이라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와 가족들을 긍정적 행동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한 후에 학생의 문제행동이 감소하는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문제행동의 감소가 일반화되는지, 그리고 계속 유지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K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초등부 저학년에 재학하는 장애 학생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중재의 실시에 앞서 저학년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 절차에 대한 연수를 실시하고 전반적인 내용을 숙지시킨 후, 긍정적 행동지원 절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가족들과 함께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가족들이 각각의 가정에서 가장 문제가 된다고 결정한 행동을 목표행동으로 설정한 후,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기능평가의 방법으로 면담과 ABC 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가를 통해 수집한 자료들을 기초로 하여 문제행동 발생과 관련된 가설을 개발하고 각 대상아동의 가정과 문제행동에 적합한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특별한 중재를 실시하지 않고,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던 달래기, 비난, 무시, 신체적 체벌, 원하는 대로 들어주기 등의 일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다요소 중재를 제공하였다. 중재 종료 후에는 가족들 중의 다른 대상에게도 일반화되는지 7회기 동안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중재 효과의 유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종결 4주 후에 4회기 동안의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는 세 명의 대상학생 모두의 문제행동을 감소시켰다.
둘째,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의 효과는 가족 중의 다른 사람이 중재를 실시하는 상황으로 일반화되었다.
셋째,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감소된 문제행동 발생률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다른 사람에게 일반화되었으며,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와 장애학생의 가족이 협력하여 가족지원의 한 형태로서 긍정적 행동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지도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which families participate in to reduce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at home.
In this study, three students showing problem behavior at home and their families participated in functional assess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which families participate in to reduce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at home.
In this study, three students showing problem behavior at home and their families participated in functional assessment process designed to yield a useful understanding of their problem behavior. Structured interviews and direct observations were conducted to identify various variables which were functionally related to problem behaviors at home. Based on Hypotheses derived from functional assessment,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as designed.
To measure the frequency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ty and follow-up sessions using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were reduced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hich families participated in.
Secondly,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were generalized to different person of the family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hich families participated in.
Thirdly,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were maintained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hich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data from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at functional assessment identified variables that were functionally related to each participants' problem and appropriate behaviors. This data contributes to the growing recognition of how positive behavior support which families participated in can expert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problem behavior. And this study may offer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family perspectives as they experience and participate in positive behavior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which families participate in to reduce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at home.
In this study, three students showing problem behavior at home and their families participated in functional assessment process designed to yield a useful understanding of their problem behavior. Structured interviews and direct observations were conducted to identify various variables which were functionally related to problem behaviors at home. Based on Hypotheses derived from functional assessment,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as designed.
To measure the frequency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ty and follow-up sessions using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were reduced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hich families participated in.
Secondly,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were generalized to different person of the family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hich families participated in.
Thirdly,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were maintained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hich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data from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at functional assessment identified variables that were functionally related to each participants' problem and appropriate behaviors. This data contributes to the growing recognition of how positive behavior support which families participated in can expert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problem behavior. And this study may offer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family perspectives as they experience and participate in positive behavior suppor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