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자가발반사요법이 여고생의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 완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lf-foot reflexology on the relief of premenstural syndrome and dysmenorrhea in high school girls원문보기
본 연구는 자가발반사요법이 여고생의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며, 연구대상은 2003년 7월 15일부터 2003년 9월 15일까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1개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생리통이 6점 이상인 여학생으로 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사전조사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의 점수를 조사하였다. 실험처치는 2단계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1단계는 소책자를 이용하여 1회 50분 동안 5일간 교육하였다. 2단계는 1단계 교육 후 각 개인의 월경예정일 2주일 전에 2일 간격으로 식후 1시간 또는 식전에 1회 50분씩 주 3회 2주 동안 연구자의 참관 하에 자가발반사요법을 시행하도록 하였다. 사후조사는 실험처치가 끝나고 월경이 끝난 직후 질문지를 이용하여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에 대한 점수를 측정하였고, 대조군은 사전조사 후 다음 월경이 끝난 직후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에 대한 점수를 측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월경전증후군을 측정하기 위해 Moos(1968)가 개발한 도구인 MDQ와 Cline 등(1992)이 통증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VAS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자가발반사요법이 여고생의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며, 연구대상은 2003년 7월 15일부터 2003년 9월 15일까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1개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생리통이 6점 이상인 여학생으로 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사전조사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의 점수를 조사하였다. 실험처치는 2단계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1단계는 소책자를 이용하여 1회 50분 동안 5일간 교육하였다. 2단계는 1단계 교육 후 각 개인의 월경예정일 2주일 전에 2일 간격으로 식후 1시간 또는 식전에 1회 50분씩 주 3회 2주 동안 연구자의 참관 하에 자가발반사요법을 시행하도록 하였다. 사후조사는 실험처치가 끝나고 월경이 끝난 직후 질문지를 이용하여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에 대한 점수를 측정하였고, 대조군은 사전조사 후 다음 월경이 끝난 직후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에 대한 점수를 측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월경전증후군을 측정하기 위해 Moos(1968)가 개발한 도구인 MDQ와 Cline 등(1992)이 통증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VAS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윌경관련 제 특성의 동질성 검증은 X^(2)검정, t검정과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고, 가설검증은 ANCOVA와 t검정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가발반사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월경전증후군이 감소할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F=9.451, p=0.000). 2. '자가발반사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생리통이 감소할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t=6.699, p=0.000). 이상의 결과에서 자가발반사요법은 여고생들의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 완화에 효율적인 간호중재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학교보건에서 자가발반사요법을 적용함으로서 사춘기 여고생들의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을 완화시켜 월경으로 인한 장애를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자가발반사요법이 여고생의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며, 연구대상은 2003년 7월 15일부터 2003년 9월 15일까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1개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생리통이 6점 이상인 여학생으로 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사전조사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의 점수를 조사하였다. 실험처치는 2단계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1단계는 소책자를 이용하여 1회 50분 동안 5일간 교육하였다. 2단계는 1단계 교육 후 각 개인의 월경예정일 2주일 전에 2일 간격으로 식후 1시간 또는 식전에 1회 50분씩 주 3회 2주 동안 연구자의 참관 하에 자가발반사요법을 시행하도록 하였다. 사후조사는 실험처치가 끝나고 월경이 끝난 직후 질문지를 이용하여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에 대한 점수를 측정하였고, 대조군은 사전조사 후 다음 월경이 끝난 직후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에 대한 점수를 측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월경전증후군을 측정하기 위해 Moos(1968)가 개발한 도구인 MDQ와 Cline 등(1992)이 통증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VAS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윌경관련 제 특성의 동질성 검증은 X^(2)검정, t검정과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고, 가설검증은 ANCOVA와 t검정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가발반사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월경전증후군이 감소할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F=9.451, p=0.000). 2. '자가발반사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생리통이 감소할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t=6.699, p=0.000). 이상의 결과에서 자가발반사요법은 여고생들의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 완화에 효율적인 간호중재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학교보건에서 자가발반사요법을 적용함으로서 사춘기 여고생들의 월경전증후군과 생리통을 완화시켜 월경으로 인한 장애를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foot reflexology on the relief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in high school girls.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girls from an academic high school...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foot reflexology on the relief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in high school girls.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girls from an academic high school located in the Ulsan metropolitan area, whose dysmenorrhea scores were more than 6 on the visual analogue scale. Twenty four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four students to the control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s from July 15, 2003 to September 15, 2003.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MDQ(Menstual Distress Questionnaire) developed by Moos(1968) and the VAS(Visual Analogue Scale) developed by Cline(1992). In a research method, the practiced through by the examination of the scores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wo steps. In the first step, subjects educated through brochure for 50 minutes one time, during 5 days. In the second step was practiced after the first step. subject received self-foot reflexology for 50 minutes one time, three times a week, during 2 weeks, before their menstruation period, under the researcher's inspection. After treatment was finished,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scores were measured right after the next menstruation following the pretest.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win 10.0 program with Χ^(2)-test, t-test, Fisher's exact test to verify identification among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nstrual symptoms, and hypothesis verification was analysed with ANCOVA, an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homogeneity testing revealed that most study variables except for premenstrual syndrome were equally distributed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2. The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self-foot reflexology will decrease premenstrual syndrome', was supported (F=9.451, p =0.000). 3. The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self-foot reflexology will decrease dysmenorrhea', was supported (t=6.699, p=0.000). As a result of this study, self-foot reflexology will be able to be used as a nursing care to improve the symptoms of high school girls who have the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foot reflexology on the relief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in high school girls.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girls from an academic high school located in the Ulsan metropolitan area, whose dysmenorrhea scores were more than 6 on the visual analogue scale. Twenty four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four students to the control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s from July 15, 2003 to September 15, 2003.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MDQ(Menstual Distress Questionnaire) developed by Moos(1968) and the VAS(Visual Analogue Scale) developed by Cline(1992). In a research method, the practiced through by the examination of the scores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wo steps. In the first step, subjects educated through brochure for 50 minutes one time, during 5 days. In the second step was practiced after the first step. subject received self-foot reflexology for 50 minutes one time, three times a week, during 2 weeks, before their menstruation period, under the researcher's inspection. After treatment was finished,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scores were measured right after the next menstruation following the pretest.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win 10.0 program with Χ^(2)-test, t-test, Fisher's exact test to verify identification among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nstrual symptoms, and hypothesis verification was analysed with ANCOVA, an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homogeneity testing revealed that most study variables except for premenstrual syndrome were equally distributed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2. The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self-foot reflexology will decrease premenstrual syndrome', was supported (F=9.451, p =0.000). 3. The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self-foot reflexology will decrease dysmenorrhea', was supported (t=6.699, p=0.000). As a result of this study, self-foot reflexology will be able to be used as a nursing care to improve the symptoms of high school girls who have the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