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채소를 주제로 한 유아대상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etary Education to Improve the Vegetable Intake of Preschooler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0 no.1, 2014년, pp.26 - 35  

이미숙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prescehoolers to improve their vegetable intakes. In this study, 134 mothers of preschoolers were surveyed about the problem of unbalanced food habits in children.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육은 각 차시별 놀이활동과 요리활동의 체험활동으로 진행하도록 계획하고 매 차시마다 채소와 관련된 교육 주제를 선정하여 채소와 친근해지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체험하는 활동 위주로 구성되어 건강한 식행동을 실천하고 바람직한 식태도가 증가되도록 동기부여를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유아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유아들의 식습관 문제를 파악하고 어머니들이 유아의 식습관지도를 위해 필요로 하는 식생활교육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도출된 채소편식의 문제를 교육주제로 결정하였고, 교육의 효과를 고려하여 만 4세 이상 유아대상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채소편식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유아들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채소편식행동을 개선하기 위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유아 교육현장에서 직접 적용하여 보고, 식생활교육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 유아들은 생활자체가 놀이이고 놀이를 통해 학습하므로 직접 키운 채소로 비빔밥을 만들어 보는 과정에서 음식에 대한 소중함과 함께 나누어 먹는 즐거움을 알도록 시도하였다. 또한 채소음식을 잘 먹는 친구들을 보면서 스스로 인식하고 식행동 개선의 가능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즉, 인지적, 행동적, 환경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행동변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어머니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주제를 유아들에게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채소편식을 예방하고자 채소와 친숙해질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설문조사 결과와 유아 대상 편식지도를 위한 프로그램(Kim 2003; Kim 2004; Jeong 등 2006; Noh & Kim 2007; Kim & Kim 2008; Seo 등 2008; Lee 2009; Park 2009; Go 2011) 등 문헌을 참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유아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유아들의 식습관 문제를 파악하고 어머니들이 유아의 식습관지도를 위해 필요로 하는 식생활교육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도출된 채소편식의 문제를 교육주제로 결정하였고, 교육의 효과를 고려하여 만 4세 이상 유아대상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채소편식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유아들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채소편식행동을 개선하기 위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그러나 현재까지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프로그램과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Go 2011; Kang & Jun 2012).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채소편식 예방을 위한 채소와 친숙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우선 어머니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아의 영양문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의 식행동 중 편중된 기호, 특히 채소편식이 가장 중요한 영양문제로 나타났다.
  • 먼저 1차시는 ‘건강하려면 채소를 먹어요’라는 주제로 동화책 속에 등장하는 채소를 알아보고 유아들이 알고 있는 채소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도록 하였다. 아울러 채소빙고 게임을 통해 채소의 이름을 알아보고 채소를 먹으면 우리 몸에 좋은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였다. 채소의 섭취를 증가시키기 위한 친화력을 높이고 인지적, 행동적 수행능력을 높이도록 내용 구성을 하였다.
  • 이때 교육의 수월성을 고려하여 5∼6세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하였으며,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보육시설이나 유치원 등 유아를 지도하는 교육현장에 필요한 채소편식 개선을 위한 식생활교육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의 특징은? 유아기는 신체의 성장 및 발육과 함께 활동량이 빠르게 증가되면서, 열량과 영양소의 요구량이 크게 증가된다. 이 시기의 식습관은 정상적인 성장발달이나 건강한 체력, 신체적, 지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식품에 대한 가치관 형성에도 중요하다.
전통적 식생활의 유지가 어려워지는 이유는? 실제로 건강과 영양에 대한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세계화와 더불어 맞벌이 가정이 늘고 핵가족화 등으로 가족이 함께하는 식사 기회가 감소되고, 전통적 식생활을 유지하는 일은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곡류, 채소류 위주의 전통적인 식생활은 줄어들고 서구화된 식생활의 선호가 증가되고 있어 영양불균형으로 인해 질병양상도 크게 변하고 있다 (Ku & Lee 2000; Kim 2001).
유아기의 식습관이 미치는 영향은? 유아기는 신체의 성장 및 발육과 함께 활동량이 빠르게 증가되면서, 열량과 영양소의 요구량이 크게 증가된다. 이 시기의 식습관은 정상적인 성장발달이나 건강한 체력, 신체적, 지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식품에 대한 가치관 형성에도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일생동안의 영양 상태 결정 및 성인기의 건강유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Kerrey 등 1968; Koo 1999; Lim 2001). 유아기의 건강한 식습관은 각종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만성적인 질병의 예방 등 건강문제와 관련이 많으므로(Kim 2003)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도록 가정에서 식생활관리에 관심을 갖고 바른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irch LL (1999): Development of food preferences. Annu Rev Nutr 19:41-62 

