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연령과 발달에 적합한 유아동작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한 후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S유치원에서 4, 5세를 대상으로 원아 4세 30명, 5세 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04년 8월 1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약 9주 동안 동작교육활동을 실시하여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 발달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연령과 발달에 적합한 유아동작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한 후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S유치원에서 4, 5세를 대상으로 원아 4세 30명, 5세 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04년 8월 1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약 9주 동안 동작교육활동을 실시하여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 발달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작교육활동은 유아의 성별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보면 남아와 여아 집단모두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의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사후검사가 사전검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별 평균차를 살펴보면 남아가 여아보다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이 더 높게 향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동작교육활동은 유아의 연령별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보면 4세아 와 5세아 집단 모두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의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사후검사가 사친검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연령별 평균차를 살펴보면 5세아 가 4세아 보다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이 더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교육활동이 성별, 연령별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어 현장에서는 가능하면 유아기부터 성별, 연령별로 발달에 적합한 동작교육활동을 통해 사회성 발달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한 제언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있어 실험처치를 실시한 경우를 통해 본 자료를 분석하였는데 추후 프로그램 적용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집단 간에 차이를 비교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교사보고에 의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는데 교사의 주관적 평가 외에도 여러 사람에 의한 관찰자비교를 통한 분석, 아동행동변화 등의 직접 기술 및 객관적 평가에 의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연령과 발달에 적합한 유아동작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한 후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S유치원에서 4, 5세를 대상으로 원아 4세 30명, 5세 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04년 8월 1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약 9주 동안 동작교육활동을 실시하여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 발달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작교육활동은 유아의 성별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보면 남아와 여아 집단모두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의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사후검사가 사전검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별 평균차를 살펴보면 남아가 여아보다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이 더 높게 향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동작교육활동은 유아의 연령별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보면 4세아 와 5세아 집단 모두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의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사후검사가 사친검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연령별 평균차를 살펴보면 5세아 가 4세아 보다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이 더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교육활동이 성별, 연령별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어 현장에서는 가능하면 유아기부터 성별, 연령별로 발달에 적합한 동작교육활동을 통해 사회성 발달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한 제언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있어 실험처치를 실시한 경우를 통해 본 자료를 분석하였는데 추후 프로그램 적용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집단 간에 차이를 비교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교사보고에 의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는데 교사의 주관적 평가 외에도 여러 사람에 의한 관찰자비교를 통한 분석, 아동행동변화 등의 직접 기술 및 객관적 평가에 의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ecute systematically the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age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the fiel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n compare and measure the influence of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ity develop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ecute systematically the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age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the fiel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n compare and measure the influence of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it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kindergartners of age 4 and 30 kindergartners of age 5 selected from S kindergarte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lso,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it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execu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during about 9 weeks from August 16 to October 15, 2004, and then compare and analyze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ffect of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it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y gender, the boy group and the girl group all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In both groups,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In the mean difference by gender, boys were enhanced more highly than girls in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Second, in the effect of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it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y age, the age 4 group and the age 5 group all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In both groups,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In the mean difference by age, the age 5 group were enhanced more highly than the age 4 group in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Therefore, because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have the effect by gender and age, we propose that it should improve sociality development through the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appropriate from early childhood as much as possible.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measured the program effect of the expenmental group with experimental treatment, whereas it is need further studies that should compare the experimental group with experimental treatment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experimental treatment. Second, this study measured the program effect through using the questionnaire by the teacher report, whereas further studies should be executed by the analysis through observers' comparison, the direct description about children behavior change, and the objective evaluation, in addition with the subjective evaluation by the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ecute systematically the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age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the fiel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n compare and measure the influence of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it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kindergartners of age 4 and 30 kindergartners of age 5 selected from S kindergarte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lso,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it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execu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during about 9 weeks from August 16 to October 15, 2004, and then compare and analyze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ffect of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it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y gender, the boy group and the girl group all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In both groups,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In the mean difference by gender, boys were enhanced more highly than girls in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Second, in the effect of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it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y age, the age 4 group and the age 5 group all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In both groups,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In the mean difference by age, the age 5 group were enhanced more highly than the age 4 group in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Therefore, because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have the effect by gender and age, we propose that it should improve sociality development through the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appropriate from early childhood as much as possible.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measured the program effect of the expenmental group with experimental treatment, whereas it is need further studies that should compare the experimental group with experimental treatment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experimental treatment. Second, this study measured the program effect through using the questionnaire by the teacher report, whereas further studies should be executed by the analysis through observers' comparison, the direct description about children behavior change, and the objective evaluation, in addition with the subjective evaluation by the teachers.
Keyword
#동작교육활동 유아 사회성 physical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