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원문보기
보육 시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여성의 사회 진출과 맞벌이 부부 자녀의 급증으로 인하여 가정과 양육자의 기능과 역할을 대신하며, 사회적 능력, 자기조절능력, 기질, 인지 능력과 같은 유아의 내적 변인과 함께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적변인과는 달리 외적인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은 지원과 변화를 통해 정서 지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울러 정서지능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기질, 자기조절능력, 인지 능력이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어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을 살펴보고,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 요인과 유아의 정서지능 요소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아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보육 시설의 교수 -학습 환경적 변화와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또한 보육 시설의 인적 환경 측면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을 살펴보아 유아의 정서지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교사-유아의 긍정적 상호 작용 환경 조성의 기틀이 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을 수생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자기조절능력, 기질, 인지능력,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전반적인 정서지능 발달은 어떠한가? 3.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 구성요인별 발달은 어떠한가? 1)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의 인식과 표현 발달 정도는 어떠한가? 2)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의 발달 정도는 어떠한가? 3)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적 지식의 활용 능력 발달 정도는 어떠한가? 4)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의 반영적 조절 능력 발달 정도는 어떠한가? 4.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하위 요인과 유아 정서지능의 구성요인별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E구에서 보육 시설 교수-학습 환경의 질이 상위인 집단 3기관과 하위인 집단 3기관 총 6기관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142명의 신입 원아이다. 이들은 상집단에서 만 3세 유아 39명, 만 4세 유 아 30명, 하집단에서 만 3세 유아 40명, 만 4세 유아 33명으로 상집단은 69 명, 하집단은 73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모든 정서지능 관련 변인들 사회적 능력, 자기조절능력, 기질, 인지능력,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은 유아의 정서지능에 전체 51.7%의 설명력을 보였다. ...
보육 시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여성의 사회 진출과 맞벌이 부부 자녀의 급증으로 인하여 가정과 양육자의 기능과 역할을 대신하며, 사회적 능력, 자기조절능력, 기질, 인지 능력과 같은 유아의 내적 변인과 함께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적변인과는 달리 외적인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은 지원과 변화를 통해 정서 지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울러 정서지능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기질, 자기조절능력, 인지 능력이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어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을 살펴보고,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 요인과 유아의 정서지능 요소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아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보육 시설의 교수 -학습 환경적 변화와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또한 보육 시설의 인적 환경 측면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을 살펴보아 유아의 정서지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교사-유아의 긍정적 상호 작용 환경 조성의 기틀이 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을 수생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자기조절능력, 기질, 인지능력,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전반적인 정서지능 발달은 어떠한가? 3.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 구성요인별 발달은 어떠한가? 1)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의 인식과 표현 발달 정도는 어떠한가? 2)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의 발달 정도는 어떠한가? 3)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적 지식의 활용 능력 발달 정도는 어떠한가? 4)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의 반영적 조절 능력 발달 정도는 어떠한가? 4.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하위 요인과 유아 정서지능의 구성요인별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E구에서 보육 시설 교수-학습 환경의 질이 상위인 집단 3기관과 하위인 집단 3기관 총 6기관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142명의 신입 원아이다. 이들은 상집단에서 만 3세 유아 39명, 만 4세 유 아 30명, 하집단에서 만 3세 유아 40명, 만 4세 유아 33명으로 상집단은 69 명, 하집단은 73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모든 정서지능 관련 변인들 사회적 능력, 자기조절능력, 기질, 인지능력,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은 유아의 정서지능에 전체 51.7%의 설명력을 보였다. 표준화 계수로 비교해보면 그중 사회적 능력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가장 중요한 변인이 되며, 자기조절능력도 상대적으로 다른 변인들보다 중요한 변인이다. 보육환경 변인은 다른 변인들과는 달리 외적변인임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정서지능에 중요한 변인임을 나타내었다. 2. 유아의 사전 정서지능에서의 상집단과 하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10 개월 후 사후 정서지능에서의 상집단과 하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은 보육 시설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3. 유아 정서지능의 모든 구성요인들은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영향을 받았다. 한편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질적 환경 수준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구성요인별 발달을 알아본 결과,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질 적 환경 수준이 높은 상집단 유아의 정서지능은 4개 구성요인 모두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질적 환경의 높은 질에 영향을 받아 유의한 차이의 발달을 보였으나,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질적 환경 수준이 낮은 하집단 유아의 정서지능은 미미한 점수의 차이를 보이며 높아지거나 낮아졌을 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과 정서지능의 전체 상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 요인별 상관은 보육 시설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환경 요인과 정서지능의 정서의 반영적 조절 요인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한편, 교사-유아 상호작용 환경 요인과 가장 큰 상관을 갖는 유아의 정서 지능이 과연 교사-유아 상호작용 환경의 어떠한 요인에 의한 영향인지 살펴보기 위하여 각각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상하집단에서 교사-유아 긍정적, 부정적 상호작용 범주를 근거로 하여 빈번하게 발생하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들을 빈도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상집단과 하집단 모두 교사-유아 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부정적 상호작용보다 많이 나타났다. 또한 상집단과 하집단 모두 각각의 긍정적, 부정적 상호작용에서 많이 나타난 유형과 적게 나타난 유형이 유사하였다. 