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패드 기반 학습 프로그램에서 멀티미디어 학습에 관한 인지이론적 원리의 적용가능성 탐색: 멀티미디어 원리와 개인차 원리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he Cognitive Theory of Multimedia Learning for Smart Pad Based Learning with a Focus on Principles of Multimedia and Individual Differenc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12, 2011년, pp.986 - 997  

김보은 ((주)유비온) ,  이예경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에 대한 설계 원리 중 멀티미디어 원리와 개인차 원리가 스마트패드 기반 콘텐츠에서도 적용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텍스트 기반 콘텐츠와 멀티미디어 원리(텍스트+이미지)를 적용한 콘텐츠를 각각 개발하고, 학습자들을 사전지식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한 다음, 각 집단을 양분하여 두 종류의 스마트 패드용 콘텐츠를 학습하게 하였다. 각 집단의 인지부하 정도와 학업성취도를 측정한 결과, 멀티미디어 원리와 개인차 원리는 인지부하에 유의한 효과를 가져오지 못하였으나, 학업성취도 차원에서는 모두 유의한 효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PC 모니터보다 제한된 스마트 패드의 화면 크기, 이미지의 성격, 그리고 학습목표의 성격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지며, 향후 스마트 패드용 콘텐츠 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ognitive theory of Multimedia learning in a Smart Pad environment. Specifically, the viability of the multimedia principle and individual difference principle was tested for this study. To accomplish thi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패드 기반 모바일 기기 학습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원리와 사전지식에 따른 개인차 원리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모바일 학습 플랫폼 중 스마트 패드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원리와 개인차 원리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부하에 있어 멀티미디어 원리의 적용, 그리고 멀티미디어 원리 적용과 사전지식 수준 간의 상호작용(개인차 원리)에 의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패드 기반 학습에서 멀티미디어 원리와 개인차 원리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인지부하와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인지부하 정도는 설문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과제를 수행하면서 느끼는 스트레스를 측정하였으며, 류지헌과 임지현[25]의 인지부하 측정 설문도구를 활용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스마트 패드 기반 모바일 학습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사용 여부(멀티미디어 원리)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 첫째,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학습과 관련된 원리로서 반복성 효과, 주의분산 효과 등 다양한 원리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멀티미디어 원리와 개인차 원리에 연구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다양한 학습원리와의 상호작용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한계가 따랐다. 둘째, 콘텐츠의 내용과 학습평가가 주로 지식습득과 개념이해에 한정되어 있어 원리의 적용, 통합적 사고, 창의적 사고 등 고차원적 학습목표를 지향하는 콘텐츠에 본 연구 결과를 적용 하기 어려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성격과 간결성·정교성에 따라 다양한 학습효과를 분석하지 못하여 모바일 환경의 특성과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최적의 이미지 제작 방식을 제시하는 데 제약이 있었다.
  • 첫째, 스마트 패드 기반 모바일 학습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사용 여부(멀티미디어 원리)가 인지부하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이패드는 2011년에 몇 대가 판대될 것으로 예상하는가? 정보화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스마트 기기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모바일 성능을 갖춘 스마트 기기 중 하나인 아이패드는 발매 2개월 만에 327만 개가 판매되었 으며, 2011년에는 2천8백만 개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1].이와 같은 추세 속에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모바일 러닝이 주된 학습 방법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매우커졌으며, 미국 등지에서는 이미 교과서의 보조도구로써 아이패드(iPad)를 비롯한 스마트 기기의 이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2].
모바일 러닝으로 인한 문제점은? 그런데, 변화하는 첨단 매체에 적응해 나가기 위해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할 경우, 학습 원리에 기반한 개발보다 첨단 기기의 기능에 중점을 둔 ‘기술 중심적’ 개발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다[3][4]. 기술 중심적 개발이란, 매체 특유의 속성, 학습자 특성, 학습내용, 그리고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보다, 새로운 매체의 첨단 기능을 활용하거나 매체의 사용 자체에 목적을 둔 콘텐츠 개발 방식을 뜻한다.
기술 중심적 개발이란 무엇인가? 그런데, 변화하는 첨단 매체에 적응해 나가기 위해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할 경우, 학습 원리에 기반한 개발보다 첨단 기기의 기능에 중점을 둔 ‘기술 중심적’ 개발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다[3][4]. 기술 중심적 개발이란, 매체 특유의 속성, 학습자 특성, 학습내용, 그리고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보다, 새로운 매체의 첨단 기능을 활용하거나 매체의 사용 자체에 목적을 둔 콘텐츠 개발 방식을 뜻한다. 기존 매체의 콘텐츠를 새로운 매체로 그대로 옮기는 식의 기술 중심적 접근은 학습효과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ttp://www.independent.co.uk/news/business/news/apple-is-expected-to-sell--28-million-ipads-in-2011-2077713.html 

  2. 임정훈, "모바일 기반 스마트 러닝: 개념 탐색과 대학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춘계학술대회, 2011. 

