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에 해당하는 3학년 아동의 수학 학습지도에서 활용 가능한 수학이야기를 교육과정 운영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적용한 수업이 아동의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자료의 적극적인 개발·활용을 촉구하고, 궁극적으로 아동들의 수학적 태도 및 학업 성취도 신장을 위한 수학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학습 집단과 일반적인 학습 집단은 수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학습 집단과 일반적인 학습 집단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소재한 J초등학교 3학년 1개 반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이와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 면에서 동질집단임이 확인된 같은 학교 3학년 1개 반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본 연구를 위하여 개발한 수학이야기를 활용하여 수업을 전개하고, 비교집단은 기존의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한 일반적인 수업을 전개하였다. 실험설계는 준 실험설계(Qusai-Experimental-Design)의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에 해당하는 3학년 아동의 수학 학습지도에서 활용 가능한 수학이야기를 교육과정 운영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적용한 수업이 아동의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자료의 적극적인 개발·활용을 촉구하고, 궁극적으로 아동들의 수학적 태도 및 학업 성취도 신장을 위한 수학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학습 집단과 일반적인 학습 집단은 수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학습 집단과 일반적인 학습 집단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소재한 J초등학교 3학년 1개 반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이와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 면에서 동질집단임이 확인된 같은 학교 3학년 1개 반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본 연구를 위하여 개발한 수학이야기를 활용하여 수업을 전개하고, 비교집단은 기존의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한 일반적인 수업을 전개하였다. 실험설계는 준 실험설계(Qusai-Experimental-Design)의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가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집단간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한 사전 수학적 태도 검사와 사전 학업 성취도 검사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실험처치 후 수학적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사후 수학적 태도 검사와 사후 학업 성취도 검사를 검사도구로 사용 하였다. 실험처치과정에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은 기존의 연구자료 및 국내외 도서 등을 참고하여 초등학교 3학년 아동에게 적용 가능한 수학이야기 자료를 개발하였고, 실험집단에는 그 중 2개 단원에서 5주 동안 총 14차시 중에서 10차시에 걸쳐 수학이야기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교사용 지도서에 따른 일반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학습 집단과 일반적인 학습 집단은 수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처치 직후에 사후 수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그 평균의 차를 t-검정한 결과 8개 영역 중 5개 영역(흥미, 자신감, 우월감, 자율학습, 주의집중)은 유의수준 5% 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학습 집단과 일반적인 학습 집단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처치 직후에 사후 학업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그 평균의 차를 t-검정한 결과 유의수준 5% 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학습 집단이 일반적인 수업을 실시한 집단보다 수학적 태도의 5개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없고 어렵게 여겨지는 수학의 내용을 수학이야기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익힘으로써 수학에 대한 흥미, 자신감, 우월감, 자율학습, 주의집중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학습 집단이 일반적인 수업을 실시한 집단보다 학업 성취도가 향상됨을 보였다. 이는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여 수업에 흥미와 자신감을 갖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기여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에 해당하는 3학년 아동의 수학 학습지도에서 활용 가능한 수학이야기를 교육과정 운영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적용한 수업이 아동의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자료의 적극적인 개발·활용을 촉구하고, 궁극적으로 아동들의 수학적 태도 및 학업 성취도 신장을 위한 수학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학습 집단과 일반적인 학습 집단은 수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학습 집단과 일반적인 학습 집단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소재한 J초등학교 3학년 1개 반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이와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 면에서 동질집단임이 확인된 같은 학교 3학년 1개 반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본 연구를 위하여 개발한 수학이야기를 활용하여 수업을 전개하고, 비교집단은 기존의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한 일반적인 수업을 전개하였다. 실험설계는 준 실험설계(Qusai-Experimental-Design)의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가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집단간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한 사전 수학적 태도 검사와 사전 학업 성취도 검사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실험처치 후 수학적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사후 수학적 태도 검사와 사후 학업 성취도 검사를 검사도구로 사용 하였다. 실험처치과정에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은 기존의 연구자료 및 국내외 도서 등을 참고하여 초등학교 3학년 아동에게 적용 가능한 수학이야기 자료를 개발하였고, 실험집단에는 그 중 2개 단원에서 5주 동안 총 14차시 중에서 10차시에 걸쳐 수학이야기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교사용 지도서에 따른 일반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학습 집단과 일반적인 학습 집단은 수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처치 직후에 사후 수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그 평균의 차를 t-검정한 결과 8개 영역 중 5개 영역(흥미, 자신감, 우월감, 자율학습, 주의집중)은 유의수준 5% 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학습 집단과 일반적인 학습 집단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처치 직후에 사후 학업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그 평균의 차를 t-검정한 결과 유의수준 5% 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학습 집단이 일반적인 수업을 실시한 집단보다 수학적 태도의 5개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없고 어렵게 여겨지는 수학의 내용을 수학이야기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익힘으로써 수학에 대한 흥미, 자신감, 우월감, 자율학습, 주의집중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학습 집단이 일반적인 수업을 실시한 집단보다 학업 성취도가 향상됨을 보였다. 이는 수학이야기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여 수업에 흥미와 자신감을 갖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기여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ⅰ)to analyze the effects of an instructional method using mathematical stories on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in an elementary school, (ⅱ)to find out a better mathematics teaching method that may further improve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a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ⅰ)to analyze the effects of an instructional method using mathematical stories on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in an elementary school, (ⅱ)to find out a better mathematics teaching method that may further improve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and (ⅲ)to propos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using mathematical stories. For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s between a group of using mathematical stories and a typical group? (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s between a group of using mathematical stories and a typical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3rd graders of two groups from J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The two groups were chosen randomly. They were equal in terms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Whereas the learning method using mathematical stories was carried out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traditional method was provided for the control group.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n a qusa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pre-test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was conducted to guarantee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The post-test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in the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after the treatment. Teaching material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articles and the references dealing with mathematical stori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ceived an instruction using mathematical stories for 5 weeks. The control group was taken a traditional instru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a t-test was carried out, there appear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mathematical attitudes. There was a significant gap at the p<.05 level in interest, confidence, superiority, self-learning, and attentiveness. Second, when a t-test was carried out, there appear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hematical achievements. There was a significant gap at the p<.05 level. Based on the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a teaching method using mathematical stories worked better than a traditional one in enhancing mathematical attitudes. Second, a teaching method using mathematical stories worked better than a traditional one in enhancing mathematical achieve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an instruction using mathematical stories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improving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ⅰ)to analyze the effects of an instructional method using mathematical stories on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in an elementary school, (ⅱ)to find out a better mathematics teaching method that may further improve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and (ⅲ)to propos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using mathematical stories. For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s between a group of using mathematical stories and a typical group? (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s between a group of using mathematical stories and a typical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3rd graders of two groups from J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The two groups were chosen randomly. They were equal in terms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Whereas the learning method using mathematical stories was carried out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traditional method was provided for the control group.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n a qusa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pre-test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was conducted to guarantee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The post-test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in the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after the treatment. Teaching material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articles and the references dealing with mathematical stori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ceived an instruction using mathematical stories for 5 weeks. The control group was taken a traditional instru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a t-test was carried out, there appear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mathematical attitudes. There was a significant gap at the p<.05 level in interest, confidence, superiority, self-learning, and attentiveness. Second, when a t-test was carried out, there appear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hematical achievements. There was a significant gap at the p<.05 level. Based on the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a teaching method using mathematical stories worked better than a traditional one in enhancing mathematical attitudes. Second, a teaching method using mathematical stories worked better than a traditional one in enhancing mathematical achieve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an instruction using mathematical stories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improving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