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와 요리활동이 유아의 편식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편식에 관한 동화가 유아의 편식해소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편식에 관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편식해소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편식에 관한 동화와 요리활동이 유아의 편식해소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설정한 실험대상은, 만 3,4,5세로 구성된 유치원 원아 중에서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선정된 편식성이 심한 유아 15명이다. 실험처치는 동화, 요리활동, 동화 및 요리활동 3개 집단으로 나누어 6주간 11차시 활동을 통해 유아의 식품편식, 편식행동, 식 습관에 대한 부모의 인식조사를 통해 나타날 반응을 SPSS기초통계처리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설문조사를 통해 밝혀진 유아의 편식성향은 생선튀김, 완두콩, 김치, 당근, 감자, 방울토마토 순으로 편식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나타난 유아의 편식성에 대해 본 연구 결과는 각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편식에 관한 동화가 미치는 영향(사전 M=38.4, SD=3.78; 사후 M=23.6, SD=3.36)은 유아의 편식해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편식에 관한 요리활동이 미치는 영향(사전 M=42.2, SD=1.64; 사후 M=21.6, SD=1.81)으로 유아의 편식해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편식에 관한 동화와 요리의 통합활동이 미치는 영향(사전 M=37.4, SD=1.82; 사후 M=16.2,50=0.84)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의 편식성향에 미치는 영향은 동화활동집단(M=14.8)이나 요리활동집단(M=20.8)보다는 동화와 요리의 통합활동집단(M=21.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유아들의 식품에 대한 편식, 편식행동, 식 습관에도 동화와 요리의 통합활동이 더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들의 식 습관이나 편식행동은 올 바른 습관형성에 도움을 주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이며 다양한 동화활동과 요리활동을 통합적으로 지속적인 활동이 필요하다. 한편 논의 사항으로 차후 연구에서는 많은 대상과 집단을 선정하여 유아들의 도시와 농촌 등 지역 간의 편식성향을 조사하여 이상 같은 연구를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그밖에도 유아들의 편식지도는 흥미, 발달특성, ...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와 요리활동이 유아의 편식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편식에 관한 동화가 유아의 편식해소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편식에 관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편식해소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편식에 관한 동화와 요리활동이 유아의 편식해소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설정한 실험대상은, 만 3,4,5세로 구성된 유치원 원아 중에서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선정된 편식성이 심한 유아 15명이다. 실험처치는 동화, 요리활동, 동화 및 요리활동 3개 집단으로 나누어 6주간 11차시 활동을 통해 유아의 식품편식, 편식행동, 식 습관에 대한 부모의 인식조사를 통해 나타날 반응을 SPSS기초통계처리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설문조사를 통해 밝혀진 유아의 편식성향은 생선튀김, 완두콩, 김치, 당근, 감자, 방울토마토 순으로 편식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나타난 유아의 편식성에 대해 본 연구 결과는 각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편식에 관한 동화가 미치는 영향(사전 M=38.4, SD=3.78; 사후 M=23.6, SD=3.36)은 유아의 편식해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편식에 관한 요리활동이 미치는 영향(사전 M=42.2, SD=1.64; 사후 M=21.6, SD=1.81)으로 유아의 편식해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편식에 관한 동화와 요리의 통합활동이 미치는 영향(사전 M=37.4, SD=1.82; 사후 M=16.2,50=0.84)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의 편식성향에 미치는 영향은 동화활동집단(M=14.8)이나 요리활동집단(M=20.8)보다는 동화와 요리의 통합활동집단(M=21.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유아들의 식품에 대한 편식, 편식행동, 식 습관에도 동화와 요리의 통합활동이 더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들의 식 습관이나 편식행동은 올 바른 습관형성에 도움을 주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이며 다양한 동화활동과 요리활동을 통합적으로 지속적인 활동이 필요하다. 한편 논의 사항으로 차후 연구에서는 많은 대상과 집단을 선정하여 유아들의 도시와 농촌 등 지역 간의 편식성향을 조사하여 이상 같은 연구를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그밖에도 유아들의 편식지도는 흥미, 발달특성,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요리활동과 더불어 음식소꿉놀이, 문학적 활동, 역할놀이, 그림책활동, 음식관련 영화 시청 등의 다양한 통합 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교사 주도적인 활동보다는 유아들이 직접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활동, 환경을 조성, 바른 식 습관이 생활화되고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교수학습지도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와 요리활동이 유아의 편식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편식에 관한 동화가 유아의 편식해소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편식에 관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편식해소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편식에 관한 동화와 요리활동이 유아의 편식해소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설정한 실험대상은, 만 3,4,5세로 구성된 유치원 원아 중에서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선정된 편식성이 심한 유아 15명이다. 실험처치는 동화, 요리활동, 동화 및 요리활동 3개 집단으로 나누어 6주간 11차시 활동을 통해 유아의 식품편식, 편식행동, 식 습관에 대한 부모의 인식조사를 통해 나타날 반응을 SPSS기초통계처리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설문조사를 통해 밝혀진 유아의 편식성향은 생선튀김, 완두콩, 김치, 당근, 감자, 방울토마토 순으로 편식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나타난 유아의 편식성에 대해 본 연구 결과는 각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편식에 관한 동화가 미치는 영향(사전 M=38.4, SD=3.78; 사후 M=23.6, SD=3.36)은 유아의 편식해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편식에 관한 요리활동이 미치는 영향(사전 M=42.2, SD=1.64; 사후 M=21.6, SD=1.81)으로 유아의 편식해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편식에 관한 동화와 요리의 통합활동이 미치는 영향(사전 M=37.4, SD=1.82; 사후 M=16.2,50=0.84)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의 편식성향에 미치는 영향은 동화활동집단(M=14.8)이나 요리활동집단(M=20.8)보다는 동화와 요리의 통합활동집단(M=21.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유아들의 식품에 대한 편식, 편식행동, 식 습관에도 동화와 요리의 통합활동이 더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들의 식 습관이나 편식행동은 올 바른 습관형성에 도움을 주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이며 다양한 동화활동과 요리활동을 통합적으로 지속적인 활동이 필요하다. 한편 논의 사항으로 차후 연구에서는 많은 대상과 집단을 선정하여 유아들의 도시와 농촌 등 지역 간의 편식성향을 조사하여 이상 같은 연구를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그밖에도 유아들의 편식지도는 흥미, 발달특성,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요리활동과 더불어 음식소꿉놀이, 문학적 활동, 역할놀이, 그림책활동, 음식관련 영화 시청 등의 다양한 통합 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교사 주도적인 활동보다는 유아들이 직접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활동, 환경을 조성, 바른 식 습관이 생활화되고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교수학습지도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story and cooking activities on the solution to an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The research problem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influence of story on the solution to an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2. How is t...