  3. http://www.udel.edu/PR/UDaily/2008/jul/multimedia071107.html 

  4. 박성억, "공공기관 교육용 콘텐츠의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디자인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444-453, 2010. 

  5. Q. Sun, C. Ardito, P. Buono, M. Costabile, R. Lanzilotti, T. Pederson, and A. Piccinno, "Experiencing the past through the senses: An m-learning game at archaeological parks source," IEEE Multimedia, Vol.15, pp.76-81, 2008. 

  6. 원강식, "증강현실을 이용한 복원영상의 박물관 교육분야 활용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0권, 제6호, pp.205-212, 2010. 

  7. R. E. Mayer, Multimedia Learning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8. R. E. Mayer and J. K. Gallini, "When is an illustration worth ten thousand words?,"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pp.715-726, 1990. 

  9. D. Kim and D. Kim, "Effect of screen size on multimedia vocabulary learning," British J. of Multimedia Learning, (Early view article) Article first published online: 2 Dec, 2010, DOI: 10.1111/j.1467-8535.2010.01145.x 

  10. M. Albers and L. Kim, "Information design for the small-screen interface: an overview of web design issues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Technical Communications, Vol.49, No.1, pp.45-60, 2001. 

  11. P. Chandler and J. Sweller, "Cognitive load theory and the format of instruction," Cognition and Instruction, Vol.8, No.4, pp.293-332, 1991. 

  12. B. Ballard, Designing the Mobile User Experience, John Wiley & Sons, 2007. 

  13. A. D. Baddeley, Working Memory. Clarendon, 1986. 

  14. A. D. Baddeley, "The episodic buffer: A new component of working memory?," Trends in Cognitive Science, Vol.4, pp.417-423. 

  15. A. D. Baddeley, Human Memory, Allyn & Bacon Publishing Company, 1999. 

  16. R. E. Mayer and R. W. Anderson, "The instructive animation: Helping students build connections between words and pictures in multimedia learning,"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4, No.4, pp.444-452, 1992. 

  17. S. M. Fiore, H. M. Cuevas, and R. L. Oser, "A picture is worth a thousand connections: the facilitative effects of diagrams on mental model development and task performa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19, No.2, pp.185-199, 2003. 

  18. K. R. Butcher, "Learning from text with diagrams: Promoting mental model development and inference generation,"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98, No.1, pp.182-197, 2006. 

  19. R. E. Mayer, "Multimedia learning: Are we asking the right questions," Educational Psychologist, Vol.32, No.1, pp.1-19, 1997. 

  20. S. Kalyuga, P. Ayres, P. Chandler, and J. Sweller, "The expertise reversal effect," Educational Psychologist, Vol.35, No.1, pp.23-31, 2003. 

  21. K. S. Byrd and B. S. Caldwell, "From UMPCs to cell phones: How does diminishing screen real estate affect screen access and working memory?,"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Annual Meeting Proceedings, Vol.53, No.15, pp.960-964, 2009. 

  22. D. Churchill, "Conceptual model learning objects and design recommendations for small screen,"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14, No.1, pp.203-216, 2011. 

  23. K. J. Kim, S. Sundar, and E. Park, "The effects of screen-size and communication modality on psychology of mobile device users," Proceedings of the 2011 annual conference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1207-1212, 2011. 

  24. M. Sharples, J. Taylor, and G. Vavoula, "A theory of learning for the mobile age," In R. Andrews & C. Haythornthwaite (eds.) "The Sage Handbook of E-learning Research," London: Sage, pp.221-247, 2007. 

  25. 류지헌, 임지현, "인지부하 측정을 위한 구인의 탐색 및 타당화,"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5권, 제 2호, pp.1-27, 2007. 

  26. L. Chen, X, Xie, X. Fan, W. Ma, H. Zhang, and H. Zhou, "A visual attention model for adapting images on small displays," ACM Multimedia Systems Journal, Vol.9, pp.353-364, 2003. 

  27. N. Maniar, E. Bennett, S. Hand, and G. Allan, "The effect of mobile phone screen size on video based learning," J. of Software, Vol.3, No.4, pp.51-61, 2008. 

  28. M. Petre, and T. R. G. Greene, "Learning to read graphics: Some evidence that "seeing" an information display is an acquired skill," J. of Visual Languages and Computing, Vol.4, No.1, pp.55-70, 1993. 

  29. R. Bruunken, J. L. Plass, and D. Leutner, "Direct measurement of cognitive load in multimedia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Vol.38, No.1, pp.53-61, 2003. 

  30. Y. Lee, "Learning outcomes of online discussions: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vicarious interactions and higher order thinking," J.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26, No.4, pp.191-221,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