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의 흥미영역 중 유아들이 어떤 영역을 선호하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흥미영역의 선호가 성별, 연령별, 학기초와 학기말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흥미에 기초한 효율적인 흥미영역의 구성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유아들이 정신적ㆍ신체적으로 보다 바람직한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가 선호하는 흥미영역(본 연구에서는 8개 흥미영역)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3. 유아의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가 학기초와 학기말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에서 선정한 흥미영역은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 수학ㆍ조작놀이 영역, 과학 영역, 컴퓨터 영역, 조형 영역, 역할놀이 영역, 쌓기놀이 영역의 8개 영역이다. 8개 흥미영역은 유치원에서 실내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자유롭게 유아들이 선택하여 활동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진구 S유치원에 다니는 유아들로서 남자 25명, 여자 25명이며, 이중에서 만 4세 유아가 25명, 만 5세 유아가 25명이었다. 각 흥미영역에 대한 유아의 선호 조사방법은 유아들이 자유선택활동이 시작되기 전에, 자유선택활동 계획표에 자신이 선택한 활동영역에 ○ 표시를 하고, 놀이 계획이 끝나면 유아는 각자 계획한 내용에 따라 놀이를 실행하였다. 하루의 일과가 끝난 후인 귀가 바로 직전에 자신이 활동한 영역에 실행 유무를 자유선택활동 계획표에 ◎ 표시로 놀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유아들이 선택하는 영역의 수에 대한 제한은 하지 않았다. 본 연구자는 하루 일과가 끝난 뒤 유아들이 기록한 자유선택활동 계획표를 모아서, 유아 개인별 월별 자유선택활동 상황표에 기록하였다. 조사기간은 2002년 3월 25일부터 2002년 6월 30일까지였으며 토요일과 국경일, 여러 가지 사정을 제외하고 실제 자유선택활동을 실시한 일수는 61일간이었다.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가 성별, 연령별, 학기초와 학기말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의 흥미영역 중 유아들이 어떤 영역을 선호하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흥미영역의 선호가 성별, 연령별, 학기초와 학기말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흥미에 기초한 효율적인 흥미영역의 구성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유아들이 정신적ㆍ신체적으로 보다 바람직한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가 선호하는 흥미영역(본 연구에서는 8개 흥미영역)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3. 유아의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가 학기초와 학기말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에서 선정한 흥미영역은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 수학ㆍ조작놀이 영역, 과학 영역, 컴퓨터 영역, 조형 영역, 역할놀이 영역, 쌓기놀이 영역의 8개 영역이다. 8개 흥미영역은 유치원에서 실내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자유롭게 유아들이 선택하여 활동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진구 S유치원에 다니는 유아들로서 남자 25명, 여자 25명이며, 이중에서 만 4세 유아가 25명, 만 5세 유아가 25명이었다. 각 흥미영역에 대한 유아의 선호 조사방법은 유아들이 자유선택활동이 시작되기 전에, 자유선택활동 계획표에 자신이 선택한 활동영역에 ○ 표시를 하고, 놀이 계획이 끝나면 유아는 각자 계획한 내용에 따라 놀이를 실행하였다. 하루의 일과가 끝난 후인 귀가 바로 직전에 자신이 활동한 영역에 실행 유무를 자유선택활동 계획표에 ◎ 표시로 놀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유아들이 선택하는 영역의 수에 대한 제한은 하지 않았다. 본 연구자는 하루 일과가 끝난 뒤 유아들이 기록한 자유선택활동 계획표를 모아서, 유아 개인별 월별 자유선택활동 상황표에 기록하였다. 조사기간은 2002년 3월 25일부터 2002년 6월 30일까지였으며 토요일과 국경일, 여러 가지 사정을 제외하고 실제 자유선택활동을 실시한 일수는 61일간이었다.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가 성별, 연령별, 학기초와 학기말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반복측정 t검증을 하였다. 연령은 만 4세, 만 5세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실내 자유선택활동의 8가지 영역 중에서 조형 영역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그 다음은 쌓기놀이 영역, 역할놀이 영역, 컴퓨터 영역, 수학ㆍ조작놀이 영역,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을 선호하였다. 반면, 과학 영역을 가장 기피하였다. 한편, 실내 자유선택활동영역에서 만 4세 남아와 여아들이 가장 선호하는 흥미영역은 조형 영역으로 나타났다. 만 4세 남아의 경우 과학 영역,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에서 참여도가 낮았으며, 만 4세 여아는 과학 영역에서 참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 5세 남아들이 가장 선호하는 흥미영역은 쌓기놀이 영역이었으며, 만 5세 여아들이 가장 선호하는 흥미영역은 조형 영역으로 나타났다. 만 5세 남아의 경우 책보기 영역, 언어 영역에서 참여도가 낮았으며, 만 5세 여아는 과학 영역에서 참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의 차이는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 컴퓨터 영역, 역할놀이 영역, 쌓기놀이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수학ㆍ조작놀이 영역, 과학 영역, 조형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연령에 따라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도는 차이가 없었다. 