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story and cooking activities on the solution to an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The research problem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influence of story on the solution to an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2. How is the influence of cooking activity on the solution to an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3. How is the influence of story and cooking activity combined on the solution to an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5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aged 3, 4 and 5, who selected to tendency of unbalanced diet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s from their parents The experimental subjects ar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of story, cooking activity, and a nursery story and cooking activity combined, and their activities are examined 11 times for 6 weeks. The responses to their unbalanced diet, their activities toward an unbalanced diet and the examination of their patents' recognition of their diet habits are analysed by the basic statistical method through SP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tendency toward an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showed that they prefer fried fish, peas, kimchi, carrots, potatoes and small round tomatoes in this order. The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the questionnaires above, are spec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each research problem presented above: First, the influence of story on the unbalanced diet (Pre-test M=38.4, SD=31.64; Post-test M=21.6, SB=1.81) Proved to be effective in solving the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Second, the influence of cooking activity on the unbalanced diet (Pre-test M=42.2, SD=3.78; Post-test M=23.6, SD=3.36) proved to be effective in solving the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Third, the influence of story and cooking activity combined on the unbalanced diet (Pre-test M=37.4, SD=1.82; Post-test M=16.2, SD=0.84) proved to be effective in solving the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The influence of an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was shown stronger in the groups of both story and cooking activity (M=21.2) than in the story group (M=14.8) or in the group of cooking activity (M=20.8) alone. The influence of story and cooking activity combined on the tendency toward unbalanced diet, the activity of unbalanced diet, and diet habits proved more positive than that of either the story or the cooking activity.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bove are the following conclusions derived. First, in order to help the preschool children form the right habit in eating food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a variety of long-term and sustaining activities of story and coking combined.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tendencies of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living in the rural areas and the cities requires further study exemplifying a lot more subjects and groups than in the present study. Third,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guide the preschool children's eating habits a variety of programs integrating activities of playing with food, literary activities, role-plays, activities of playing with picture books and movie-watching involving food are necessary as well as cooking activities concerned with interests,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district society. La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hich provide the preschool children with the activities and the environment where they form the habit of eating for themselves rather than being controlled by their teachers, which is monotonous and uniform in learning. and come to the right eating habits naturally and make those their living habits.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story and cooking activities on the solution to an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The research problem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influence of story on the solution to an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2. How is the influence of cooking activity on the solution to an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3. How is the influence of story and cooking activity combined on the solution to an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5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aged 3, 4 and 5, who selected to tendency of unbalanced diet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s from their parents The experimental subjects ar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of story, cooking activity, and a nursery story and cooking activity combined, and their activities are examined 11 times for 6 weeks. The responses to their unbalanced diet, their activities toward an unbalanced diet and the examination of their patents' recognition of their diet habits are analysed by the basic statistical method through SP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tendency toward an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showed that they prefer fried fish, peas, kimchi, carrots, potatoes and small round tomatoes in this order. The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the questionnaires above, are spec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each research problem presented above: First, the influence of story on the unbalanced diet (Pre-test M=38.4, SD=31.64; Post-test M=21.6, SB=1.81) Proved to be effective in solving the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Second, the influence of cooking activity on the unbalanced diet (Pre-test M=42.2, SD=3.78; Post-test M=23.6, SD=3.36) proved to be effective in solving the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Third, the influence of story and cooking activity combined on the unbalanced diet (Pre-test M=37.4, SD=1.82; Post-test M=16.2, SD=0.84) proved to be effective in solving the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The influence of an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was shown stronger in the groups of both story and cooking activity (M=21.2) than in the story group (M=14.8) or in the group of cooking activity (M=20.8) alone. The influence of story and cooking activity combined on the tendency toward unbalanced diet, the activity of unbalanced diet, and diet habits proved more positive than that of either the story or the cooking activity.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bove are the following conclusions derived. First, in order to help the preschool children form the right habit in eating food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a variety of long-term and sustaining activities of story and coking combined.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tendencies of unbalanced diet of the preschool children living in the rural areas and the cities requires further study exemplifying a lot more subjects and groups than in the present study. Third,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guide the preschool children's eating habits a variety of programs integrating activities of playing with food, literary activities, role-plays, activities of playing with picture books and movie-watching involving food are necessary as well as cooking activities concerned with interests,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district society. La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hich provide the preschool children with the activities and the environment where they form the habit of eating for themselves rather than being controlled by their teachers, which is monotonous and uniform in learning. and come to the right eating habits naturally and make those their living habi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