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교에서 충분한 성교육 시간이 배정되지 못함을 보충해 주고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성에대한 궁금증을 풀어주며, 올바른 성지식과 성 가치관을 갖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율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구리시내 구리가정교회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남·여 혼성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20명씩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1일 5시간(1시간을 40분 기준)에 걸쳐 5회기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Herold와 Payne(1975)가 개발한 성지식과 태도검사(Sex Knowledge and Attitude Test)를 윤선규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사용하였고 이때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간 성 지식의 사전검사에서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는 11.3으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 8.2보다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
본 연구는 학교에서 충분한 성교육 시간이 배정되지 못함을 보충해 주고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성에대한 궁금증을 풀어주며, 올바른 성지식과 성 가치관을 갖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율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구리시내 구리가정교회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남·여 혼성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20명씩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1일 5시간(1시간을 40분 기준)에 걸쳐 5회기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Herold와 Payne(1975)가 개발한 성지식과 태도검사(Sex Knowledge and Attitude Test)를 윤선규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사용하였고 이때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간 성 지식의 사전검사에서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는 11.3으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 8.2보다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t-test 결과도 이 두 집단간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p=.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프로그램에 참석하는 실험집단을 자발적 참여자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성 지식이 낮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참여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 성 가치관 역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여부 검사에서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는 11.8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 9.1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 두 집단의 차이는 t-test에서도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역시 성지식에서와 같은 이유로 추측된다. 프로그램 종료후 통제집단의 성지식과 성 가치관을 측정치를 비교한 결과 사전검사와 비교하여 변화가 거의 없었다. 하지만 실험집단은 성지식에서 사전 평균점수 8.2인데 비해 사후 평균점수 11.2로 나타나 평균의 차이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 차이는 t-test 결과에서도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 가치관에서 사전평균점수 9.1이었으나 사후 평균점수는 11.3점으로 평균의 차이를 보이며, t-test결과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 성교육 프로그램에 5회기 동안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성 지식이 프로그램에 참여 이전보다 높아졌을 뿐 아니라 성가치관 면에서도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사용된 성교육 프로그램이 성지식의 증가와 성 가치관의 긍정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에서 충분한 성교육 시간이 배정되지 못함을 보충해 주고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성에대한 궁금증을 풀어주며, 올바른 성지식과 성 가치관을 갖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율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구리시내 구리가정교회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남·여 혼성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20명씩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1일 5시간(1시간을 40분 기준)에 걸쳐 5회기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Herold와 Payne(1975)가 개발한 성지식과 태도검사(Sex Knowledge and Attitude Test)를 윤선규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사용하였고 이때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간 성 지식의 사전검사에서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는 11.3으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 8.2보다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t-test 결과도 이 두 집단간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p=.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프로그램에 참석하는 실험집단을 자발적 참여자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성 지식이 낮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참여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 성 가치관 역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여부 검사에서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는 11.8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 9.1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 두 집단의 차이는 t-test에서도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역시 성지식에서와 같은 이유로 추측된다. 프로그램 종료후 통제집단의 성지식과 성 가치관을 측정치를 비교한 결과 사전검사와 비교하여 변화가 거의 없었다. 하지만 실험집단은 성지식에서 사전 평균점수 8.2인데 비해 사후 평균점수 11.2로 나타나 평균의 차이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 차이는 t-test 결과에서도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 가치관에서 사전평균점수 9.1이었으나 사후 평균점수는 11.3점으로 평균의 차이를 보이며, t-test결과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 성교육 프로그램에 5회기 동안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성 지식이 프로그램에 참여 이전보다 높아졌을 뿐 아니라 성가치관 면에서도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사용된 성교육 프로그램이 성지식의 증가와 성 가치관의 긍정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It was trying to verify effects on the change of sexual view and acquirement of positive sex information on the 'Sex Education Program'(SEP)in this study. In order to realize the study purpose, We tested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that is separated each 40persons in 80persons(regardless...
It was trying to verify effects on the change of sexual view and acquirement of positive sex information on the 'Sex Education Program'(SEP)in this study. In order to realize the study purpose, We tested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that is separated each 40persons in 80persons(regardless of sex) is selected from the middle school students(sophomore) to the high school students(sophomore), Ku-ri family church Ku-ri city, in this study. We(researcher) have only executed 5times 'Sex Education Program(5hours / 1day -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executed any activities(program).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 have used the tool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at is Sex Knowledge and Attitude test is developed by Herold and Payne. And using collected result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operating results of the program is as follows ; The study reports that the average point 11.3 in projected group higher than 8.2 point of test group. Futhermore, result of T-test is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it is important statistically beyond p=.01. the reason is the participants have positive sexual attitude and generally suggested that the sexual knowledge of the participants students are lower than common adults. The value of sex also was reported that the average point 11.8 in projected group higher than 9.1 point of test group in consubstantiality test between two group. The gab of two group are important statistically beyond p=.001. After finish the program, sexual knowledge and value of the project are not differents, compare to the pro-test. however. the sexual knowledge of test group is 8.2 average before test, and also after test, it is very different in the average point compare to 11.2 average point. It means important gab in t-test result as level of p=.001. In sexual value, 9.1 average point of before test is different 11.3 average point of after test. In t-test result, it is important statistically as level of p=.001. As the such result of anlysis, sexual knowledge of participating students in 5 tests are better than non partipants, and also become positive in sexual valu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 'The sexual Program' in this test affected the increasing sexual knowledge and sexual value positively.
It was trying to verify effects on the change of sexual view and acquirement of positive sex information on the 'Sex Education Program'(SEP)in this study. In order to realize the study purpose, We tested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that is separated each 40persons in 80persons(regardless of sex) is selected from the middle school students(sophomore) to the high school students(sophomore), Ku-ri family church Ku-ri city, in this study. We(researcher) have only executed 5times 'Sex Education Program(5hours / 1day -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executed any activities(program).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 have used the tool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at is Sex Knowledge and Attitude test is developed by Herold and Payne. And using collected result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operating results of the program is as follows ; The study reports that the average point 11.3 in projected group higher than 8.2 point of test group. Futhermore, result of T-test is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it is important statistically beyond p=.01. the reason is the participants have positive sexual attitude and generally suggested that the sexual knowledge of the participants students are lower than common adults. The value of sex also was reported that the average point 11.8 in projected group higher than 9.1 point of test group in consubstantiality test between two group. The gab of two group are important statistically beyond p=.001. After finish the program, sexual knowledge and value of the project are not differents, compare to the pro-test. however. the sexual knowledge of test group is 8.2 average before test, and also after test, it is very different in the average point compare to 11.2 average point. It means important gab in t-test result as level of p=.001. In sexual value, 9.1 average point of before test is different 11.3 average point of after test. In t-test result, it is important statistically as level of p=.001. As the such result of anlysis, sexual knowledge of participating students in 5 tests are better than non partipants, and also become positive in sexual valu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 'The sexual Program' in this test affected the increasing sexual knowledge and sexual value positive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