만 4세 유아의 선호는 조형 영역, 쌓기놀이 영역, 역할놀이 영역, 컴퓨터 영역, 수학ㆍ조작놀이 영역,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이며, 가장 기피하는 영역은 과학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만 5세 유아의 선호는 조형 영역, 역할놀이 영역, 쌓기놀이 영역, 컴퓨터 영역, 수학ㆍ조작놀이 영역,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이며, 가장 기피하는 영역은 과학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 수학ㆍ조작놀이 영역에서는 학기초보다 학기말에 보다 많은 참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과학 영역, 역할놀이 영역, 쌓기놀이 영역에서도 학기초와 학기말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기초와 학기말에 대한 흥미영역의 선호는 조형 영역, 쌓기놀이 영역, 역할놀이 영역, 컴퓨터 영역, 수학ㆍ조작놀이 영역,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 과학 영역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컴퓨터 영역과 조형 영역에서는 학기초보다 학기말에 참여 일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각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가 학기초보다는 학기말에 선호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유아는 자신이 원하는 놀이활동을 어느 영역에서 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자료는 어느 영역에서 얻을 수 있는 가를 점차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유아들이 학기초에 배치했던 기본 영역에 점점 익숙하게 되어 흥미를 잃게되면 교사는 새로운 흥미영역을 추가하고 실내 환경을 변화시켜야함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또한 만 4세반, 만 5세반 유아를 위하여 탐색 영역을 수학ㆍ과학 활동으로 세분화하여 구성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의 흥미영역 중 유아들이 어떤 영역을 선호하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흥미영역의 선호가 성별, 연령별, 학기초와 학기말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흥미에 기초한 효율적인 흥미영역의 구성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유아들이 정신적ㆍ신체적으로 보다 바람직한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가 선호하는 흥미영역(본 연구에서는 8개 흥미영역)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3. 유아의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가 학기초와 학기말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에서 선정한 흥미영역은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 수학ㆍ조작놀이 영역, 과학 영역, 컴퓨터 영역, 조형 영역, 역할놀이 영역, 쌓기놀이 영역의 8개 영역이다. 8개 흥미영역은 유치원에서 실내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자유롭게 유아들이 선택하여 활동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진구 S유치원에 다니는 유아들로서 남자 25명, 여자 25명이며, 이중에서 만 4세 유아가 25명, 만 5세 유아가 25명이었다. 각 흥미영역에 대한 유아의 선호 조사방법은 유아들이 자유선택활동이 시작되기 전에, 자유선택활동 계획표에 자신이 선택한 활동영역에 ○ 표시를 하고, 놀이 계획이 끝나면 유아는 각자 계획한 내용에 따라 놀이를 실행하였다. 하루의 일과가 끝난 후인 귀가 바로 직전에 자신이 활동한 영역에 실행 유무를 자유선택활동 계획표에 ◎ 표시로 놀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유아들이 선택하는 영역의 수에 대한 제한은 하지 않았다. 본 연구자는 하루 일과가 끝난 뒤 유아들이 기록한 자유선택활동 계획표를 모아서, 유아 개인별 월별 자유선택활동 상황표에 기록하였다. 조사기간은 2002년 3월 25일부터 2002년 6월 30일까지였으며 토요일과 국경일, 여러 가지 사정을 제외하고 실제 자유선택활동을 실시한 일수는 61일간이었다.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가 성별, 연령별, 학기초와 학기말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반복측정 t검증을 하였다. 연령은 만 4세, 만 5세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실내 자유선택활동의 8가지 영역 중에서 조형 영역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그 다음은 쌓기놀이 영역, 역할놀이 영역, 컴퓨터 영역, 수학ㆍ조작놀이 영역,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을 선호하였다. 반면, 과학 영역을 가장 기피하였다. 한편, 실내 자유선택활동영역에서 만 4세 남아와 여아들이 가장 선호하는 흥미영역은 조형 영역으로 나타났다. 만 4세 남아의 경우 과학 영역,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에서 참여도가 낮았으며, 만 4세 여아는 과학 영역에서 참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 5세 남아들이 가장 선호하는 흥미영역은 쌓기놀이 영역이었으며, 만 5세 여아들이 가장 선호하는 흥미영역은 조형 영역으로 나타났다. 만 5세 남아의 경우 책보기 영역, 언어 영역에서 참여도가 낮았으며, 만 5세 여아는 과학 영역에서 참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의 차이는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 컴퓨터 영역, 역할놀이 영역, 쌓기놀이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수학ㆍ조작놀이 영역, 과학 영역, 조형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연령에 따라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도는 차이가 없었다. 만 4세 유아의 선호는 조형 영역, 쌓기놀이 영역, 역할놀이 영역, 컴퓨터 영역, 수학ㆍ조작놀이 영역,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이며, 가장 기피하는 영역은 과학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만 5세 유아의 선호는 조형 영역, 역할놀이 영역, 쌓기놀이 영역, 컴퓨터 영역, 수학ㆍ조작놀이 영역,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이며, 가장 기피하는 영역은 과학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 수학ㆍ조작놀이 영역에서는 학기초보다 학기말에 보다 많은 참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과학 영역, 역할놀이 영역, 쌓기놀이 영역에서도 학기초와 학기말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기초와 학기말에 대한 흥미영역의 선호는 조형 영역, 쌓기놀이 영역, 역할놀이 영역, 컴퓨터 영역, 수학ㆍ조작놀이 영역, 언어 영역, 책보기 영역, 과학 영역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컴퓨터 영역과 조형 영역에서는 학기초보다 학기말에 참여 일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각 흥미영역에 대한 선호가 학기초보다는 학기말에 선호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유아는 자신이 원하는 놀이활동을 어느 영역에서 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자료는 어느 영역에서 얻을 수 있는 가를 점차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유아들이 학기초에 배치했던 기본 영역에 점점 익숙하게 되어 흥미를 잃게되면 교사는 새로운 흥미영역을 추가하고 실내 환경을 변화시켜야함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또한 만 4세반, 만 5세반 유아를 위하여 탐색 영역을 수학ㆍ과학 활동으로 세분화하여 구성해야 할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