즉, 상집단과 하집단 모두에서 교사-유아의 긍정적 상호작용에서는 도움 요청하거나 도움 주기, 미소 짓기, 그리고 허락·칭찬·격려 유형의 상호작용 형태가 많이 나타났고, 교사-유아의 부정적 상호 작용에서는 무관심, 요구나 질문에 대해 단순히 반응하기, 일방적인 지시·명령·통제하기 유형들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와 함께 작업이나 활동하기 상호작용 유형은 상집단에서만 유독 가장 많이 나타났던 교사-유아 긍정적 상호작용 유형이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보육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정서지능 구성요소와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정서지능은 외적인 보육 시설 환경 변화와 교사-유아의 긍정적 상호작용 유형을 통해서 발달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보육 시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여성의 사회 진출과 맞벌이 부부 자녀의 급증으로 인하여 가정과 양육자의 기능과 역할을 대신하며, 사회적 능력, 자기조절능력, 기질, 인지 능력과 같은 유아의 내적 변인과 함께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적변인과는 달리 외적인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은 지원과 변화를 통해 정서 지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울러 정서지능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기질, 자기조절능력, 인지 능력이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어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을 살펴보고,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 요인과 유아의 정서지능 요소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아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보육 시설의 교수 -학습 환경적 변화와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또한 보육 시설의 인적 환경 측면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을 살펴보아 유아의 정서지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교사-유아의 긍정적 상호 작용 환경 조성의 기틀이 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을 수생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자기조절능력, 기질, 인지능력,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전반적인 정서지능 발달은 어떠한가? 3.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 구성요인별 발달은 어떠한가? 1)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의 인식과 표현 발달 정도는 어떠한가? 2)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의 발달 정도는 어떠한가? 3)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적 지식의 활용 능력 발달 정도는 어떠한가? 4)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따라 유아의 정서의 반영적 조절 능력 발달 정도는 어떠한가? 4.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하위 요인과 유아 정서지능의 구성요인별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E구에서 보육 시설 교수-학습 환경의 질이 상위인 집단 3기관과 하위인 집단 3기관 총 6기관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142명의 신입 원아이다. 이들은 상집단에서 만 3세 유아 39명, 만 4세 유 아 30명, 하집단에서 만 3세 유아 40명, 만 4세 유아 33명으로 상집단은 69 명, 하집단은 73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모든 정서지능 관련 변인들 사회적 능력, 자기조절능력, 기질, 인지능력,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은 유아의 정서지능에 전체 51.7%의 설명력을 보였다. 표준화 계수로 비교해보면 그중 사회적 능력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가장 중요한 변인이 되며, 자기조절능력도 상대적으로 다른 변인들보다 중요한 변인이다. 보육환경 변인은 다른 변인들과는 달리 외적변인임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정서지능에 중요한 변인임을 나타내었다. 2. 유아의 사전 정서지능에서의 상집단과 하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10 개월 후 사후 정서지능에서의 상집단과 하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은 보육 시설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3. 유아 정서지능의 모든 구성요인들은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질에 영향을 받았다. 한편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질적 환경 수준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구성요인별 발달을 알아본 결과,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질 적 환경 수준이 높은 상집단 유아의 정서지능은 4개 구성요인 모두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질적 환경의 높은 질에 영향을 받아 유의한 차이의 발달을 보였으나,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질적 환경 수준이 낮은 하집단 유아의 정서지능은 미미한 점수의 차이를 보이며 높아지거나 낮아졌을 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과 정서지능의 전체 상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 요인별 상관은 보육 시설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환경 요인과 정서지능의 정서의 반영적 조절 요인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한편, 교사-유아 상호작용 환경 요인과 가장 큰 상관을 갖는 유아의 정서 지능이 과연 교사-유아 상호작용 환경의 어떠한 요인에 의한 영향인지 살펴보기 위하여 각각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상하집단에서 교사-유아 긍정적, 부정적 상호작용 범주를 근거로 하여 빈번하게 발생하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들을 빈도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의 상집단과 하집단 모두 교사-유아 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부정적 상호작용보다 많이 나타났다. 또한 상집단과 하집단 모두 각각의 긍정적, 부정적 상호작용에서 많이 나타난 유형과 적게 나타난 유형이 유사하였다. 즉, 상집단과 하집단 모두에서 교사-유아의 긍정적 상호작용에서는 도움 요청하거나 도움 주기, 미소 짓기, 그리고 허락·칭찬·격려 유형의 상호작용 형태가 많이 나타났고, 교사-유아의 부정적 상호 작용에서는 무관심, 요구나 질문에 대해 단순히 반응하기, 일방적인 지시·명령·통제하기 유형들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와 함께 작업이나 활동하기 상호작용 유형은 상집단에서만 유독 가장 많이 나타났던 교사-유아 긍정적 상호작용 유형이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보육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정서지능 구성요소와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정서지능은 외적인 보육 시설 환경 변화와 교사-유아의 긍정적 상호작용 유형을 통해서 발달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modem society, many women participate in the business sphere and young children of parents boat working increase through rapidly changing society. Therefore, child-care centers replace functions and roles of home and parents. Child-care centers also might be an important cause, which has an influ...
In modem society, many women participate in the business sphere and young children of parents boat working increase through rapidly changing society. Therefore, child-care centers replace functions and roles of home and parents. Child-care centers also might be an important cause, which has an influence o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along with young children inner cause like social ability, self-control ability, temperament, and cognition ability. Moreover,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which is different from inner causes, could be effective cause that can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support and changes. Despite the importance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de care centers,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that dealt with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by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in a concrete way or examined influence among causes related to emotional intelligence. Therefo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s, and also examine synthetically the rel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emperament, self-control ability and cognition ability. In addition,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basic source for changes and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t child-care centers, in order to contribut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 with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lso,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the