  2. Cho EY (2011): A study on learning factors and self-accomplishment of culinary taste sense education.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pp.19-25 

  3. Contento IR (2007): Nutrition education: link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Massachussetts. pp.16, 30, 32, 41, 54, 104-108, 132, 308-313 

  4. Go KM (2011): A study on the operation cooking activity for improvement unbalanced diet of preschool children. M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pp.21-84 

  5. Jeong YH, Yoon JS, Park DY (2006): Mothers' perceptions on preschool children's food preference, efforts in improving food intake and their beliefs in food selection. Korean J Community Nutr 11(6):714-724 

  6. Kang KH, Jun HJ (2012): Lunch time in childcare centers: practises and challenge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6(1):275-303 

  7. Kerrey E, Crispin S, Fox HM, Kies C (1968):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 Dietary and biochemical findings. Am J Clin Nutr 21(11):1274-1279 

  8. Kim EK (2001):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related problems in Korean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5):905-920 

  9. Kim HK, Kim JH (2006): A preliminary study on nutri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 -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7):866-873 

  10. Kim HS (2004): The influence of story and cooking activity on the solution to an unbalanced diet of preschool children. MS thesis. Woosuk University. pp.18-50 

  11. Kim JM (2003):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unbalanced diet of young children. M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pp.1-57 

  12. Kim SY, Kim HS (2008):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unbalanced dietary food hab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5):556-562 

  13. Kim YH, Seo JS (2004): Dietary pattern of children with an unbalanced diet in school feeding. J Korean Diet Assoc 10(3):345-355 

  14. Koo JO (1999):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scheme in nutrition education for infants. Korean J Community Nutr 4(4): 623-628 

  15. Ku PJ, Lee KA (2000): A surve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Dietary Cult 15(3):201-213 

  16. Lee GH (2009): An analysis of teachers' awareness of the realities of nutri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3(3):69-96 

  17. Lee JY, Cho DS (2006): The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Sungnam day care facilities. Korean J Food & Nutr 19(4):482-495 

  18. Lee NH, Joung HJ, Cho SH, Choi YS (200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nutrition education of preschool nursery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6(2): 234-242 

  19. Lim HJ (2001):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in Busan: assessment based on food group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6(1):3-15 

  20. Mustonen S, Rantanen R, Tuorila H (2009): Effect of sensory education on school children's food perception: a 2-year follow-up study. Food Quality and Preference 20(3):230-240 

  21. Noh EH, Kim JS (2007): The integrated cooking program development for an unbalanced diet intervention of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7(1):81-93 

  22. Oh YJ, Chang YK (2006): Children's unbalanced diet and parents' attitudes. Korean J Nutrition 39(2):184-191 

  23. Ohm JA, Lee SH (2004):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toward early childhood nutrition and their knowledge of nutrition. Korean J Early Child Educ 24(3):5-22 

  24. Park SH (2009):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rough the cooking activities. Masters degree thesis. Changwon University. pp.4-51 

  25. Park SJ (200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s. J Korean Diet Assoc 6(1):17-25 

  26. Park SY, Park HY, Moon HK (1999):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dietary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32(4):419-429 

  27. Reverdy C, Chesnel F, Schlich P, Koster EP, Lange C (2008): Effect of sensory education on willingness to taste novel food in children. Appetite 51(1):156-165 

  28. Seo JY, Lee IS, Choi BS (2008): Food habit and nutrient intake in preschool children -Daegu and its Environs-. Korean J Food Cult 23(6):793-800 

  29. Shin EK, Shin KH, Kim HH, Park YH,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the needs of educators, learners and parent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2(1): 89-101 

  30. Sin EK, Lee YK (2005): Menu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rough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s. Korean J Food Cult 20(1):1-14 

  31. Woo TJ, Lee KH (2013): Effects of sensory education based on classroom activities for lower grade school children. Nutr Res Pract 7(4):336-341 

  32. Yang IS, Kim EK, Bai YH, Lee SJ, Ahn HJ (1993):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promotes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 Korean J Dietary Cult 8(2):125-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