key of formation of teacher-young children positive interaction environment that can develop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I established following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emperament, self-control ability, cognition ability and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2. How is the development of general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3. How is the development of constructed causes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1) What is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the young children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s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2) What is the degree of the development of acceleration of thoughts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3) What is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the ability of use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4) What is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reflective control ability of young children emotion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4.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ubordinate causes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and constructed causes of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142 new coming young children who go to 3 high-qualified child-care centers and 3 lower qualified child-care centers, which are located in E-gu in Seoul. The higher qualified group has thirty-nine 5-year-old young children, thirty 6-year-old young children and the lower qualified group has forty 5-year-old young children, thirty-three 6-year-old young children. The following is the result for the former questions. 1. Every emotional intelligence related causes like social ability, self-control ability, temperament, cognition ability, the environment of teaching-learning at child care centers are 51.7% for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If we compared with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he social ability would be the most important changing cause of all and the self-control ability is also important cause. The cause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is an important cause, even though it is outer cause unlike other causes. 2.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r qualified group and the lower qualified group from young children former emotional intelligence is not so big statistically. However,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for later emotional intelligence after 10 months. Therefore, I can say that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is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child-care centers environment. 3. Every constructed cause of emotional intelligence is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 of teaching-learning at child-care centers. As a result of study of development by constructed causes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t child-care centers,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higher qualified group which is better qualified in case of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t child-care centers show meaningful difference for every 4 constructed factors. Bu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lower qualified group shows little difference. 4. Overall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t child-care cente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ppears high. Each correlation of subordinate factors appears the highest correlation. Otherwise, in order to find out what cause has influence on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has the greatest correlation wit the environment of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by the environment of teaching-learning at child-care centers, I analyzed the frequent types of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based on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 range from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each child-care centers. As a result of that, positive interaction appears more than negative interaction from both higher qualified and lower qualified group. Also, both groups have similar types of positive interaction and negative interaction. That is, we can observe the positive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such as helping each other, smiling, approving, praising, encouraging under both groups. Also, we can observe the negative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such as indifference, simple response, one-sided instructions, order, and control simultaneously. However, the type of activities with teacher-young children together appears high only in higher qualified group. I have investigated how teacher-young children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s happened mainly in high and low qualified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t child-care centers related to what kinds of caus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s a result of that,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thoughts acceleration by emotion, use of emotional knowledge, and reflective control of emotion mainly appear in the process of positive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such as interactive activities and helping. There is little relation with constructed caus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negative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such as indifference, simple response for demands and questions. As I examined above, this study would offer the suggestion-that is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could be developed through outer changes of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s and positive interactions of teacher - young children. I concluded since I examined that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ha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vestigated that teacher - young children interactions were related to construction factors.
In modem society, many women participate in the business sphere and young children of parents boat working increase through rapidly changing society. Therefore, child-care centers replace functions and roles of home and parents. Child-care centers also might be an important cause, which has an influence o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along with young children inner cause like social ability, self-control ability, temperament, and cognition ability. Moreover,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which is different from inner causes, could be effective cause that can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support and changes. Despite the importance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de care centers,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that dealt with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by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in a concrete way or examined influence among causes related to emotional intelligence. Therefo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s, and also examine synthetically the rel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emperament, self-control ability and cognition ability. In addition,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basic source for changes and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t child-care centers, in order to contribut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 with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lso,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the key of formation of teacher-young children positive interaction environment that can develop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I established following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emperament, self-control ability, cognition ability and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2. How is the development of general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3. How is the development of constructed causes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1) What is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the young children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s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2) What is the degree of the development of acceleration of thoughts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3) What is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the ability of use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4) What is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reflective control ability of young children emotion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4.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ubordinate causes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and constructed causes of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142 new coming young children who go to 3 high-qualified child-care centers and 3 lower qualified child-care centers, which are located in E-gu in Seoul. The higher qualified group has thirty-nine 5-year-old young children, thirty 6-year-old young children and the lower qualified group has forty 5-year-old young children, thirty-three 6-year-old young children. The following is the result for the former questions. 1. Every emotional intelligence related causes like social ability, self-control ability, temperament, cognition ability, the environment of teaching-learning at child care centers are 51.7% for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If we compared with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he social ability would be the most important changing cause of all and the self-control ability is also important cause. The cause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is an important cause, even though it is outer cause unlike other causes. 2.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r qualified group and the lower qualified group from young children former emotional intelligence is not so big statistically. However,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for later emotional intelligence after 10 months. Therefore, I can say that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is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child-care centers environment. 3. Every constructed cause of emotional intelligence is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 of teaching-learning at child-care centers. As a result of study of development by constructed causes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t child-care centers,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higher qualified group which is better qualified in case of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t child-care centers show meaningful difference for every 4 constructed factors. Bu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lower qualified group shows little difference. 4. Overall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t child-care cente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ppears high. Each correlation of subordinate factors appears the highest correlation. Otherwise, in order to find out what cause has influence on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has the greatest correlation wit the environment of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by the environment of teaching-learning at child-care centers, I analyzed the frequent types of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based on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 range from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each child-care centers. As a result of that, positive interaction appears more than negative interaction from both higher qualified and lower qualified group. Also, both groups have similar types of positive interaction and negative interaction. That is, we can observe the positive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such as helping each other, smiling, approving, praising, encouraging under both groups. Also, we can observe the negative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such as indifference, simple response, one-sided instructions, order, and control simultaneously. However, the type of activities with teacher-young children together appears high only in higher qualified group. I have investigated how teacher-young children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s happened mainly in high and low qualified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t child-care centers related to what kinds of caus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s a result of that,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thoughts acceleration by emotion, use of emotional knowledge, and reflective control of emotion mainly appear in the process of positive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such as interactive activities and helping. There is little relation with constructed caus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negative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such as indifference, simple response for demands and questions. As I examined above, this study would offer the suggestion-that is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could be developed through outer changes of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s and positive interactions of teacher - young children. I concluded since I examined that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ha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vestigated that teacher - young children interactions were related to construction factors.
Keyword
#유아교육 보육 시설 교수학습 환경 정서지능 child-care center emotional intelligence
학위논문 정보
저자
장현주
학위수여기관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유아교육학과
발행연도
2004
총페이지
ⅷ, 175p.
키워드
유아교육 보육 시설 교수학습 환경 정서지능 child-care center emotional intellige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